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732

혈중 중성지방 상승: 기관별 연계성

1. 소화기(장, 간) 단계(1) 장(小腸, Intestine)음식에서 들어온 지방 + 당분 → 중성지방 합성 → 킬로미크론(Chylomicron) 형태로 혈중 방출⚠️ 문제:고탄수화물·고지방식 → 킬로미크론 과잉 → TG 급상승(2) 간(Liver)중심 허브: 유리지방산(FFA) + 당분 → TG 재합성 → VLDL 형태로 혈중 방출⚠️ 문제:지방간, 알코올성 간질환 → TG 합성↑ + 분해↓간경변 → 정상 대사 효소 감소, TG 처리 불능과당(Fructose) 과다 섭취 → de novo lipogenesis 활성화 → TG 급증 2. 내분비(호르몬) 조절 단계(1) 췌장(Pancreas – 인슐린)정상: 인슐린 → 지방 분해 억제 + TG 저장 촉진⚠️ 문제:인슐린 저항성/제2형 당뇨 → 지방조직..

정리 2025.08.21

혈중 중성지방이 높아질 수 있는 경우

🔬 중성지방 대사와 관련된 주요 기관중성지방(Triglyceride, TG)은 섭취 → 흡수 → 합성 → 운반 → 분해 과정을 거칩니다.이 과정에는 장, 간, 지방조직, 근육, 내분비기관(췌장·갑상선) 등이 깊게 관여합니다. 1. 간(Liver)간은 중성지방 합성·분해·운반의 중심 역할을 함.문제 발생 시:지방간: 간에서 합성된 TG가 VLDL(초저밀도지단백)로 많이 배출 → 혈중 TG 증가알코올성 간질환: 술이 간에서 아세트알데히드로 대사되면서 지방산 합성이 촉진 → 중성지방 축적간경변: 정상적인 지질 대사 경로가 깨져 TG 대사 장애 발생 2. 췌장(Pancreas) – 인슐린 분비 기관인슐린은 지방 분해 억제 + 지방 합성 촉진 작용을 동시에 가짐.문제 발생 시:당뇨병(특히 제2형): 인슐린 ..

정리 2025.08.21

마운자와 위고비, 무엇이 다를까?

최근 비만 치료제 시장에서 가장 주목받는 약물이 바로 **위고비(Wegovy)**와 **마운자(Mounjaro)**입니다. 두 약물 모두 주사제 형태로 사용되며, 체중 감량 효과가 뛰어나 전 세계적으로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성분부터 효과, 안전성까지 여러 차이가 있죠. 오늘은 이 두 가지 약물을 비교해보겠습니다. ✅ 성분 차이위고비(Wegovy)성분: 세마글루타이드(Semaglutide)기전: GLP-1 수용체 작용제특징: 식욕 억제 및 위 배출 지연 효과마운자(Mounjaro)성분: 티르제파타이드(Tirzepatide)기전: GLP-1 + GIP 이중 작용제특징: GLP-1의 식욕 억제 효과와 함께 GIP를 통한 인슐린 분비 조절 효과 → 혈당 및 체중 조절에 더 강력👉 정리하자면, 위고비..

정리 2025.08.21

고혈압 환자용 홍삼·사포닌 복용 체크리스트

✅ 1단계: 복용 전 점검현재 복용 중인 혈압약(ARB, ACEi, CCB, 베타차단제 등)을 정확히 알고 있다☐항혈소판제·항응고제(아스피린, 클로피도그렐, 와파린 등) 복용 여부를 확인했다☐평소 평균 혈압과 맥박을 알고 있다 (최근 1주간 기록)☐카페인·알코올 섭취 습관을 파악했다☐최근 1개월 내 수술·발치 예정이 없다☐ ✅ 2단계: 섭취 시작 시 주의시작 용량시판 제품 권장량의 1/2 이하 (예: Rg3 캡슐 하루 1정 대신 격일 1정)복용 시간오전·점심 권장 (저녁 복용 시 불면/심계 가능)병용 금지에너지 드링크, 고카페인 음료, 고도 알코올혈압 측정아침/저녁 1회씩, 최소 1주일 기록맥박 확인안정 시 맥박 분당 >100이면 중단 고려 ✅ 3단계: 매일 체크(자가 모니터링) 정상범위이상반응아침 ..

정리 2025.08.21

인삼은 혈압을 올리는데, 홍삼은 왜 괜찮을까?

✅ 인삼과 홍삼의 차이인삼(生人蔘): 그냥 생으로 쓰거나 말린 형태홍삼(紅蔘): 인삼을 쪄서 건조시킨 것 → 가공 과정에서 성분 구조가 바뀜 🔬 성분 변화인삼의 주요 약리 성분은 사포닌(ginsenosides) 인데, 종류에 따라 작용이 달라요.인삼에는 혈압을 올릴 수 있는 Rg1, Re 같은 성분이 많음 → 교감신경 흥분, 혈관수축, 심박동 증가홍삼은 찌는 과정에서 성분이 변형됨 → Rg3, Rh2, Rk1 등이 증가이 성분들은 오히려 혈관 확장, 혈압 안정 작용을 함항산화, 항응고, 혈류 개선 효과도 있음즉, 인삼을 그대로 먹으면 일부 성분이 혈압을 자극할 수 있는데, 홍삼은 가공하면서 그런 성분이 줄고 오히려 혈압을 조절하거나 안정시키는 방향으로 바뀌는 거예요. 💡 정리하자면인삼 → 교감신경..

