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

무릎, 슬개건 부위 통증

MANYFAST 2025. 11. 12. 11:42
반응형

 

✅ 1️⃣ 진단 감별 포인트

🔹 (1) 슬개건염(Patellar tendinitis, Jumper’s knee)

  • 가장 흔한 원인이에요.
  • 무릎 아래쪽 뼈(슬개골하극, 즉 무릎뼈 밑의 돌출된 부분)에 압통과 국소 부종, 그리고 무릎 굽히거나 펴는 동작 시 통증이 있습니다.
  • 장시간 서 있거나 계단 오르내릴 때 통증이 심해집니다.
  • 진단명: ‘슬개건염’ 또는 ‘슬개건병증(patellar tendinopathy)’

🔹 (2) 슬개하점액낭염(infrapatellar bursitis)

  • 슬개골 아래쪽, 건보다 약간 앞쪽의 연부조직이 넓게 부어오르고 눌러도 말랑한 느낌이 납니다.
  • 오래 무릎 꿇는 습관(청소, 기도 등)이 있는 사람에게 흔합니다.
  • 진단명: ‘슬개하점액낭염’

🔹 (3) 경골조면부 골단염(Osgood-Schlatter disease)

  • 성장기 청소년에게 많지만, 성인 운동선수에게도 드물게 남을 수 있습니다.
  • 무릎 바로 아래 **경골결절(뼈 돌출 부위)**에 단단한 혹처럼 만져지면서 통증이 지속됩니다.

 

 

✅ 2️⃣ 침치료 vs 부항치료

💉 침치료

  • 슬개건염이라면 침치료가 1차 선택이에요.
  • 병변부(슬개하극 건부착부 주변)에 자극을 주어 혈류를 개선하고, 건의 미세손상 회복을 유도합니다.
  • 주요 자침점:
    • 족삼리(ST36), 양구(ST34), 독비(ST35), 내슬안(EX-LE4), 외슬안(EX-LE5)
    • 필요 시 슬개하극부 국소 자침 (직자보다는 약간 사자, 깊이 10~15mm 내외)
  • 보조: 열침 또는 저주파 전침 병행 (1–2Hz 저주파, 15–20분)

 

🩸 부항치료

  • 급성 부종이나 점액낭염 형태일 경우엔 부항으로 울혈 완화하는 게 더 낫습니다.
  • 통증이 열감과 부기 위주라면 침보다는 부항/습부항(혹은 건식부항)으로 염증 완화 효과가 큽니다.
  • 하지만 슬개건염의 만성기에는 단순 부항만으로는 깊은 건 병변 회복이 어렵습니다.

 

👉 정리하면:

단단하고 국소 압통 중심 침치료 + 전침
부드럽고 넓은 부기, 열감 부항치료 (냉찜질 병행)
오래된 만성통증, 운동 시 통증 침 + 약침 or 봉약침 병행

 

 

✅ 3️⃣ 치료 빈도 및 기간

급성기 (부기, 열감) 주 2~3회 4~6회 1~2주 내 부종 감소 후 침치료로 전환
아급성기 (통증 완화 단계) 주 1~2회 6~8회 건 회복 유도, 전침 or 약침 병행
만성기 (운동 후 뻐근함) 주 1회 or 격주 8~12회 근막균형, 근육·건 재활 위주

💡 운동선수나 활동량 많은 환자는 재손상 방지 스트레칭대퇴사두근 강화 병행이 중요합니다.

 

 

✅ 4️⃣ 추가 관리 팁

  1. 운동 전후 스트레칭
    • 허벅지 앞쪽(대퇴사두근)과 햄스트링 스트레칭을 10초×3세트.
  2. 냉온찜질 구분
    • 통증 심하거나 열감 → 냉찜질 10분
    • 뻐근하고 굳은 느낌 → 온찜질 15분
  3. 테이핑
    • 슬개건 하부 압박테이핑(“Jumper’s knee strap”) 사용 시 통증 감소 효과
  4. 약침
    • 오공약침, 자하거약침, 봉약침 등 조직 재생 목적 병행 가능

 

 

✅ 5️⃣ 예후

  • 슬개건염은 회복이 느린 질환이에요.
  • 꾸준히 치료하면 4~6주 내 통증이 절반 이하로 줄고,
    8~12주면 대부분의 환자가 일상 활동에 불편 없음까지 회복합니다.

 

💬 결론 요약

진단명은 ‘슬개건염’ 혹은 ‘슬개하점액낭염’ 가능성이 높습니다.
부기가 부드럽고 넓게 퍼졌다면 부항,
국소 압통 중심이라면 침치료가 우선이에요.
주 1~2회, 총 8~12회 정도 치료를 기본 계획으로 잡으면 좋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