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171

✅ 신생아·영유아의 식도 통과 및 위 배출 시간: 병태생리와 나이별 변화

1️⃣ 용어 정리식도 통과 시간 (Esophageal transit time)구강에서 인두, 식도를 거쳐 위까지 음식물이 내려가는 시간위 배출 시간 (Gastric emptying time)음식물이 위에서 십이지장으로 넘어가는 데 걸리는 시간 2️⃣ 나이별 평균 소화관 통과 시간나이식도 통과 시간위 배출 시간 (모유 / 분유)특징 식도위특징신생아 (0~1개월)6~8초2시간 (모유), 3시간 (분유)연하·식도운동 미숙, 역류 빈번1~3개월4~6초2시간(모유), 2.5시간(분유)식도 연동운동 발달, 역류 점진 감소4~6개월3~5초1.5~2시간연하·위 배출 성숙, 이유식 준비 단계6~12개월3~4초1.5~2시간식도 연동 성숙, 위장 운동 성인화1~3세 유아2~4초1~2시간성인과 유사, 식습관·자세 중요 ..

정리 2025.05.05

✅ 나트륨(Na) vs 소금(NaCl), 뭐가 다른가요?

나트륨 (Na) → 염분 성분 중 “순수한 나트륨 이온”만 의미합니다.소금 (NaCl) → 식탁에서 쓰는 소금(정제염, 꽃소금, 천일염 등), 나트륨(Na) + 염소(Cl) 화합물입니다.즉,NaCl(소금) ≈ 40% Na + 60% Cl예: 소금 1 g → 약 400 mg Na 포함 ✅ 가이드라인에서 말하는 건 무엇인가?WHO, AHA, 대한고혈압학회 권고안은 “나트륨 Na 기준” 으로 발표합니다.하지만 언론, 식품 포장지, 대중 교육에서는 “소금 NaCl 기준” 으로 쉽게 풀어 이야기합니다.예를 들어:WHO 권고: Na 대한고혈압학회 권고: Na 식품 영양성분표 표시: 나트륨 Na 기준 (예: 나트륨 1500 mg, 소금 약 3.8 g에 해당) ✅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건?식생활, 조리, 환자..

정리 2025.05.05

✅ 염분 민감성(Salt Sensitivity) 평가법

1️⃣ 염분 민감성(Salt sensitivity)이란?염분 민감성은👉 염분 섭취 변화에 따라 혈압이 과도하게 변동하는 생리적·병리적 특성입니다.염분 민감성 환자: 염분 제한 시 혈압↓, 고염식 시 혈압↑염분 비민감성 환자: 염분 변화에 혈압 영향 거의 없음염분 민감성은 고혈압, 심혈관질환, 신질환에서 독립적 위험인자로 간주됩니다. 2️⃣ 염분 민감성 평가 임상 지표염분 민감성을 의심할 만한 임상 특징:고령 (특히 60세 이상)아프리카계, 동양계 인종비만, 대사증후군, 당뇨병만성 신질환 (CKD 3~5)고혈압 가족력과거 고염식 섭취 후 혈압 상승 경험👉 이런 환자는 formal test 없이도 염분 제한 권장 가능 3️⃣ 표준화된 검사법 (연구용, 일부 고위험군 임상 적용) 📍 a) 식이 로딩·..

정리 2025.05.04

✅ 하루 염분 섭취량: 병태생리, 권고안, 임상적 접근

1️⃣ 염분(Sodium chloride) 섭취의 생리적 역할체내 나트륨(Na+) 역할세포외액 삼투압 유지체액량, 혈압 조절신경-근육 흥분전도 및 수축염분 섭취 → Na+ 증가 → 수분 정체 → 혈압 상승특히 고염식은 신장에서의 소듐 재흡수 증가, RAAS(renin-angiotensin-aldosterone system) 활성화, 심혈관계 preload 증가로 이어져 고혈압·심부전·신부전 위험인자입니다. 2️⃣ 권장 염분 섭취량 (가이드라인 비교)기관권장량비고WHO (2023)성인 대상, 심혈관질환 예방 목적미국심장협회(AHA)이상적 3.8–5.8 g NaCl/day (1.5–2.3 g Na/day)고혈압 환자 1.5 g Na/day 목표대한고혈압학회 (2022)고혈압 환자 KDIGO (CKD 환자)..

정리 2025.05.04

✅ 무릎 주사 테크닉 도해 설명 (그림 없이 글로 이해할 수 있게 정리)

1️⃣ 슬개건염, 점액낭염자세환자 supine, 무릎 20~30° 굴곡 → 슬개골 하방 or 상방에 외측 접근주사 방향① 슬개상 점액낭 → 외측에서 내측, skin ↘ 45도 방향② 슬개하 점액낭 → 외측에서 내측, skin ↗ 45도 방향③ 슬개건염 → 건을 피해 건 주위 sheath로, skin ↘ 30도포인트슬개건은 건내 직접주입 금지, 반드시 sheath targeting 2️⃣ 내측 MCL염, 관절 내 주사자세환자 supine, 무릎 약간 굴곡 (10~20°)내측 관절선 촉지, 내측에서 전방 1cm 접근주사 방향skin ↘ 30~45도, 관절선 향해 주사관절 내 주사 시, 초음파로 슬개대퇴부(patellofemoral)로 접근 추천 3️⃣ IT band syndrome자세환자 supine o..

