반응형

전체 글 907

이두근건염 회복 기간

⏳ 이두근건염 상태별 회복 기간 & 이유 1. 급성 염증기 (2~4주)이유단순히 건 주변의 활액막(synovium)과 건섬유에 미세 손상만 발생혈류가 비교적 살아있어 염증 → 흡수 → 회복 과정이 빠르게 진행휴식·소염치료만으로도 자연 치유 가능⚠️ 하지만 이 시기에 무리하면 염증이 반복 → 만성화 2. 아급성기 (6~12주)이유6주 이상 염증이 지속되면 건 섬유에 **조직 변성(콜라겐 배열 불균질)**이 시작됨활액막 비후, 삼출액 증가로 건이 반복 마찰혈류가 제한적인 건 조직 특성상 회복이 느림이 시기엔 염증+기계적 손상이 겹치므로, 단순 소염만으로는 부족 → 재활+한방치료 필요 3. 만성 건병증 (3~6개월 이상)이유반복 손상으로 건 섬유가 퇴행적 변화(degeneration) → 혈관 신생(n..

정리 2025.09.18

어깨 초음파 체크리스트

InjectionSupraspinatusScapula notch Scan관찰/처치 구조물]자세scan 위치확인사항/주사이두근건-어깨건 주위 염증*극상근주관절 굴곡 / 견관절 신전어깨 앞 가장 튀어나온 부분극상근건의 손상**scapula notch *inj-견갑극 따라서 팔쪽으로inj* (어깨 후면 근육통)📋 이두근건 병리와 초음파 소견 병리초음파소견Tendinosis (건증)두께 증가 > 4 mm, 에코텍스처 불균일 (heterogeneous echotexture), 저에코(hypoechoic) 부위 혼재Tenosynovitis (건초염)힘줄 주위 저에코성 액체(hypoechoic fluid) 관찰, 종종 synovial hypertrophy 동반Partial-thickness tear (부분층 파열..

2025.09.17

고령자 오다리 방지 루틴

고령자 오다리 예방과 교정을 위한 루틴! 무릎 통증 완화에 좋은 집에서 하는 간단한 운동과 생활 습관 정리 🦵 고령자 오다리, 왜 생길까요?오다리(내반슬)는 다리가 O자 모양으로 휘어진 상태를 말합니다.고령자의 경우 다음과 같은 원인이 많습니다.퇴행성 관절염으로 무릎 안쪽 연골이 닳음허벅지·엉덩이 근육 약화로 무릎이 안쪽으로 쏠림체중 증가와 잘못된 걸음걸이 습관장시간 쪼그려 앉기, 바닥 생활👉 단순히 다리 모양 문제가 아니라, 무릎 통증·보행 장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고령자 오다리 방지 루틴 (매일 10분)무릎에 무리 주지 않고 안전하게 집에서 할 수 있는 운동 위주로 소개합니다.운동 전후에는 따뜻한 찜질로 무릎을 풀어주면 더 효과적이에요.1. 무릎 벌리기 운동 (의자 앉아서)의자에 허리를..

정리 2025.09.05

극상근 손상 회복을 위한 편심성 운동 (eccentric exercise)

🔎 편심성 운동이란?근육이 늘어나면서 힘을 발휘하는 운동을 말해요.예) 아령을 들어 올리는 건 동심성(concentric), 아령을 천천히 내리는 건 편심성(eccentric).극상근건에서는 어깨 외전(abduction) 근육이 늘어나면서 버티는 동작이 해당됩니다.반복 자극을 통해 콜라겐 섬유 재배열, 혈류 증가, 건의 기계적 강도 회복을 돕습니다. 🏋️ 대표적인 극상근건 편심성 운동 방법(모두 통증이 심하지 않은 범위에서 수행해야 합니다.)1. 덤벨 외전 편심 운동앉거나 서서 작은 아령(1~2kg)을 듭니다.건강한 팔로 아픈 팔을 들어 올려 어깨 90도까지 외전.천천히 (3~5초) 동안 아픈 팔만 힘을 주어 내려오게 버티기.10회, 3세트💡 핵심: 올라갈 때는 반대 팔 도움 → 내려올 때만 힘줄..

2025.09.05

엉덩이 옆 근육이 무릎 통증에 왜 중요할까?

고령자의 오다리(내반슬) 문제에서 무릎만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엉덩이 옆 근육, 특히 중둔근(臀中筋)**이 큰 역할을 해요.중둔근은 골반 옆, 엉덩이 옆에 위치한 근육으로 다리와 골반을 수평으로 유지시켜줍니다.걸을 때 한쪽 다리에 체중이 실리면, 반대쪽 골반이 아래로 떨어지려는 걸 잡아주는 “골반 안정화 근육”이에요.👉 즉, 중둔근이 약해지면 걸을 때 무릎이 안쪽으로 쏠리고, 다리 정렬이 무너져 오다리 진행이 빨라집니다. 🦵 무릎 안쪽 쏠림과 오다리의 관계무릎은 본래 다리 축과 수직을 유지해야 체중이 고르게 실립니다.하지만 중둔근이 약하면, 한쪽 발을 디딜 때 골반이 흔들리고 → 무릎이 안쪽으로 기울어짐 → 무릎 안쪽 관절에 하중 집중 → 연골이 빨리 닳음.이 반복이 쌓이면 다..

