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갑상선 항진증(Graves병, 독성결절성 갑상선종 등)은 갑상선 호르몬이 과도하게 생성·분비되는 상태예요. 치료에는 주로 항갑상선제(Thionamide 계열), 베타차단제, 요오드 제제, 방사성 요오드 등이 쓰입니다. 각각의 작용기전을 알면 약을 왜 쓰는지, 부작용은 뭔지 훨씬 이해하기 쉬워요. 😊
✅ 1. 항갑상선제 (Thionamide 계열)
대표 약: 메티마졸(Methimazole), 프로필티오우라실(PTU)
- 작용기전
- 갑상선 세포 내 갑상선 퍼옥시다제(TPO) 효소 억제 👉 요오드가 티로신에 결합하는 과정(organification) 차단
- T4 → T3 변환 억제(PTU만 가능) 👉 말초에서 활성호르몬 생성 감소
- 효과: 새로운 갑상선 호르몬 합성 억제 → 혈중 T4/T3 농도 점차 낮아짐
- 특징
- PTU: 임신 초기에 선호 (태반 통과 적음, T4→T3 억제 기능)
- 메티마졸: 작용이 더 강력, 복용 횟수 적음
✅ 2. 베타차단제 (Beta-blocker)
대표 약: 프로프라놀롤(Propranolol)
- 작용기전
- 교감신경 β-수용체 차단 👉 심계항진, 손떨림, 불안, 발한 감소
- 일부 약물(프로프라놀롤)은 말초 T4 → T3 변환 억제 기능도 있음
- 효과: 증상(빈맥, 떨림, 불안 등) 빠른 개선 ⏱
- 특징: 원인 치료가 아니라 증상 조절용 보조제
✅ 3. 요오드 제제 (고용량 Iodide, Lugol’s solution)
- 작용기전
- Wolff–Chaikoff 효과: 요오드 과잉 투여 → 갑상선에서 호르몬 합성 일시적 억제
- 갑상선 호르몬 분비 차단
- 효과: 투여 후 수일 내에 T4/T3 분비 급격히 억제
- 특징
- 수술 전 갑상선 크기와 혈류 줄이기 위해 단기 사용
- 장기간 사용 시 효과 사라짐 (escape 현상)
✅ 4. 방사성 요오드 치료 (Radioiodine, I-131)
- 작용기전
- 갑상선 세포가 요오드를 흡수하는 특성을 이용
- 방사성 요오드가 세포 내에서 방사선 방출 → 갑상선 세포 파괴
- 효과: 점진적 갑상선 조직 위축 → 항진증 개선
- 특징
- 비수술적 근치적 치료법
- 단, 임산부·수유부는 금기 🚫
✅ 5. 스테로이드 (Prednisone 등, 보조적 사용)
- 작용기전
- T4 → T3 말초 전환 억제
- 자가면역 억제 작용 (특히 갑상선 안병증에서 활용)
- 효과: 갑상선 중독 위기(Thyroid storm)나 안병증에서 유용
💡 정리
- 메티마졸/ PTU: 갑상선 호르몬 합성 억제 (PTU는 말초 전환 억제도)
- 베타차단제: 교감신경 증상 완화 + 일부 전환 억제
- 요오드 제제: 고용량 → 호르몬 분비 일시 억제
- 방사성 요오드: 세포 파괴, 근치적 치료
- 스테로이드: 전환 억제 + 면역 조절
✅ 1. 항갑상선제 (메티마졸, PTU)
📌 부작용
- 가벼운 부작용
- 발진, 두드러기, 가려움
- 위장장애 (속쓰림, 메스꺼움, 복통)
- 심각한 부작용 (드물지만 중요)
- 무과립구증(agranulocytosis): 면역세포 감소 → 고열·인후통 시 즉시 병원 방문 🚨
- 간독성 (특히 PTU에서 더 흔함)
- 드물게 관절통, 혈관염
📌 복용기간
- 보통 12~18개월 이상 복용
- 혈액검사(TSH, Free T4) 따라 용량 조절
- 재발률: 30~50% (특히 Graves병은 재발 가능성 있음)
- 재발 시: 다시 약물, 방사성 요오드, 수술 고려
✅ 2. 베타차단제 (프로프라놀롤 등)
📌 부작용
- 피로감, 어지럼증
- 서맥(맥박 느려짐), 저혈압
- 천식 환자에서 기관지 수축 주의 🚫
📌 복용기간
- 원인 치료가 아님 → 증상 심할 때만 단기간 사용
- 항갑상선제 효과가 나타날 때까지(보통 2~6주) 병용
✅ 3. 요오드 제제 (루골 용액 등)
📌 부작용
- 침샘종대, 입안 금속맛, 위장장애
- 피부 발진, 발열
- 장기간 사용 시 효과 소실(escape 현상)
📌 복용기간
- **단기간(1~2주)**만 사용
- 수술 전 준비, 갑상선 중독 위기 시 보조적
✅ 4. 방사성 요오드 (I-131)
📌 부작용
- 갑상선 기능저하증(수개월~수년 후 발생 가능 → 평생 갑상선 호르몬 보충 필요)
- 드물게 갑상선염, 목 부위 불편감
- 임신·수유 중 절대 금기 🚫
📌 복용기간
- 한 번 치료 후 효과가 나타나기까지 1~3개월 소요
- 일부 환자는 추가 투여 필요
✅ 5. 스테로이드 (보조치료)
📌 부작용
- 부종, 체중 증가, 혈당 상승
- 장기 사용 시 골다공증, 면역 저하
- 단기간 사용 시 큰 문제는 드묾
📌 복용기간
- 갑상선 안병증, 갑상선 중독 위기에서 단기 사용
💡 환자가 꼭 기억해야 할 포인트
- 무과립구증 경고
- 고열, 목통증 → 즉시 약 중단하고 병원 가기
- 정기검사 필수
- 혈액검사(갑상선 호르몬, 간수치, 백혈구 수치) 꾸준히 확인
- 임신·수유 계획
- 임신 초기엔 PTU, 이후엔 메티마졸 권장
- 치료 기간은 길다
- 대부분 최소 1년 이상, 재발 가능성도 있음
- 생활습관 병행
- 카페인 줄이기, 충분한 수면, 규칙적 생활이 약효 유지에 도움
반응형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갑상선 항진증 한약 적합·부적합 정리표 (0) | 2025.09.04 |
---|---|
그레이브스병 생활관리 가이드 (0) | 2025.09.04 |
그레이브스병, 면역 균형 회복 루틴 (0) | 2025.09.04 |
그레이브스병(Graves’ disease) 발병기전 총정리 (0) | 2025.09.04 |
그레이브스병 치료 기전과 예후 (0) | 2025.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