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근육의 질은 다양한 대사질환에 영향을 준다
> 당뇨 : 근육의 질이 감소하면 인슐린 반응이 감소하고 혈당관리가 힘들어진다
건강한 근육은 근육 내 지방이 적다.
자세히 살펴보자
근육은 혈당조절 역할을 하는 인슐린에 반응한다. 혈당을 흡수하고 소모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근육기능이 떨어지면 인슐린이 정상분비되어도 혈당관리의 효율성이 떨어져 인슐린 저항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지방간 간섬유화역시 예방된다.

“초음파에서 근육이 흰색(밝게) 보인다 = 근육 내 지방침윤 또는 섬유화(fibrosis) 가능성 높음”
🔍 병태생리적으로 보면
- 정상 근육
- 초음파상 회색~중간 정도의 음영 (등밀도)
- 근섬유 속에 규칙적인 섬유 방향(근막 패턴) 이 잘 보임
- 근막(fascia)과 근육 경계가 뚜렷함
- 섬유화(fibrosis) / 지방침윤(fatty infiltration) 근육
- 에코가 증가(밝게, hyperechoic)
- 근섬유 패턴이 불규칙하거나 소실
- 근막 경계도 흐려지거나 두꺼워짐
- 경우에 따라 근육의 두께가 얇아짐(atrophy 동반)
- 노화와 관련된 변화
- 노년기에는 기립근, 대둔근, 대퇴사두근 등에서
▶ 근섬유 수 감소
▶ 결합조직과 지방조직의 침윤
▶ 근섬유 간 간질의 섬유화
가 일어나 초음파상 고에코(밝은 흰색) 로 보이게 됩니다.
- 노년기에는 기립근, 대둔근, 대퇴사두근 등에서
⚖️ 섬유화 vs 지방침윤 구별 포인트
| 특징 | 원인 | 예시 | |
| 섬유화(Fibrosis) | 밝은 고에코 + 근육질감 뻣뻣, 움직임 제한 | 만성 염증, 반복적 손상, 흉터화 | 수술 후, 근육손상 후 |
| 지방침윤(Fatty infiltration) | 밝은 고에코 + 두께 감소, 패턴 소실 | 노화, 비사용성 위축 | 노인성 근감소증, 신경병성 위축 |
💬 결론적으로, 노인 환자의 기립근이 전체적으로 흰색이라면
👉 섬유화(fibrosis) 와 지방침윤(fatty infiltration) 이 복합적으로 진행된 퇴행성 근육변성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임상적으로 해석하는 법
- 근육 두께 측정
→ 양측 비교 시 20% 이상 얇다면 위축 소견 - 근막 구조 확인
→ 근막 패턴이 끊기거나 반사강도 증가 시 섬유화 의심 - 기능적 평가(예: 도플러 또는 수축 시 영상)
→ 수축 시 움직임이 적다면 섬유화 또는 신경지배 저하 가능 - 보조적으로
→ MRI T1상 고신호면 지방침윤
→ T2상 저신호면 섬유화
🩺 치료 및 관리 포인트
- 운동치료 시, 섬유화 근육은 탄성 회복이 어려워
👉 가벼운 등척성 → 신전운동 → 자세 교정으로 접근 - 도침·약침·매선치료 등은 근막 유착 완화, 순환개선에 도움
- 단백질 섭취 + 저강도 근력운동 병행이 회복의 핵심
✅ 정리
“노인환자의 기립근이 초음파상 흰색으로 보인다면,
이는 근육 섬유화(fibrosis) 또는 지방침윤(fatty infiltration)으로 인한
퇴행성 근육변성을 의미한다.”
반응형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무릎 굽혔다가 일어날 때 드르륵 소리(마찰음) (0) | 2025.11.12 |
|---|---|
| 무릎 아래 통증, 슬개건염 원인과 치료법 (0) | 2025.11.12 |
| 무릎, 슬개건 부위 통증 (0) | 2025.11.12 |
| 협착증 신경손상 단계별 생리학 + 치료전략 (0) | 2025.11.11 |
| 협착증, 감각이 먼저 저하되고 근력이 저하되는 이유 (0) | 2025.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