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907

갑상선 질환과 피부·신경 감각 변화

갑상선은 우리 몸의 대사 속도를 조절하는 호르몬 기관이에요.따라서 기능이 과도하게 올라가거나(그레이브스병) 떨어지면(갑상선 기능저하증), 피부·신경·혈관 반응에 큰 변화를 일으킵니다. 1. 갑상선 기능항진증 (Graves’ disease 등)호르몬 과다 → 신진대사 과속주요 피부/신경 증상:피부 과민감: 얇아지고 촉촉해져 작은 자극에도 아픔땀 과다: 땀이 많아지고 습진·피부염 잘 생김손발 저림, 떨림: 교감신경 항진으로 인해 말초신경 흥분 ↑피부 발적: 특히 ‘그레이브스 피부병증’은 정강이 부위에 피부가 두꺼워지고 붉게 변함💡 임상적으로, 환자들이 “피부가 얇아져서 살짝 긁히기만 해도 따갑다” 혹은 “손끝이 찌릿하다”는 증상을 자주 호소합니다. 2. 갑상선 기능저하증 (Hypothyroidism)호..

정리 2025.09.04

갑상선 호르몬(T3, T4)의 역할

1. 세포 수준에서의 작용핵수용체(nuclear receptor) 결합T3(트리요오드티로닌)은 세포 내로 들어가 **핵 내 수용체(thyroid hormone receptor, TR)**와 결합.전사인자(transcription factor)로 작용해 유전자 발현 조절 → 단백질 합성, 효소 생산 변화.**T4(티록신)**은 상대적으로 활성이 낮고, 말초 조직(간, 신장, 뇌 등)에서 탈요오드화 효소에 의해 T3로 변환 후 작용.즉, T3가 실질적으로 생리적 효과를 담당합니다. 2. 대사(에너지 조절)기초대사율(Basal Metabolic Rate, BMR) 증가미토콘드리아 산화 인산화 촉진 → ATP 생산·소비 증가.열 생산(thermogenesis) 촉진.탄수화물 대사장에서 포도당 흡수 증가.간에서..

정리 2025.09.04

갑상선 항진증 한약 적합·부적합 정리표

보약 (안정기·회복기 위주) 부적합한 보약 (항진증 활성기 주의) 특징몸의 진액과 음(陰)을 보충 → 열을 식히고 진정양기·열을 보하는 성질이 강해 열을 악화예시- 맥문동탕 가감- 생지황·현삼·황련 들어간 보제- 사물탕 계열 (기혈 보충+음 보강)- 청열보익방(열 내리고 진액 보충)- 공진단(녹용·사향의 온보 작용 강함)- 십전대보탕 (기혈+온양 성질 강함)- 육종용, 부자, 육계 포함 보제복용 시점- 항진증 치료 중 피로·불면 완화- 항진증 안정기나 저하증으로 전환될 때 체력 보강- 항진증 증상이 활발할 때 (심계항진, 발한, 불면, 체중 급감 등)기대 효과피로 완화, 불안 진정, 진액 보충, 면역 균형 회복열상(熱象) 심화, 두근거림·불면·발한 악화 가능 체질과 시기 구분이 핵심같은 보약이라도 **..

정리 2025.09.04

그레이브스병 생활관리 가이드

그레이브스병은 자가면역질환이라 단순히 요오드만 피하는 게 아니라, 면역 균형을 돕고 대사 조절에 좋은 식습관이 중요해요. ✅ 추천 음식단백질: 살코기, 생선, 두부, 달걀 → 근육 손실 예방칼슘 & 비타민 D: 멸치, 우유, 브로콜리 → 골다공증 예방항산화 과일/채소: 베리류, 사과, 키위, 시금치, 토마토 → 면역 균형 도움수분 많은 과일: 배, 수박 → 갈증·열감 완화⚠️ 주의 음식해조류(미역, 다시마, 김 등): 요오드 과다 섭취 주의카페인 음료: 심계항진, 불안 악화 가능알코올, 매운 음식: 심장과 신경 흥분 → 증상 심해짐 2. 운동 관리 🏃‍♀️그레이브스병은 심박수 증가, 근육 약화가 흔하기 때문에 운동은 조심스럽게 접근해야 해요. ✅ 좋은 운동가벼운 걷기, 스트레칭, 요가소량의 근력 운동..

정리 2025.09.04

갑상선 항진증 약물의 작용기전

갑상선 항진증(Graves병, 독성결절성 갑상선종 등)은 갑상선 호르몬이 과도하게 생성·분비되는 상태예요. 치료에는 주로 항갑상선제(Thionamide 계열), 베타차단제, 요오드 제제, 방사성 요오드 등이 쓰입니다. 각각의 작용기전을 알면 약을 왜 쓰는지, 부작용은 뭔지 훨씬 이해하기 쉬워요. 😊 ✅ 1. 항갑상선제 (Thionamide 계열)대표 약: 메티마졸(Methimazole), 프로필티오우라실(PTU)작용기전갑상선 세포 내 갑상선 퍼옥시다제(TPO) 효소 억제 👉 요오드가 티로신에 결합하는 과정(organification) 차단T4 → T3 변환 억제(PTU만 가능) 👉 말초에서 활성호르몬 생성 감소효과: 새로운 갑상선 호르몬 합성 억제 → 혈중 T4/T3 농도 점차 낮아짐특징PTU: ..

