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180

동의보감 독해 개요

21세기, 의학기술과 인프라 그리고 다양한 치료 도구들이 존재하는 시점에서 동의보감을 독해하는 목적은 무엇일까? 동의보감에 기술된 내용은 아직 인체의 해부가 그리고 과학과 의학이 현대와 같이 발전하기 이전의 시대의 지식이다. 혈액검사를 비롯한 다양한 검사법은 없었으며, x-ray 초음파 mri 등의 영상기기도 전무했다. 인간이 병의 위치를 찾아내기 위해서는 인간이 갖고 있는 감각과 언어에 의존해야만 했다. 그리고 그 감각에 기반해 알게 된 내용을 기술한 것이 동의보감이다. 언어를 알고 인지 기능이 있는 모든 사람들은 동의보감에 나오는 내용을 이해하고, 방법을 따라 함으로써 건강과 관련하여 이득을 얻을 수 있다. 다만, 동의보감에서 사용된 언어는 현재에는 사용되지 않는 언어, 이론, 치료법도 많기에, 이해..

동의보감 2023.07.07

본초 목차 정리 및 목차 엑셀 공유

현재 한의과대학에서 교육되고 있는 [본초학] 교과서에 나오는 본초 목차입니다. 發散風寒藥(발산풍한약) : 마황, 계지, 자소엽, 형개, 강활, 백지, 방풍, 고본, 신이, 세신, 생강, 향유, 총백, 정류, 창이자發散風熱藥(발산풍열약) : 박하, 우방자, 상엽, 국화, 갈근, 시호, 승마, 만형자, 담두시, 선태, 부평, 목적淸熱瀉火藥(청열사화약) : 석고, 지모, 노근, 과루근, 죽엽, 치자, 하고초, 담죽엽, 밀몽화, 청상자, 괴각淸熱燥濕藥(청열조습약) : 황금, 황련, 황백, 용담초, 고삼, 백선피, 대두황권淸熱凉血藥(청열양혈약) : 서각, 지황, 현삼, 목단피, 적작약, 자초淸熱解毒藥(청열해독약) : 금은화, 연교, 포공영, 자화지정, 대청엽, 판람근, 청대, 우황, 마치현, 백두옹, 진피, 패장..

정리 2023.07.05

노화 동의보감

수명과 건강수명인류의 평균수명은 약 85 년이며 이 수치는 현대사회의 기술 발전과 함께 증가하고 있다. 노화의 결과로 맞이한 죽음에 직면한 인간은 호흡과 심장이 멈추고 움직임이 사라지며, 그대로 방치하는 경우 부패하게 된다. 죽음은 인간이 피하고 싶으나 피하지 못하는 필연적인 사건이다. 동의보감 집필로부터 400년이라는 시간이 흘렀음에도 여전히 인간은 죽는다. 하지만, 400년이라는 시간 동안 죽음에 다가가는 과정이 노화를 막는 데에는 많은 발전이 있었다. 노화의 원인이 되는 염색체와 관련된 발견 및 신체 내 다양한 물질들을 발견해 냈고, 이를 기반으로 노화를 억제하는 다양한 기기, 기술, 제제등이 개발되어 왔고, 현재도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기술이 없었지만, 노화를 막고자 했던 당대 사람들은 어떻게 ..

동의보감 2023.07.05

침치료, 어떻게 작용하고 왜 효과가 있을까?

많은 분들이 침치료를 경험하면서도, 도대체 왜 효과가 있는지, 어떻게 받아야 제대로 받는 건지 궁금해하시죠. 오늘은 침치료의 작용 원리부터, 치료 전후 주의사항, 그리고 과학적인 설명까지 함께 정리해보겠습니다.Q. 침은 어떤 효과가 있나요?🔹 1. 말초 신경 자극으로 혈류 증가침은 피부 및 근육의 신경 말단(nerve ending) 을 자극하여 해당 부위에 혈류 증가와 화학물질 방출을 유도합니다.대표적인 물질인 Adenosine은 저농도에서는 진통 효과, 고농도에서는 오히려 통증 유발을 합니다.→ 환자가 강한 통증을 호소하면, 침을 제거하고 다른 부위를 자극해야 합니다.🔹 2. 근막 통증 완화침은 Myofascial Trigger Point(근막유발점) 를 비활성화하여, 장기적인 근육 긴장에서 비롯된..

2023.06.19

용해소체(Lysosome)의 모든 것: 세포 속 쓰레기 청소부가 하는 일

우리 몸을 구성하는 수많은 세포들.그 속에서도 조용히, 하지만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는 기관이 있습니다. 바로 **용해소체(Lysosome)**입니다."세포 속 쓰레기통" 또는 "세포의 청소부"로 불리는 이 용해소체는, 세포 내 환경을 유지하고, 손상된 부분을 정리하며, 노화와 질병과도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사람들이 가장 궁금해하는 아래의 질문들을 중심으로 정리해 드릴게요.✔ 세포 외부에서 들어온 물질은 세포 안에서 어떻게 처리될까?우리는 종종 외부에서 유입된 바이러스, 세균, 이물질 등을 세포가 어떻게 처리하는지 궁금해합니다.그 과정은 이렇게 진행됩니다:소포 형성세포는 외부 물질을 감싸서 소포(vesicle) 형태로 안으로 들여보냅니다. 이 과정을 **엔도사이토시스(endocytos..