정리 2025.09.05

고령자 다리 내측 강화 운동과 무릎통증

1. 무릎 내측 근육의 역할무릎 내측에서 중요한 근육들은 다음과 같아요.내측광근(Vastus Medialis Oblique, VMO)→ 허벅지 앞쪽 안쪽, 무릎뼈를 안정화하고 무릎이 바깥으로 치우치지 않게 잡아줌.내전근군(Adductors: 대내전근, 장내전근 등)→ 허벅지 안쪽에서 다리를 모으는 힘 담당, 골반-무릎 정렬 유지.거위발 근육군(Pes anserinus: 봉공근·박근·반건양근)→ 무릎 내측 하단에서 붙어, 내측 안정성과 회전 조절 담당.👉 이 근육들이 튼튼해야 무릎 관절에 실리는 하중을 분산시켜 내측 관절염 진행을 늦출 수 있습니다. 2. 무릎 통증과의 관계① 내측 관절염 진행과 근육 약화무릎 관절염이 생기면 대부분 **O자형 다리(내반 변형)**로 진행.이때 체중이 무릎 내측에 집중 ..

정리 2025.09.05

무릎 관절면 통증 원인

무릎 관절면 통증 원인과 식염수 주사 치료법, 예후까지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통증 완화와 치료 방향 참고하세요. 무릎 관절면 통증, 왜 생길까?무릎은 우리 몸에서 가장 많이 쓰는 관절 중 하나예요. 걷기, 계단 오르내리기, 앉았다 일어나기 등 일상 속 모든 동작에서 부담을 받기 때문에 관절면에 통증이 잘 생깁니다. 특히 무릎 관절면 통증은 단순히 피로 때문만이 아니라 연골·반월상연골·활막 등 다양한 구조물 손상과 관련이 있어 원인 파악이 중요해요. 주요 원인을 정리해보면👇연골연화증 (슬개골 연골 손상)계단을 오르내릴 때 무릎이 시큰하거나, 오래 앉아 있다가 일어설 때 관절면이 아픈 경우가 많습니다.퇴행성 관절염 초기50대 이후 많이 나타나고, 무릎을 오래 쓰거나 운동 후에 통증이 심해져요.반월상연골 ..

정리 2025.09.05

시호청간탕 아토피, 복용기간과 병용투여 원칙

아토피 피부염 치료에 쓰이는 시호청간탕 복용기간, 효과 판정 기준, 양약 병용투여 시 주의사항과 복용 순서를 정리했습니다. 🌿 시호청간탕, 아토피 피부에 왜 쓸까?시호청간탕(柴胡淸肝湯)은 한의학에서 간열(肝熱)과 혈열(血熱)을 식혀 피부의 가려움과 발진을 가라앉히는 처방으로 알려져 있어요.피부가 붉게 달아오르고 🔥긁으면 쉽게 진물이 나거나 습진처럼 번지고밤에 특히 가려움이 심할 때이런 경우에 시호청간탕을 많이 사용합니다. 즉, 열성 아토피·습진에서 효과적인 방제예요. 🕒 얼마나 먹어야 효과가 있을까?“얼마나 먹어야 효과가 날까?”가 가장 궁금하시죠.1) 최소 2주, 권장 4주피부는 **재생주기(턴오버)**가 약 28일이므로, 4주 이상 복용해야 효과 판정이 가능합니다.연구에서도 4~8주 복용 후 ..

정리 2025.09.05

식은땀(cold sweat)은 양허?

🔬 의학생리학적 이유 1. 교감신경 활성화 (Fight or Flight 반응)몸이 스트레스·통증·저혈당·감염 등으로 위협을 받으면 교감신경이 급격히 활성화돼요.교감신경은 땀샘(특히 손바닥, 발바닥, 겨드랑이의 아포크린 땀샘)을 자극해서 땀을 분비하게 만듭니다.이때 나는 땀은 체온 조절 목적이라기보다는, 위급 상황에서 몸을 각성시키는 반응이에요.👉 예: 고열, 갑작스러운 통증, 저혈당, 불안·공황 발작 때 식은땀 2. 체온 조절 과정에서의 불균형몸이 아플 때(감염·염증·면역 반응), 시상하부의 체온 set point가 흔들립니다.고열 뒤에 체온이 떨어지면서 땀을 왕창 내보내 체온을 빠르게 낮추려는 과정이 일어나요.그래서 밤에 자고 나면 옷이 흠뻑 젖을 정도의 식은땀이 날 수 있습니다.👉 흔히 감기..

정리 2025.09.04

손 피부 스치기만 해도 아픈 이유

👉 평소엔 괜찮던 손이, 어느 날부터 살짝 스치기만 해도 따갑거나 아픈 경험 있으셨나요?많은 분들이 "피부가 예민해졌나?" 정도로만 생각하지만, 사실 이런 증상은 단순 피부 문제를 넘어 신경, 혈관, 전신질환과도 관련이 있을 수 있어요. 오늘은 손 피부가 스치기만 해도 아픈 이유를 의학적으로 정리해 보겠습니다. 🔎 1. 피부 장벽 손상 (Skin Barrier Dysfunction)손을 자주 씻거나, 소독제·세제 사용이 잦으면 각질층이 손상됩니다.정상 피부는 각질층이 자극을 막아주지만, 장벽이 무너지면 미세한 자극에도 신경 말단이 드러나듯 노출돼 통증이 쉽게 발생합니다.대표적으로 손 습진, 건조 피부염이 이런 경우에 해당합니다.💡 실전 팁: 자극 적은 세정제 + 손 씻은 직후 보습제 필수 ⚡ 2..

정리 2025.09.0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