정리 2025.08.21

인삼(Rg1, Re), 홍삼(Rg3, Rh2, Rk1) 비교

다섯 성분을 작용 기전·심혈관 영향·신경계 톤·혈소판/혈당·근거 수준으로 한눈에 비교해 드릴게요.(용어: PPD=Protopanaxadiol계, PPT=Protopanaxatriol계) 1) 분류·생성 경로Rg3, Rh2, Rk1: 모두 PPD계. 인삼을 찌고 건조(홍삼화)하는 과정에서 주로 증가/생성됨.Rg3 → 고온 처리로 Rk1, Rg5 등으로 탈수(dehydration) 전환 가능Rh2 → Rb1 등 대형 사포닌의 가수분해로 생성(소화·가공 중)Rg1, Re: PPT계. 생인삼에 풍부, 홍삼화 과정에서 상대적 비율이 감소하거나 동역학이 변함. 2) 구조 특징(간단 요점)PPD계(Rg3/Rh2/Rk1): 당 잔기 수가 적고 지용성↑ → 세포막 통과↑, 표적 단백과 직접 상호작용 경향.PPT계(R..

한약 2025.08.21

불포화지방산 비율이 높은 육류

1. 오리고기 🦆특징: 육류 중 불포화지방산 함량이 가장 높은 축.오리 지방은 리놀레산(오메가-6), 올레산(오메가-9) 풍부 → 혈관 건강에 유리.단점: 전체 지방량이 많으므로 껍질 제거가 중요.✅ 추천 조리법:훈제·찜(지방이 빠져나옴)채소와 곁들여 볶음기름기 제거 후 국물 요리 2. 말고기 🐴소·돼지보다 포화지방이 적고 불포화지방 비율 높음.단백질 소화율이 좋아 위에 부담이 적고, 철분·비타민B군 풍부.일본, 몽골에서 보양식으로 많이 활용.✅ 추천 조리법:저온 숙성 후 스테이크샤브샤브(기름기 최소화) 3. 닭고기(특히 다리살) 🐓닭 껍질에는 포화지방이 많지만, 살코기 자체는 불포화지방 비율이 높음.특히 올레산, 리놀레산 함유.✅ 추천 조리법:껍질 제거 후 구이, 찜올리브유 살짝 두른 팬 구이..

정리 2025.08.20

공진단 만드는 법 및 원가

공진단 만드는 법은 간단합니다. 고체형 재료를 분쇄하여 준비하고, 액체인 꿀을 넣어 뭉친 뒤에 건조시키면 됩니다. 1. 주요 재료를 준비합니다.사향, 녹용, 당귀, 산수유 입니다. 2. 환의 중량을 결정합니다4, 5, 6 g이 일반적입니다. 주요 약재의 가격 (100 g) 100 g 당 가격1알 용량1알 재료비 (5g 기준)사향20,000,000100 mg (0.1 g)20,000녹용100,0000.8 g800당귀25,0000.8 g20산수유50,0000.8 g40꿀3,0002.5 g7.5*사향은 보통 10 g 단위로 유통됩니다. 가격은 변동성이 있습니다. 사향이 고가이고 구하기 어렵다보니, 대용가능한 약재료 침향과 목향이 있습니다.*침향 : 상기된 기운을 내려준다. (얼굴이 붉고, 기가 위로 오르는 유..

한약 2025.08.20

불포화지방산과 포화지방산 차이 및 콜레스테롤 영향

1. 화학적 구조 차이포화지방산: 탄소 사슬이 수소로 꽉 차 있는 상태 → 딱딱하고 고체 형태(버터, 삼겹살 기름 등)불포화지방산: 탄소 사슬에 이중결합(=비어있는 자리)이 있음 → 액체 형태(올리브유, 오리고기 지방 등)👉 이 구조 차이 때문에 체내 대사 과정과 혈관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져요. 2. 혈중 콜레스테롤 조절 차이✅ 불포화지방산의 장점LDL(나쁜 콜레스테롤) 감소LDL이 많으면 혈관 벽에 쌓여 동맥경화 위험이 커집니다.불포화지방산(특히 오메가-3, 오메가-6, 올레산 등)은 LDL을 낮추고 HDL(좋은 콜레스테롤)을 높여 혈관을 깨끗하게 해줍니다.혈관 유연성 유지불포화지방은 체온에서 액체로 존재 → 혈액 점도를 낮춰주고 혈관벽에 덜 달라붙음.쉽게 굳지 않아 혈액순환이 원활해져요.항염 효과..

정리 2025.08.20

카페인의 구조 (Caffeine Structure)

✅ 카페인의 구조 (Caffeine Structure)화학명: 1,3,7-Trimethylxanthine (1,3,7-트리메틸잔틴)분자식: C₈H₁₀N₄O₂구조적 특징:푸린(purine) 골격을 가진 알칼로이드 ☕아데노신(adenosine)과 유사한 구조 → 신경계에서 아데노신 수용체(A1, A2A 등) 길항 작용지용성이 높아 **혈뇌장벽(Blood-Brain Barrier)**을 쉽게 통과 → 빠르게 뇌에 작용 ✅ 인체에서의 대사 (Metabolism)카페인은 간에서 CYP1A2 효소에 의해 주로 대사됩니다.흡수: 섭취 후 30~60분 내 혈중 최고 농도 도달반감기: 평균 3~7시간 (개인차, 임신·약물·흡연 여부에 따라 다름)대사 경로파라잔틴(Paraxanthine, 80%)중추신경 자극, 지방 분해..

정리 2025.08.2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