정리 2025.09.04

그레이브스병, 면역 균형 회복 루틴

그레이브스병의 직접 원인은 **TSH 수용체를 자극하는 자가항체(TRAb)**입니다.이 자가항체는 면역 균형이 깨져 생기는 결과물이에요. 1. 자가항체 생성 배경**Treg(조절 T세포)**의 억제 기능이 약화 → 자기 항원(갑상선 단백)에 대한 ‘관용’ 상실Th2 편향 → B세포 활성화 증가 → TRAb 같은 자가항체 생성일부에서는 Th1/Th17 염증 경향이 함께 작용 2. 치료와 면역 균형항갑상선제를 일정 기간 사용하면 일부 환자에서 TRAb 수치가 낮아지고, Treg 기능 회복이 동반되면 **자가면역 반응이 가라앉아 관해(remission)**가 가능해요.그러나 TRAb가 높게 유지되거나, 면역 불균형이 계속된다면 재발 위험이 큽니다. 3. 예후를 예측하는 지표TRAb 수치: 치료 중 떨어지면 장..

정리 2025.09.04

그레이브스병(Graves’ disease) 발병기전 총정리

그레이브스병이란? 💡그레이브스병은 자가면역 갑상선 질환으로, **항진증(갑상선 호르몬 과다)**을 대표하는 질환이에요.핵심은 면역계가 실수로 갑상선을 공격하는 게 아니라, 오히려 ‘자극’하는 자가항체를 만들어 과도하게 호르몬을 분비시키는 것입니다.즉, 갑상선이 파괴되는 하시모토와 달리, 그레이브스는 갑상선이 과도하게 작동하는 방향으로 면역 이상이 나타나요. 1. 자가항체 생성: TRAb(갑상선 자극 항체) 📈우리 면역계의 B세포가 **TSH 수용체(Thyroid Stimulating Hormone Receptor, TSHR)**를 표적으로 하는 자가항체를 만듭니다.이 항체를 TRAb라고 해요.TRAb 중에서도 **자극형 항체(TSAb)**는 TSH 역할을 흉내내어 갑상선 세포를 계속 자극합니다.👉..

정리 2025.09.04

그레이브스병 치료 기전과 예후

1. 치료 기전 🧬그레이브스병 치료는 크게 약물 요법, 방사성 요오드 치료, 수술로 나뉩니다.(1) 항갑상선제 (Methimazole, PTU 등) 💊작용 원리:갑상선 내 TPO(Thyroid Peroxidase) 효소를 억제 → 요오드 산화·결합·커플링 차단 → T3, T4 합성 억제PTU는 추가로 말초에서 T4 → T3 전환도 억제장점: 비침습적, 초기 1차 치료로 흔히 사용단점: 12–18개월 이상 장기 복용 필요, 재발률 40–60% (2) 방사성 요오드 치료 (RAI) ☢️작용 원리:방사성 요오드-131이 갑상선 세포에 선택적으로 흡수 → 세포 파괴점진적으로 갑상선 기능 저하(저하증) 유도장점: 비교적 간단, 재발률 낮음단점: 영구적 저하증 발생 가능 → 평생 호르몬 보충 필요 (3) 수술 ..

정리 2025.09.04

스트레스가 하시모토·그레이브스 촉발하는 기전

왜 스트레스가 갑상선에 직격탄일까? 💡스트레스는 기분 문제가 아니에요. **HPA축(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과 교감신경을 동시에 흔듭니다. 그 결과 코르티솔·아드레날린이 치솟고, 이는 면역 균형과 갑상선 호르몬 환경을 바꿔요. 이 변화가 오래가면 자가면역 질환의 발화점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하시모토 갑상선염(저하증)과 그레이브스병(항진증)이 그 대표예요. 1) HPA축의 ‘코르티솔 리듬 붕괴’ → 면역 관용(관대함) 약화정상이라면 아침엔 코르티솔이 높고 밤엔 낮아요. 이 리듬이 만성 스트레스로 평평해지면(또는 과분비→저항) 면역세포의 브레이크 기능이 약해집니다.코르티솔 신호가 말을 안 듣는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저항’**이 생기면, 염증성 사이토카인(IL-6, TNF-α 등)이 올라가고 자기 ..

정리 2025.09.04

스트레스와 갑상선 호르몬 불균형의 연관성

스트레스가 갑상선 호르몬 분비와 기능에 미치는 영향, 의학적 원리와 관리 방법을 쉽게 풀어드립니다. 스트레스가 갑상선 건강에 왜 중요한가? 💡많은 사람들이 “스트레스 받으면 갑상선이 안 좋아진다”는 말을 들어봤을 거예요. 실제로 만성 스트레스는 갑상선 호르몬 분비와 대사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중요한 요인입니다.스트레스는 단순히 기분 문제를 넘어, 호르몬 균형·면역 시스템·대사 조절에 관여합니다. 특히 갑상선은 대사를 총괄하는 기관이기 때문에 스트레스와의 연관성이 큽니다. 스트레스와 갑상선 호르몬, 의학적 기전 🧬시상하부-뇌하수체-갑상선 축(HPT axis) 억제스트레스 시 코르티솔이 많이 분비되면 시상하부의 TRH, 뇌하수체의 TSH가 억제됩니다.그 결과 갑상선에서 T3, T4 생성이 줄어들어 ..

정리 2025.09.0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