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907

갑상선 기능 항진증, 따듯한 물

갑상선기능항진증에서 따뜻한 물을 마시는 것은 꽤 도움이 될 수 있어요. 이유를 하나씩 정리해드릴게요. 따뜻한 물이 좋은 이유 💧🔥1. 교감신경 진정 효과항진증은 신진대사가 과도하게 올라가면서 심장이 두근두근, 긴장, 불안이 쉽게 생겨요.따뜻한 물은 위장관을 편안하게 하고 부교감신경을 자극해 긴장을 완화해줍니다.2. 혈류 개선따뜻한 물은 말초혈관을 살짝 확장시켜 혈류순환을 부드럽게 해줘요.갑상선 항진증 환자에게 자주 나타나는 긴장성 두통, 혈관성 두통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3. 위장 기능 안정항진증 환자 중에는 설사, 잦은 배변, 소화 불안정이 동반되는 경우가 많습니다.차갑거나 탄산 있는 음료 대신 따뜻한 물을 마시면 위장 부담을 줄이고 소화 안정에 기여해요.4. 수분 보충과 탈수 예방항진증..

정리 2025.09.04

한약과 양약 1시간 간격을 두라고 하는 이유

1. 위장관 내 상호작용 (Gastrointestinal interactions)흡착/결합(adsorption, chelation)한약에는 탄닌(tannin), 점액질, 섬유소, 사포닌 등이 풍부합니다.이 성분들이 양약(특히 항생제, 철분제, 갑상선 호르몬제, 항히스타민제)과 비특이적 결합을 일으키면, 약물이 불용성 복합체를 형성 → 흡수율 감소.예: 철분 + 탄닌 → 불용성 침전 형성.용해도 및 위장 배출 속도 변화한약 decoction은 다량의 수용성 성분을 포함하여 위 배출시간에 영향을 주어, 양약의 Tmax(최대혈중농도 도달시간) 변동 가능.👉 문제점: 동시 복용 시 양약의 생체이용률(bioavailability) 저하 가능성. 2. 위장관 점막 자극 (Gastrointestinal irrit..

정리 2025.08.29

시호청간탕 : 기간, 평가지표, 감별포인트

1️⃣ 복용 기간과 기본 원칙**보통 4주(한 달)**을 1차 평가 기간으로 잡습니다.피부질환은 반응이 느려서 1~2주만에 확실히 좋아지지 않을 수 있어요.최소 2주, 가능하다면 4주 정도 꾸준히 복용해야 경과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소아의 경우 : 보통 2~3개월간 체질·피부 반응을 보면서 조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성인의 만성 아토피 : 1~2개월 복용 후 호전이 없으면 다른 처방(예: 형개연교탕, 청혈해독탕, 제습위주 방제 등)으로 전환을 고려합니다. 2️⃣ 효과 판정 포인트시호청간탕을 먹었을 때 효과가 있다는 신호는:✅ 피부 붉은기·열감이 줄어듦✅ 긁었을 때 진물이 덜 남✅ 가려움이 예전보다 완화✅ 수면 중 긁는 횟수 감소효과가 없거나 맞지 않는 신호는:❌ 복용 3~4주 후에도 전혀 가려움·발진 변..

정리 2025.08.29

시호청간탕, 갈근해기탕 비교

🔍 처방 특징 비교 1. 시호청간탕(柴胡淸肝湯)주 적응증: 소아 감열(疳熱)로 인한 피부 가려움, 열독으로 인한 피부병주요 효능: 간열(肝熱)을 식히고 혈분의 열을 내려 피부 가려움 완화적합한 경우얼굴이나 두피에 붉게 열이 오르는 발진, 습진, 아토피성 피부염가려움이 심하고 긁으면 쉽게 진물이 나거나 붉어지는 경우아이들 열성 피부질환에도 자주 사용👉 열·화(火)로 인한 가려움에 특히 강점이 있어요. 2. 갈근해기탕(葛根解肌湯)주 적응증: 초기 감기, 풍열감모, 알레르기성 피부질환주요 효능: 표(表)에 있는 열·풍을 풀고 근육 긴장을 완화, 피부 발진을 밖으로 발산적합한 경우갑자기 생긴 두드러기(urticaria), 알레르기 반응외부 자극이나 음식·환경에 의해 급성으로 피부가 붉게 돋고 가려운 경우감..

정리 2025.08.29

도네페질염산염(Donepezil Hydrochloride)

약리학적 작용 (Pharmacodynamics)도네페질은 **선택적이고 가역적인 아세틸콜린에스터라제 억제제(AChEI)**입니다.뇌 속 시냅스에서 **아세틸콜린(ACh)**을 분해하는 효소인 **acetylcholinesterase (AChE)**를 억제합니다.결과적으로 시냅스 간극 내 아세틸콜린 농도 증가 → 콜린성 신경전달 강화가 일어납니다.특히 hippocampus와 cerebral cortex 부위에서 효과가 두드러져, 기억·학습·인지 기능 개선에 기여합니다.⚡ 특징:Butyrylcholinesterase 억제 효과는 약함 → 비교적 선택적 혈액-뇌 장벽(BBB) 통과가 잘 되어 중추 신경계 작용이 강함 약동학 (Pharmacokinetics)경구 흡수: 빠르고 거의 완전 흡수최대 혈중 농도 (..

