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세포 수준에서의 작용
- 핵수용체(nuclear receptor) 결합
- T3(트리요오드티로닌)은 세포 내로 들어가 **핵 내 수용체(thyroid hormone receptor, TR)**와 결합.
- 전사인자(transcription factor)로 작용해 유전자 발현 조절 → 단백질 합성, 효소 생산 변화.
- **T4(티록신)**은 상대적으로 활성이 낮고, 말초 조직(간, 신장, 뇌 등)에서 탈요오드화 효소에 의해 T3로 변환 후 작용.
즉, T3가 실질적으로 생리적 효과를 담당합니다.
2. 대사(에너지 조절)
- 기초대사율(Basal Metabolic Rate, BMR) 증가
- 미토콘드리아 산화 인산화 촉진 → ATP 생산·소비 증가.
- 열 생산(thermogenesis) 촉진.
- 탄수화물 대사
- 장에서 포도당 흡수 증가.
- 간에서 글리코겐 분해(glycogenolysis), 포도당 신생합성(gluconeogenesis) 촉진.
- 말초에서 포도당 이용 증가 → 혈당 조절에 영향.
- 지질 대사
- 지방 분해(lipolysis) 촉진.
- 혈중 유리지방산(FFA) 농도 증가.
- 콜레스테롤 합성 증가 + 동시에 분해(HDL 증가, LDL 감소).
- 단백질 대사
- 정상 범위에서는 단백질 합성 촉진.
- 과잉 시 단백질 분해 → 근육 위축, 체중 감소.
3. 발달과 성장
- 신경계 발달
- 태아기~영아기에 T3/T4 부족 시 → 중추신경계 발달 지연, 지능 저하 (크레틴병).
- 축삭 성장, 시냅스 형성, 수초화(myelination) 조절.
- 뼈 성장
- GH(성장호르몬), IGF-1과 상호작용.
- 골형성(osteogenesis) 촉진.
4. 심혈관계
- 심근 세포의 베타 아드레날린 수용체 발현 증가 → 교감신경 자극 민감도 ↑
- 심박수 증가, 수축력 증가, 심박출량 증가
- 말초혈관 확장 → 혈류 증가
👉 이 때문에 갑상선 기능항진증에서는 빈맥, 심계항진, 고혈압이 잘 생겨요.
5. 호흡기계
- 기초대사 증가 → 산소 소모량↑, 이산화탄소 생산↑
- 호흡중추 자극 → 환기량 증가
6. 위장관계
- 장운동 촉진
- 흡수율 변화 → 기능항진증에서는 설사, 기능저하증에서는 변비.
7. 생식기
- 여성: 배란과 자궁내막 유지에 필수 → 불임, 월경불순과 연관.
- 남성: 정자 생성에도 관여.
8. 기타 조직 영향
- 피부/모발: 표피세포 증식, 모발 성장 조절 → 저하증 시 탈모·피부 건조.
- 근육: 칼슘 펌프 조절 → 수축·이완 조절.
- 간: 지질, 콜레스테롤 대사에 직접 작용.
요약 (핵심 포인트)
- 세포 수준: 유전자 발현 조절(T3 중심).
- 대사: 탄수화물·지방·단백질 대사 전반 ↑ (에너지 소모↑).
- 발달: 뇌, 신경, 뼈 성장 필수.
- 심혈관계: 심박수·심박출량↑.
- 소화기: 장운동 촉진.
- 생식기: 배란, 생리, 정자 생성 유지.
즉, 갑상선 호르몬은 **“세포의 엔진을 켜는 스위치”**라고 할 수 있어요 🔥
반응형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손 피부 스치기만 해도 아픈 이유 (1) | 2025.09.04 |
---|---|
갑상선 질환과 피부·신경 감각 변화 (0) | 2025.09.04 |
갑상선 항진증 한약 적합·부적합 정리표 (0) | 2025.09.04 |
그레이브스병 생활관리 가이드 (0) | 2025.09.04 |
갑상선 항진증 약물의 작용기전 (0) | 2025.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