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905

소화력, 팔물탕 보중익기탕

두 처방 모두 ‘기혈보강제’로 유명하지만,👉 소화력이 약한 노인에게는 선택 기준이 아주 중요해요.어떤 차이가 있고, 실제 임상에서는 어떻게 선택해야 할지 정리해볼게요. 💡 팔물탕과 보중익기탕, 뭐가 다른가요? 팔물탕보중익기탕기본 성격기와 혈을 동시에 보함비위기허 중심의 기 보강구성사군자탕 + 사물탕황기, 인삼, 백출, 당귀, 시호, 승마, 진피, 감초작용기혈쌍보, 진액보충, 피로회복비위를 돕고 기를 끌어올림, 위장운동 강화성질다소 윤조(潤燥), 끈적함건조·승양적, 습기 줄임적응 체질혈허, 진액부족, 건조한 체질비위허약, 식욕저하, 소화력 약한 체질부작용 가능성비위허약자에겐 설사·더부룩함과다 복용 시 열감, 불면 가능성 🍵 팔물탕이 안 맞는 경우팔물탕에는 숙지황, 당귀, 천궁, 백작약 등 혈을 보하..

정리 2025.11.10

감기 처방 (구미강활탕, 형개연교탕, 삼소음, 보중익기탕)

🔍 증상 분석증상해석두통, 몸살풍사(風邪)가 표(表)에 머문 상태맑은 콧물풍한(風寒)일 가능성 ↑기침, 가래폐기(肺氣) 불리, 담이 상부로 상승약간의 몸살표한(表寒) → 위기불화(衛氣不和)열감 거의 없음, 땀 적음풍한형 특징👉 즉, 열성(炎症)보다는 한사(寒邪) 쪽이 더 강해 보입니다. ⚗️ 처방 비교 구미강활탕(九味羌活湯) 형개연교탕(荊芥連翹湯) 기본 성향풍한(風寒) 감모 + 두통 + 몸살형풍열(風熱) 감모 + 인후통 + 콧물누렇고 열감형주요 약재강활, 독활, 세신, 방풍, 천궁, 백지 등형개, 연교, 금은화, 박하, 길경, 방풍 등주효 작용해표거풍, 제습, 지통, 발한해열, 해독, 소염, 인후염 완화적합한 증상두통, 오한, 맑은 콧물, 땀 없음, 근육통목 아픔, 누런 콧물, 미열, 입마름, 땀..

한약 2025.11.10

환절기 아닐때 감기 바이러스는 어디에 있는거야?

🌍 1️⃣ 감기바이러스는 자연환경에 오래 못 산다감기 원인 바이러스 대부분은 지질막이 없거나(리노바이러스),있더라도 **환경 스트레스에 약한 구조(코로나바이러스)**를 가집니다.햇빛(자외선): RNA가 금세 파괴됨 ☀️온도 상승(>37℃): 단백질 변성건조/산성 환경: 지질막 파괴→ 따라서 바이러스는 외부 환경에서 오래 생존하지 못해요.예를 들어,리노바이러스: 문고리·손 등 표면에서 3~24시간감기형 코로나바이러스: 1~2일 정도이후엔 전염력 거의 0.즉, “바이러스가 바람에 실려 겨울에 돌아온다”는 건 ❌ 오해예요. 🧬 2️⃣ 그럼 실제로는 어디에 있냐면…👉 사람의 인구집단 안에 계속 있어요.감기바이러스는 **소리 없는 전파자(asymptomatic carrier)**를 통해 유지됩니다.감염 후..

정리 2025.11.07

Gevalin 대신 사용 가능한 한약

🧠 1️⃣ 두통을 한의학적으로 분류하면유형원인특징한약간열두통 (간火上炎)스트레스, 분노, 열머리가 띵하고 얼굴 붉음, 눈 충혈, 어지럼용담사간탕(龍膽瀉肝湯)기혈허두통 (氣血不足)피로, 수면 부족, 노화머리가 무겁고 어질, 기운 없음보중익기탕(補中益氣湯), 십전대보탕(十全大補湯)담습두통 (痰濕阻滯)소화불량, 비만, 몸이 무거움머리 무겁고 눌리는 듯, 어깨·목 뻐근반하백출천마탕(半夏白朮天麻湯)풍한두통 (風寒頭痛)찬바람, 감기 후머리 뒤·목이 당기고 뻣뻣천궁다조산(川芎茶調散)풍열두통 (風熱頭痛)감기 초반, 염증열감, 인후통, 머리 맑지 않음은교산(銀翹散), 청상방풍탕(淸上防風湯) 🌿 2️⃣ 게보린 대체로 쓰일 수 있는 대표 한약들💊 ① 천궁다조산 (川芎茶調散)👉 “두통의 표준방”이라 불릴 만큼 폭넓게 ..

정리 2025.11.07

게보린(Gevalin) 많이먹으면 (하루 3알 장복)

게보린(Gevalin)은 일반의약품으로, 아세트아미노펜(진통해열제), 이소프로필안티피린(진통보조제), 카페인(각성제) 세 가지 성분이 복합된 해열진통제입니다.보통 두통, 생리통, 치통, 근육통 등에 복용하지만, “3알씩 장기간 복용”하는 것은 매우 위험한 습관입니다 ⚠️ ✅ 1. 게보린 3알씩 장복 시 주요 문제점① 간 독성 (아세트아미노펜)아세트아미노펜은 간에서 대사되며, 하루 최대 허용 용량은 약 4,000mg입니다.게보린 1정에 아세트아미노펜 300mg이 들어 있으므로👉 3정 = 900mg👉 하루 3번만 복용해도 2,700mg~3,600mg 수준.장기 복용 시 간수치(AST, ALT) 상승, 간 피로, 식욕 저하, 구역, 피로감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② 식욕 저하의 원인게보린 자체 성분 중 이..

