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

협착증 관련 침치료

MANYFAST 2025. 11. 11. 12:02
반응형

 

 

 

협착증 환자는 크게 세 부류로 나눠집니다.

  1. 운동신경까지 손상된 단계다리 힘 빠짐, 대소변 이상 → ⚠️ 이건 수술 적응증입니다.
  2. 감각이상 중심(저림·통증) + 근육긴장 심한 단계 → 🌿 한방치료로 호전 가능성이 충분합니다.
  3. 수술 후 잔통증/반복통 → 근막·유착·혈류문제 중심으로 접근합니다.

따라서 아직 수술 전이고, 근력저하가 없으며 통증·저림 위주라면, 침치료 중심으로 충분히 호전 가능합니다.

 

 

협착증은 뼈나 인대의 협소보다도, 그로 인한 신경 주변의 ‘2차 긴장’이 통증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치료 목표는 다음과 같습니다.

협착이 생기면 단순히 신경이 “눌린다”기보다, 신경 주위의 혈류순환 저하로 인한 ischemic neuropathy가 핵심이에요.

  • 정맥울혈 → 산소공급 감소 → 신경부종 → 감각이상, 저림, 통증
  • 감각신경 말단의 과흥분 → 신경통성 통증
  • 교감신경 흥분 → 주위 근육 수축 유지 → 만성 근막통 패턴 형성

결국, 신경자체 문제와 함께 주변 근육의 반사성 긴장(guarding) 이 통증의 주된 원인으로 남습니다.

 

 

 

🩺 침치료의 생리적 작용 메커니즘

근육 긴장 완화 근방추 억제, γ-motor neuron 흥분 억제 → tone 감소
혈류 개선 국소 vasodilation, microcirculation 개선
통증조절 Aβ fiber 자극 → 척수 후각에서 통증 신호 억제 (Gate control theory)
신경 회복 촉진 BDNF, NGF 분비 증가로 신경 재생 유도
교감신경 안정 부교감신경 활성화로 말초혈류 증
근육 증상 처치
다열근 중심 요통, 기립 시 통증 협척혈 깊은 자침 (spine line 따라)
요방형근 한쪽 요통, 기침·재채기 시 악화 요방형근 상방 외측면 자침
장요근 서있을 때 허리통증, 골반전방경사 복부 측면 접근 (주의 깊게)
중둔근/이상근 엉치→다리 저림 대좌골공 부위 깊은 자침
햄스트링 기시부 무릎 뒤·허벅지통 승산, 위중 연결 자침

 

 

  • 초기: 주 2~3회 (3주간) → 염증과 근막긴장 완화 단계
  • 중기: 주 1~2회 (4~6주) → 신경통 감소, 자세교정 병행
  • 유지기: 월 2회 내외 → 재발 방지, 신기보강

치료목표

✅ 6주 이내 50~70% 통증 감소,
✅ 보행거리 증가, 야간통 감소
✅ 신경학적 저림 완화

 

 

🌿 한약 병행 방향

  • 독활기생탕: 노인성 협착, 냉감 동반
  • 보신활혈탕: 허증 + 어혈 동반
  • 계지복령환 가감: 하체순환 저하, 여성 환자
  • 우슬·속단·두충·육계 등으로 신골 강화

 

 

⚠️ 치료 한계와 수술 적응증 구분

침치료로 호전 가능한 경우:

  • 근력저하 없음
  • 저림, 통증 위주
  • 오래 걷지 못하지만 쉬면 회복되는 간헐적 파행

수술을 고려해야 하는 경우:

  • 대소변 장애
  • 하지 근력 3등급 이하
  • 통증이 밤에도 심하고, 안정 시에도 지속
    → 이런 경우는 신경영구손상 방지를 위해 수술이 필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