정리 2025.05.04

무릎 통증 주사요법: 병태생리와 적응증별 접근

무릎 통증은 연골, 연부조직, 건·인대, 활막, 점액낭, 관절낭 등 다양한 구조물에서 기원합니다. 이에 따라 주사 치료의 접근은 병태생리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달라져야 합니다. 아래는 통증 부위별 주요 질환에서 사용되는 주사요법, 약제 선택, 기전, 주의사항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1️⃣ 슬개부 전방 통증 (Anterior knee pain)주요 질환슬개건염 (patellar tendinopathy)점액낭염 (prepatellar, infrapatellar bursitis)슬개연골연화증 (chondromalacia patellae)주사 접근슬개건염: 비스테로이드성 약물(예: PRP, prolotherapy) 권장. 스테로이드 주사는 장기적으로 건 약화를 초래할 수 있어 주의.점액낭염: 스테로이드 + 국소마취..

정리 2025.05.04

✅ 무릎통증 질환별 치료: 침·약침·프롤로·주사요법 총정리

💥 1. 앞쪽(슬개부) 통증주요 질환슬개건염, 점액낭염, 슬개연골연화증침 자리족삼리(ST36), 양릉천(GB34), 혈해(SP10), 슬개상(Sup. patella), 슬개하(Inf. patella)약침 자리슬개건 부위, 슬개상·하 점, 족삼리 주변에 약침 (봉약침, 자하거약침, 강황약침 사용 多)프롤로 주사 (재생치료)슬개건 부착부, 점액낭 주위당류용액(예: 15% 포도당) 주입 → 인대·힘줄 강화통증 주사요법스테로이드 + 국소마취제점액낭염, 염증 심할 때단, 반복 사용 X (연골 손상 위험) 💥 2. 안쪽(내측) 통증주요 질환내측 반월상 연골판 손상, 내측 측부인대염, 내측 퇴행성 관절염침 자리족삼리(ST36), 음릉천(SP9), 혈해(SP10), 슬내측(Med. knee), 양릉천(GB34)약..

정리 2025.05.04

✅ 무릎 통증 위치별 질환, 상태, 한방 치료

1️⃣ 앞쪽(슬개부) 통증의심 질환·상태슬개건염 (무릎뼈 아래 건의 염증)점액낭염연골연화증 (슬개연골연화증)퇴행성 관절염(초기)주로 아플 때계단 오르내리기앉았다 일어날 때쪼그리기한방 치료 방향염증 억제: 계지작약지모탕, 황련해독탕순환 개선, 진통: 침, 약침, 봉침재활 운동: 허벅지 앞 근육(대퇴사두근) 강화 운동 2️⃣ 안쪽(내측) 통증의심 질환·상태내측 반월상 연골판 손상내측 측부인대염퇴행성 관절염 (내측 시작형)주로 아플 때무릎 꺾을 때방향 전환할 때장시간 걷기, 계단 오르기한방 치료 방향관절 영양 강화: 독활기생탕, 우슬탕연골보호, 통증 완화: 약침, 침치료무릎 안정화: 무릎 안쪽 근력 강화(내전근 운동) 3️⃣ 바깥쪽(외측) 통증의심 질환·상태외측 반월상 연골판 손상장경인대증후군 (러너스 니..

정리 2025.05.04

✅ 무릎 주사 테크닉과 초음파소견 요약

1️⃣ 슬개건염, 점액낭염접근법무릎 굴곡 20~30° 유지슬개하 점액낭: 정중앙 하방, 외측 접근슬개상 점액낭: 무릎 상부 외측 접근, 약간 내측 방향주사 방향점액낭 내 정확 주입, 저항감 없어야슬개건염은 sheath 주사, 건내 직접 주사 X약물triamcinolone 20-40 mg + lidocaine 1 mL 혼합 2️⃣ MCL염, 내측 관절염접근법환자 supine, 무릎 약간 굴곡내측 관절선 palpation 후 주사MCL sheath 주사 (내측에서 약간 전방)관절 내 주사내측 관절선 or 외측 상관없으나초음파 가이드 시 patellofemoral approach 선호 3️⃣ IT band syndrome접근법대퇴골 외측상과 palpation → IT band 위 sheath 주입초음파 사..

정리 2025.05.03

무릎통증, 한방치료로 관리할 수 있을까? ✅

무릎이 욱신욱신 아플 때,“병원 가야 하나?” “쉬면 괜찮아질까?” 고민한 적 많으시죠? 🤔오늘은 무릎통증의 한방치료에 대해 알려드릴게요!한약, 침 치료, 뜸, 그리고 생활관리까지 함께 정리해보겠습니다. 💡 무릎통증, 왜 생길까요?무릎통증은 생각보다 원인이 다양합니다:퇴행성 관절염점액낭염, 건초염(힘줄염)반월상 연골판 손상스포츠 손상(십자인대, 연골)과사용 증후군한의학에서는 크게 아래로 봅니다:풍한습비(風寒濕痺) → 바람, 추위, 습기로 인한 관절통기혈허약(氣血虛弱) → 기력 부족, 혈액순환 저하신허(腎虛) → 노화나 과로로 무릎 약화👉 한방에서는 원인별로 맞춤 치료를 합니다. 📋 한의원에서 묻는 진단 질문무릎통증 환자에게 한의사가 물어보는 질문들:언제부터 아팠나요?통증 위치는 앞쪽, 안쪽, ..

정리 2025.05.0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