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905

긴장된 근육 이완, 근막? 근복? 근건?

**긴장된 근육을 이완시키기 위한 생리식염수 주사(근육이완 목적의 주사, 흔히 “트리거 포인트 주사”나 “근막내 주사”)**는 주입 깊이와 부위에 따라 효과가 크게 달라집니다.핵심은 ‘통증 유발점(trigger point)’이 위치한 층을 정확히 맞추는 것입니다. 🔍 1. 근막(fascia) vs 근복(belly) vs 근건(tendinous junction) — 어디에 넣을까? 위치목적효과설명근막 (fascia)근육을 싸고 있는 얇은 막층근막 긴장·유착 해소삼투압에 의해 유착층 분리 → 기계적 이완⭕ 근막 이완 목적에 매우 적합근복 (muscle belly)근섬유가 가장 밀집된 부위근육 내 긴장·trigger point 해소삼투압 + 국소 신장으로 trigger point 자극 완화⭕ 트리거포인트 ..

2025.11.12

무릎 굽혔다가 일어날 때 드르륵 소리(마찰음)

👉 반월상연골(반원판) 문제일 수도 있지만, 대부분은 슬개대퇴관절(patellofemoral joint)에서 나는 소리예요.아래에서 구체적으로 구분해드릴게요. ✅ 1️⃣ 소리의 원인 구분🔹 ① 슬개대퇴 관절 마찰음 (가장 흔함)소리 위치: 무릎 앞쪽, 슬개골 주변느낌: “드르륵”, “드드득”, “뚝뚝” 등 마찰 또는 걸리는 느낌특징:계단 오를 때, 앉았다 일어날 때 잘 느껴짐허벅지 힘을 꽉 주면(대퇴사두근 수축) 소리가 줄어듦힘을 덜 주면 마찰이 커져 소리가 심해짐 ← 지금 말씀하신 패턴이 정확히 이거예요원인:슬개골이 대퇴골 홈 안에서 살짝 비틀리며 움직이는 슬개대퇴 불균형(patellofemoral tracking disorder)대퇴사두근 불균형, 특히 외측광근이 과긴장 / 내측광근이 약화된 경..

정리 2025.11.12

무릎 아래 통증, 슬개건염 원인과 치료법

무릎 아래가 아프고 붓는다면 슬개건염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원인, 증상, 침·부항 치료 효과와 회복기간을 한의학적으로 정리했습니다. 🦵 무릎 바로 아래가 아플 때, ‘슬개건염’을 의심하세요운동을 하거나 계단을 오를 때 **무릎뼈 아래쪽(슬개골하극)**이 찌릿하게 아프다면, 단순한 근육통이 아닌 **슬개건염(膝蓋腱炎)**일 가능성이 높아요.이 부위는 **슬개골(무릎뼈)**과 **경골(정강이뼈)**을 잇는 **슬개건(patellar tendon)**이 지나가는 자리로,무릎을 펴는 동작마다 강한 힘이 집중되기 때문에 과사용 시 쉽게 염증이 생깁니다. 🔍 슬개건염이 생기는 원인슬개건염은 단순히 “많이 써서 아프다”가 아니에요. 실제로는 힘의 불균형과 미세손상 누적이 핵심 원인입니다.✅ 대표적인 원인계단·언..

정리 2025.11.12

근지방증 처치 (노인 허리 초음파시 고에코)

근육의 질은 다양한 대사질환에 영향을 준다> 당뇨 : 근육의 질이 감소하면 인슐린 반응이 감소하고 혈당관리가 힘들어진다 건강한 근육은 근육 내 지방이 적다. 자세히 살펴보자 근육은 혈당조절 역할을 하는 인슐린에 반응한다. 혈당을 흡수하고 소모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근육기능이 떨어지면 인슐린이 정상분비되어도 혈당관리의 효율성이 떨어져 인슐린 저항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지방간 간섬유화역시 예방된다. “초음파에서 근육이 흰색(밝게) 보인다 = 근육 내 지방침윤 또는 섬유화(fibrosis) 가능성 높음” 🔍 병태생리적으로 보면정상 근육초음파상 회색~중간 정도의 음영 (등밀도)근섬유 속에 규칙적인 섬유 방향(근막 패턴) 이 잘 보임근막(fascia)과 근육 경계가 뚜렷함섬유화(fibrosis) ..

정리 2025.11.12

무릎, 슬개건 부위 통증

✅ 1️⃣ 진단 감별 포인트🔹 (1) 슬개건염(Patellar tendinitis, Jumper’s knee)가장 흔한 원인이에요.무릎 아래쪽 뼈(슬개골하극, 즉 무릎뼈 밑의 돌출된 부분)에 압통과 국소 부종, 그리고 무릎 굽히거나 펴는 동작 시 통증이 있습니다.장시간 서 있거나 계단 오르내릴 때 통증이 심해집니다.진단명: ‘슬개건염’ 또는 ‘슬개건병증(patellar tendinopathy)’🔹 (2) 슬개하점액낭염(infrapatellar bursitis)슬개골 아래쪽, 건보다 약간 앞쪽의 연부조직이 넓게 부어오르고 눌러도 말랑한 느낌이 납니다.오래 무릎 꿇는 습관(청소, 기도 등)이 있는 사람에게 흔합니다.진단명: ‘슬개하점액낭염’🔹 (3) 경골조면부 골단염(Osgood-Schlatter di..