정리 2025.08.29

메만틴염산염(Memantine Hydrochloride)

1. 적응증중등도~중증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에서 사용.단독 요법 또는 **콜린에스터라제 억제제(예: 도네페질, 리바스티그민, 갈란타민)**와 병용 가능. 2. 약리 기전 (Mechanism of Action)NMDA(N-methyl-D-aspartate) 수용체 길항제알츠하이머 환자에서는 글루타메이트(Glutamate) 의 비정상적 과잉 분비 → NMDA 수용체 과활성화→ 칼슘 이온(Ca²⁺)의 세포 내 과도한 유입→ 신경세포 흥분독성(Excitotoxicity) 발생 → 뉴런 손상 및 사멸 진행.👉 메만틴은 비경쟁적(non-competitive), 전압 의존적(voltage-dependent), 중등도 친화성(moderate affinity) 으로 NMDA 수용체에 결합.👉 과도한 Ca²⁺ 유입을..

정리 2025.08.29

허리가 “부러져서(척추 골절)” 입원한 환자의 경우 KCD(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1. 외상성 척추 골절 (넘어짐, 교통사고 등)S22.0 흉추 골절S32.0 요추 골절S32.1 천골 골절→ 구체적으로 골절 위치를 확인 후 부호 선택→ 다발성일 경우 S22.1, S32.7(기타 및 상세불명 다발성 골절) 2. 병적 척추 골절 (골다공증, 종양 등 기저질환 원인)M80.- 병적 골절을 동반한 골다공증예: M80.08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상세 위치 기재 가능)M84.4 병적 골절, 기타 질환에 의한 것 3. 정확한 위치 불명T08 척추의 골절, 상세불명(영상검사에서 흉추/요추 특정이 어려운 경우) ✅ 정리하면,단순 외상으로 척추가 부러진 경우 → S22.- 또는 S32.-골다공증 등 병적 원인으로 발생 → M80.- 또는 M84.4위치 불명 → T08👉 의무기록/영상 소견에 **..

정리 2025.08.29

도네페질염산염(Aricept 등), 메만틴염산염(Memantine)

도네페질: 주로 알츠하이머형 치매 초기~중기메만틴: 주로 중등도~중증 알츠하이머 치매두 약을 병용하기도 함 📌 MCI(경도인지장애) 환자에서의 사용원칙적으로는 치매 진단을 받은 경우 투여하는 것이 허가사항(보험 기준)입니다.MCI 단계에서는 공식적으로 치매 치료제 사용 적응증이 아님 → 보험 급여 적용 불가다만, 일부 임상에서 치매로 진행 위험이 큰 MCI 환자에게 예방적 또는 조기치료 목적으로 처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때는 비급여로 투여)따라서 진단명에 따라 진료기록상 “치매치료제 복용 중”이라고만 표시 가능하고, 공식적으로 “치매환자”라고 체크하는 것은 별개입니다. ✅ 정리MCI는 치매가 아님치매치료제(도네페질, 메만틴) 복용 자체는 가능 (비급여 또는 의사 재량)하지만 보험 청구나 진단서..

정리 2025.08.29

위고비(세마글루타이드) 제조

1. 원료 펩타이드 합성방식: Solid-Phase Peptide Synthesis(SPPS, 고체상 펩타이드 합성법)폴리스티렌 수지(bead)에 첫 번째 아미노산을 고정 → 보호기(Fmoc)로 N-말단 보호아미노산을 하나씩 순서대로 결합 → 매 사이클마다 Fmoc 제거, 다음 아미노산 결합 반복세마글루타이드 구조 특성:GLP-1의 8번 아미노산인 알라닌을 α-아미노이소뷰티르산(Aib)으로 치환 → DPP-4 효소 분해 저항성 ↑Lys26에 C18 지방산(팔미트산) + 스페이서(γ-Glu-2xOEG) 부착 → 알부민 결합 ↑, 반감기 연장(주 1회 투여 가능) 2. 펩타이드 절단 및 정제합성이 끝난 후, 수지로부터 펩타이드를 TFA(Trifluoroacetic Acid) 혼합 용액으로 절단.역상 HPL..

정리 2025.08.28

침 맞고 1~2일 아프다 3일차에 괜찮아지는 이유

“왜 TP 자침 후 72시간 정도 지나면 통증이 줄어드는가?” — 이건 결국 조직 손상 후 회복 과정을 이해해야 설명이 됩니다. 침 자극으로 생긴 국소 미세 손상 → 염증 반응 → 회복 → 재생의 타임라인을 보시면 됩니다. 0~24h: 근섬유 미세손상 + 통증물질 분비 증가 24~48h: 면역세포(대식세포, 호중구) 청소 + 혈류 증가 48~72h: 위성세포(satellite cell) 활성화 → 근섬유 재생 시작, VEGF↑로 혈류 정상화 72h 이후: 조직 구조 회복 안정화, 통증 소실 및 근육 이완 🕒 Post-needling soreness의 시간별 변화🔹 0~24시간: 급성 반응기 (통증 증가)자침으로 근섬유 미세 손상 발생염증 매개물질(Substance P, 브래디키닌, 프로스타글란딘, ..

2025.08.2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