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Injection
Scan
관찰/처치 구조물] | 자세 | scan 위치 | 확인사항/주사 |
이두근건 | - | 어깨 | 건 주위 염증* |
극상근 | 주관절 굴곡 / 견관절 신전 | 어깨 앞 가장 튀어나온 부분 | 극상근건의 손상** |
scapula notch *inj | - | 견갑극 따라서 팔쪽으로 | inj* (어깨 후면 근육통) |
📋 이두근건 병리와 초음파 소견
병리 | 초음파소견 |
Tendinosis (건증) | 두께 증가 > 4 mm, 에코텍스처 불균일 (heterogeneous echotexture), 저에코(hypoechoic) 부위 혼재 |
Tenosynovitis (건초염) | 힘줄 주위 저에코성 액체(hypoechoic fluid) 관찰, 종종 synovial hypertrophy 동반 |
Partial-thickness tear (부분층 파열) | 힘줄 내부 국소적 저에코/무에코(hypoechoic/anechoic) 결손(focal defect) |
Full-thickness tear (전층 파열) | 힘줄 섬유 완전 단절, retraction(말림), 사이에 무에코 공간(혈액/액체) |
Subluxation (아탈구) | 힘줄이 내측으로 치우치거나(bicipital groove 안에서 부분적으로 벗어남) 부분적으로 탈출 |
Dislocation (탈구) | 힘줄이 완전히 이탈 → bicipital groove empty, 힘줄이 groove 밖에서 확인 |
📋 극상근건 병리와 초음파 소견
병리 | 초음파 | 대처 |
Tendinosis (건증, 퇴행성 변화) | - 극상근건 두께 증가(6–8mm↑) - 에코텍스처 불균일, fibrillar pattern 소실 - 저에코 부위 혼재, 혈관 신생 가능 |
🔹 초기: 휴식, 활동 조절, NSAIDs 🔹 물리치료(온찜질, 초음파 치료, 체외충격파) 🔹 어깨 안정화 운동·근육 밸런스 회복 🔹 만성·심한 경우: 주사치료(스테로이드, PRP 등), 드물게 수술 고려 |
Partial-thickness tear (부분층 파열) | - 힘줄 일부 층만 결손 - focal hypoechoic/anechoic defect - 건 표면 불연속 |
🔹 소규모: 보존적 치료(휴식, 물리치료, 재활운동) 🔹 증상 심한 경우: 스테로이드 주사 🔹 반복 통증·진행성 손상 시: 관절경적 변연 절제술(debridement) 또는 봉합술 |
Full-thickness tear (전층 파열) | - 힘줄 섬유 완전 단절, retraction - 무에코 공간에 액체/혈액 저류 - SASD 공간 확장 |
🔹 젊거나 활동 많은 환자: 조기 수술적 봉합 권장 🔹 고령·저활동 환자: 통증 조절, 기능적 운동치료 🔹 보존적 치료 실패 시: 관절경 봉합술/재건술 |
Calcific tendinitis (석회화 건염) | - 건 내 hyperechoic deposit - posterior acoustic shadowing 가능 - 흡수기(resorptive phase) 시 주위 염증·부종 |
🔹 급성 통증기: 진통소염제, 휴식, 냉·온찜질 🔹 체외충격파(ESWT), 초음파 유도하 barbotage(석회 세척술) 🔹 보존적 치료 불응 시: 관절경적 제거술 |
Bursitis (SASD 윤활낭염) | - subacromial-subdeltoid bursa 확장 - 저에코성 액체, 윤활막 비후 - 동적 충돌 시 압박·통증 |
🔹 NSAIDs, 휴식, 온찜질 🔹 물리치료(전기치료, 초음파 등) 🔹 국소 스테로이드 주사(효과적) 🔹 만성·재발성: 병행된 회전근개 병변 평가 후 필요 시 수술 |
Impingement (충돌 증후군) | - 팔 외전 시 건·윤활낭이 견봉 아래에서 압박 - 건 변형·sliding 제한 |
🔹 회전근개 및 견갑 안정화 운동 🔹 활동·자세 교정(머리 위 동작 피하기) 🔹 스테로이드 주사 가능 🔹 구조적 이상(견봉 돌출 등) 동반 시: 견봉성형술(subacromial decompression) 고려 |
참고
반응형
'침'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극상근 손상 회복을 위한 편심성 운동 (eccentric exercise) (0) | 2025.09.05 |
---|---|
침 맞고 1~2일 아프다 3일차에 괜찮아지는 이유 (0) | 2025.08.28 |
침 맞고 1~2일 더 아픈 이유 (TP needling) (1) | 2025.08.28 |
근육 이완 자침 테크닉 비교 (Trigger point 자침 / 전침 / 표층자침) (3) | 2025.08.28 |
Greater Occipital Nerve (GON, 대후두신경) 식염수 주사 방법 (2) | 2025.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