정리 2025.11.12

협착증 신경손상 단계별 생리학 + 치료전략

🧠 1️⃣ 신경손상 단계 개요 용어신경손상병태1단계 : 감각섬유 허혈 (Neurapraxia)일시적 전도차단경미한 압박, 신경막 부종정맥울혈 → 산소공급 감소 → 감각신경전도 저하2단계 : 감각 + 부분운동섬유 손상 (Axonotmesis)축삭 손상, 신경막 유지지속적 허혈, 축삭 변성 시작감각둔화 지속 + 근육약화 시작3단계 : 운동섬유 축삭손상 (Severe Axonotmesis)심부운동섬유 허혈지속적 압박 + 혈류차단근력저하, 보행장애4단계 : 말초신경 위축 (Neurotmesis)완전 손상신경재생 불가마비, 위축, 대소변장애 가능 🔬 2️⃣ 단계별 생리학적 변화 손상부위손상전도속도회복가능성1단계 (감각저하)외측 감각섬유허혈·부종약간 느려짐✅ 완전 회복 가능2단계 (혼합기)감각+일부 운동섬..

정리 2025.11.11

협착증, 감각이 먼저 저하되고 근력이 저하되는 이유

🧠 1️⃣ 척추신경의 구조를 먼저 이해하자우리 몸의 척추신경(Spinal nerve)은 한 가닥의 케이블처럼 보이지만,안에는 기능별로 서로 다른 굵기의 수많은 신경섬유(nerve fibers) 가 들어있습니다. 종류역할종류굵기속도운동신경(Motor fiber)근육에 신호 전달Aα fiber가장 굵음빠름감각신경(Sensory fiber)촉각·통증·온도 등 전달Aβ, Aδ, C fiber상대적으로 얇음느림자율신경(Autonomic)혈관, 장기 조절B fiber가장 얇음가장 느림 ⚙️ 2️⃣ 협착 시 신경 압박은 가장 바깥층부터 시작된다척추신경은 다음과 같이 층을 이루며 나옵니다. [피막 Epineurium] └ [신경속 Perineurium] └ [신경섬유 Fascicle (감각, 운동 혼재)] 척추관..

정리 2025.11.11

MRI 영상 소견에 따른 협착 정도별 침치료

📘 MRI 영상 소견에 따른 협착 정도별 한방치료 매뉴얼 🔍 1️⃣ 협착 정도의 영상학적 기준 추관직경단면적 소견경도 협착12–10 mm100–75 mm²경막낭이 보존됨, 신경근 간 공간 유지중등도 협착10–8 mm75–50 mm²경막낭 변형·압박, 신경근이 밀집됨중증 협착경막낭 소실, 신경근들이 한 덩어리로 압박됨 (clumping sign)🧠 핵심 해석 팁:MRI 축상면(axial view)에서 CSF(뇌척수액) 신호가 사라지면 중증,부분적으로 남아있으면 중등도 이하로 판단합니다. ⚙️ 2️⃣ 협착 정도별 증상 비교 증상신경학적징후보행예후경도간헐적 요통, 피로 시 저림없음500m 이상 가능매우 양호중등도엉치~다리 저림, 통증 반복감각저하 ±, 근력정상100–300m4–6주 내 60% 이상 호전..

정리 2025.11.11

협착증 수술 해야하는 경우

🧠 1️⃣ 협착증의 기본 이해요추 협착증(Lumbar Spinal Stenosis, LSS)은척추관(spinal canal) 또는 신경근공(foramen)이 좁아져신경근, 말초신경, 혈관이 압박되어 생기는 신경증상이에요. ⚠️ 2️⃣ 수술이 필요한 적응증 (필수 확인 사항)✅ 절대적 수술 적응증 (즉시 수술 고려해야 하는 경우) 증상병태마미증후군 (Cauda equina syndrome)대소변 장애, 항문주위 감각소실 (saddle anesthesia), 하지 근력저하신경총이 심하게 눌려 영구손상 위험진행성 근력저하발목이 들리지 않음(foot drop), 보행불능, 한쪽 다리 힘 빠짐운동신경이 지속 압박으로 축삭손상 진행보존적 치료 실패 후 심한 통증 지속약·주사·침·물리치료 3개월 이상에도 생활불가..

정리 2025.11.11

협착증 관련 침치료

협착증 환자는 크게 세 부류로 나눠집니다.운동신경까지 손상된 단계 → 다리 힘 빠짐, 대소변 이상 → ⚠️ 이건 수술 적응증입니다.감각이상 중심(저림·통증) + 근육긴장 심한 단계 → 🌿 한방치료로 호전 가능성이 충분합니다.수술 후 잔통증/반복통 → 근막·유착·혈류문제 중심으로 접근합니다.따라서 아직 수술 전이고, 근력저하가 없으며 통증·저림 위주라면, 침치료 중심으로 충분히 호전 가능합니다. 협착증은 뼈나 인대의 협소보다도, 그로 인한 신경 주변의 ‘2차 긴장’이 통증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그래서 치료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협착이 생기면 단순히 신경이 “눌린다”기보다, 신경 주위의 혈류순환 저하로 인한 ischemic neuropathy가 핵심이에요.정맥울혈 → 산소공급 감소 → 신..

정리 2025.11.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