정리 2023.06.13

세포 내환경의 정상 범위 회복과 유지 방법

우리가 건강하다는 것은 곧, 우리 몸을 구성하는 세포들이 제 역할을 잘하고 있다는 뜻입니다. 그런데 이 세포들이 제 기능을 하기 위해선 일정한 환경이 필요합니다. 이를 세포 내환경이라고 부르죠.이번 글에서는 세포 내환경이 무엇인지, 어떻게 하면 정상 범위를 유지할 수 있는지, 그리고 이를 실생활에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Q1. 세포 내환경의 정상범위는 어떤 수치로 표현되나요?세포가 건강하게 작동하려면, 아래와 같은 조건들이 일정 범위 안에서 유지되어야 합니다.pH (산-염기 균형): 7.35 ~ 7.45 (약알칼리)체온: 36.5℃ 내외혈당: 공복 시 70 ~ 100 mg/dL산소 농도: 혈중 산소포화도 95% 이상전해질 농도: 나트륨(Na+), 칼륨(K+), 칼슘(Ca2+), 마그네슘(..

정리 2023.05.03

동의보감 집례 및 신형장부도

한약 처방의 용량 적절 처방 용량으로 의서 [고금의방]과 [만병회춘] 나온 약 1첩당 7-8돈 (28-32 g, *1첩=4g)에서 1냥 (40 g)을 제시했다. 본초 의학(한의학)을 배우기 위해 먼저 본초와 약성을 알아야 한다. 본초는 당대 화학적 치료법인 한약의 원료 물질이다. 동의보감 제목의 의미 동의보감에서 "감"을 사용한 이유이다. "감"에는 우리나라(동방)의 의약을 밝게 비추어 병을 환히 드러내게 하는 의미를 담았다. 역대의방 동의보감 이전의 서적 65권과 관련된 간략한 설명이 기술된다. 동의보감 집필에 이용된 참고문헌이다. 이 부분은 생략한다. 신형장부도 천지에 존재하는 것 중 사람이 가장 귀중하다고 시작되는 본 내용은 인체를 천지와 배속시킨다. 인간의 몸은 자연을 바탕으로 잠시 형을 빚어 놓..

동의보감 2023.05.03

동의보감 총목

동의보감은 1600년대까지의 동아시아 의학 지식과 건강 관리법을 정리한 서적이다. 이로부터 400년 가까이 되는 시간이 흐르며 기술은 발전했고, 인간의 삶의 방식은 완전히 변화했다. 의, 식, 주, 직업을 비롯한 모든 것이 변화했고 이 과정에서 수많은 것들이 사라지고 새로운 것들이 등장하였으나, 아직까지는 동의보감에 등장하는 변증이라는 진단방법과 치료방법인 변증, 침, 한약, 도인법 및 양생법이 개인의 건강을 이롭게 하는데 사용되어지고 있다. 이 카테고리에서는 동의보감의 집필배경인 치료보다는 예방을 중시하고, 국민이 스스로 쉽게 치료법을 알 수 있도록 하는 글을 작성할 것이다. 400년이라는 시간간극이 만들어낸 차이를 최대한 좁혀 현대 사람들이 이해할 수 있는 방식으로 내용을 전달하고자 한다. 첫번째 글..

동의보감 2023.05.01

동의보감 서문

집필배경 책이 많아질수록 의술이 분명해지지 않는다 당대의 다양한 의학 서적들의 내용이 정리되지 않아 의술이 모호한 상황이었다. 이를 정리하여 이치를 명확하게 하고, 널리 알려 백성들이 노쇠하고 병약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 본 서적은 집필되었다. 동의보감은 당내 대궐에 소장되어있던 500여권의 의학서적을 정리하여 총 25권으로 만들어졌다. 질병 치료의 핵심 사람의 질병은 조섭을 잘 하지 못함에서 생겨나니, 수양하는 것이 우선이고 약과 침으로 다스리는 것은 그 다음이다. 수양, 즉 스스로 몸을 잘 다스리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 동의보감 분류 맥결, 증론, 약성, 치법, 섭생요의, 침석 진단 - 치료계획 및 치료 - 예방으로 나눌 수 있다. 진단 : 맥결, 증론 치료계획 및 치료법 : 약성, 치법, 침석 예방 ..

동의보감 2023.05.01

정액이 흘러나오는 경우, 동의보감

성행위를 하지 않았는데 정액이 흘러나오는 증상?*遺泄 유정/ 精滑 정활  가능한 원인 (Step 1)- 비뇨기질환 (전립선염 등): 일상생활중에 정액이 새어 나온다면 비뇨기과를 내원하라. 골반부 근육이상, 주변 구조인 전립선 및 고환, 부고환, 요도 관련 이상, 신경계의 조절이상, 척추관련 질환, 성적 신경쇠약, 스트레스 등이 가능한 원인이다. 동의보감 (Step 2.1) *遺泄 유정비뇨기 질환도 아니고, 기질적인 문제도 없다면 동의보감에 나오는 심화와 관련된 내용을 살펴보자. 心動則相火亦動, 動則精自走 심心이 움직인 것으로 시작되어, 정이 흔들리고 그 결과 정액이 흘러나온다고 한다. 心君火也. 爲物所感則易動 심의 군화는 자극에 의해 쉽게 움직인다고 한다, 즉 특정 자극이 심을 움직이고 이것이 개인의 생..

동의보감 2020.10.0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