정리 2025.11.07

한약과 세포의 atp 생산 (피로)

🧠 1️⃣ 전제: 한약은 “물질 집합체”다한약은 단일 화합물이 아니라수십~수백 종의 수용성·다당류·페놀·플라보노이드·사포닌·알칼로이드 복합체입니다.👉 즉, 물 추출이라고 해서 “단순한 차”가 아니라,“대사·항산화·신호전달에 직접 작용하는 저분자 물질들의 혼합물”이에요.그중 일부는 소장에서 흡수되어 혈류를 타고 세포 내 신호 전달계를 조절합니다. ⚡️ 2️⃣ 미토콘드리아 ATP 생산 경로, 아주 간단히 보면ATP는1️⃣ 포도당·지방산 → TCA 회로(시트르산 회로)2️⃣ 전자전달계 (Complex I–V)3️⃣ 산화적 인산화(Oxidative phosphorylation)을 통해 만들어집니다.이 과정에서NADH/FADH₂ 생성미토콘드리아막의 전위(ΔΨm)ATP synthase 활성이 필수입니다. ?..

정리 2025.11.07

정을 보한다, 신을 보한다, 기혈을 보한다의 의미

🧠 1️⃣ ‘정(精)’을 보충한다 = 세포 재생·에너지 대사 회복한의학에서 **‘정(精)’**은 생명활동의 근본 에너지예요.생리의학적으로 보면 이건👉 미토콘드리아의 에너지 생산력(ATP 합성 능력)👉 세포 단백질 합성과 재생능력👉 호르몬 분비 균형(특히 테스토스테론·에스트로겐·성장호르몬 등)과 대응됩니다.즉, “정을 보충한다”는 건🔹 노화로 인해 떨어진 세포 에너지 생산을 높이고🔹 근육 합성과 회복을 촉진하며🔹 신경과 내분비계의 기능을 활성화하는 걸 의미합니다.예를 들어,녹용이나 우귀환 계열 처방은 HPA 축(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기능을 강화해👉 피로감 개선, 근육 합성률 증가, 혈중 코르티솔 안정화가 보고된 바 있습니다. 💪 2️⃣ ‘신(腎)을 보한다’ = 내분비·대사·면역 시스템..

정리 2025.11.07

노화로 떨어진 미토콘드리아 ATP, 한약

한약은 물 추출물인데 어떻게 미토콘드리아 ATP 생산을 높일까? 최신 근거와 200종 한약재 스크리닝 방법, 우선 후보군, 실전 적용 팁을 본고딕 r로 정리. 왜 ‘한약(물 추출물)’이 미토콘드리아 ATP에 개입할 수 있나?핵심은 수용성 활성성분이에요. 다당체, 사포닌, 페놀·플라보노이드, 알칼로이드 등은 장에서 흡수돼 AMPK–SIRT–PGC-1α 같은 신호계를 건드리고, Nrf2 항산화, 미토콘드리아 생합성(바이오제네시스), 혈류·산소 전달을 개선합니다. 결과적으로 전자전달계 효율, 막전위(ΔΨm), 산화적 인산화 여건이 좋아져 ATP 생산이 유지·증가될 수 있죠. 고속 스크리닝(HTS)으로 천연물에서 미토콘드리아 보호/증강 물질을 찾는 연구도 활발합니다. (PubMed)핵심 키워드: 미토콘드리아 ..

정리 2025.11.07

노인 다리에 힘이 없음

✅ 다리에 힘이 빠지는 이유부터 알아야 합니다나이가 들면 “다리에 힘이 없다”는 표현을 자주 하시죠.그런데 이 말 속에는 다양한 의미가 숨어 있습니다.단순히 근육이 약해진 경우도 있지만,👉 신경전달 이상,👉 혈류장애,👉 관절 손상,👉 척추 질환등이 원인일 수도 있습니다.🔹 대표적인 원인 5가지근감소증 (Sarcopenia)노화로 근육량이 줄어드는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70대 이상에서는 10명 중 4명 이상에서 관찰됩니다.근육이 줄면 기립 유지나 계단 오르기가 어렵고 쉽게 피로합니다.퇴행성 척추질환척추관협착증이나 디스크로 인해 신경이 눌리면,허리통증과 함께 다리 힘이 빠지고 저림이 동반됩니다.말초혈관질환 (혈류 저하)다리가 무겁고 차가우며, 걸을 때 통증이 생겼다 쉬면 나아지는 증상(간헐적 파행)..

정리 2025.11.07

목/어깨 통증과 약화되는 근육 처치

목의 통증의 경우 근육의 약화로 기인하는 경우가 있다. 우선 가장 표층에 위치한 승모근을 처치한다. 자주 압통을 느끼는 포인트를 찾아서 처치한다. 표층에 있어서 부항 또는 산자하여 압통점을 해소한다. 여기서 한층 더 들어가서 보이는 근육들이다.견갑거근 / 소능형근 rhomboid minor / 대능형근 rhnomboid major가 다음 층을 이룬다. 안쪽에 있는 상후거근 serratus posterior superior / 그 아래있는 광배근까지 제외하면 목을 구성하는 근육들이 보인다. 위쪽 구조부터 보면두판상근 splenius capitis / SCM 을 볼 수 있다. 중앙에 있는 두반극근 semispinalis capitis 이다. 이 근육은 후두골에 부착되는데 기시는 C4~6의 관절돌기..

2025.11.0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