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789

어깨 수평내전 시 통증 원인

1. 견봉쇄골관절(AC joint) 병변대표적인 원인!팔을 앞으로 모을 때 견봉과 쇄골 사이 관절이 압박받아 통증.AC joint 관절염, 염좌, 외상 후유증에서 흔함.특징: 어깨 맨 위, 손가락으로 짚으면 딱 잡히는 부위에서 통증.Cross-body adduction test (팔을 앞으로 모아 반대 어깨에 붙이는 검사) 시 통증이 잘 나타남. 2. 견봉하 충돌증후군 / 회전근개 병변팔을 앞으로 모으면 극상근·극하근건이나 견봉하 점액낭이 끼이면서 통증 발생.특히 어깨를 90도 이상 굽히고 모을 때 심해짐.특징: 어깨 바깥쪽 깊은 통증, 팔 들 때도 아픔. 3. 견관절 앞쪽 구조물 손상팔을 모으는 동작에서 견관절 앞쪽 관절낭이나 관절순(SLAP, Bankart) 손상 부위가 당겨지면서 통증.특징: 깊..

정리 2025.10.02

어깨 수평외전 시 통증 원인

1. 회전근개(극상근·극하근·소원근·견갑하근) 손상특히 극상근·극하근 건이 수평외전 시 늘어나거나 견봉 밑에서 충돌할 수 있습니다.반복 사용, 퇴행성 변화, 스포츠(야구, 배드민턴, 헬스의 벤치프레스) 등으로 흔히 발생.특징: 특정 각도(90도 이상)에서 날카로운 통증, 밤에 심해지는 경우도 많음. 2. 견봉하 충돌증후군(Shoulder impingement syndrome)팔을 뒤로 젖히면 견봉 밑 공간이 좁아져 극상근이나 점액낭이 압박받습니다.특히 팔을 옆으로 벌린 뒤 뒤쪽으로 젖히는 동작에서 심해짐.특징: 위로 드는 동작은 상대적으로 괜찮은데, 뒤로 젖히거나 수평외전에서 통증 ↑ 3. 견봉쇄골관절(AC joint) 병변팔을 수평외전하면 쇄골과 견봉이 벌어지며 관절에 스트레스가 걸림.퇴행성 관절염..

정리 2025.10.02

요추 횡돌기(Lumbar transverse process) 촉진법

📌 요추 횡돌기 촉진 기본 원리요추 횡돌기는 극돌기에서 가로로 2.5~3cm 정도 옆으로 이동한 위치에 있습니다.피부와 근육층(특히 척주기립근, 다열근)을 통해 만져야 하므로, 뼈가 직접적으로 잘 느껴지지 않을 수 있습니다.따라서 **기준점(극돌기, 장골능, 12늑골, PSIS)**을 잘 잡는 것이 핵심입니다. 📌 촉진 단계별 방법1. 기준선 잡기환자를 **엎드린 자세(복와위)**로 눕힙니다.장골능(iliac crest)과 수평인 선이 대략 L4~L5 사이라는 점을 기억합니다.극돌기를 따라 위아래 위치를 확인합니다.2. 극돌기 확인손끝으로 척추의 정중앙을 따라 내려가면서, 단단하게 솟아있는 **극돌기(spinous process)**를 찾습니다.요추는 흉추보다 극돌기가 짧고 두껍게 만져집니다.3. ..

정리 2025.10.01

눈 밑에 작은 붉은기와 함께 살짝 볼록 올라옴

피부 속 좁쌀여드름(화이트헤드, 면포)눈가에도 피지선이 있어서 작은 뾰루지가 생길 수 있어요.보통은 통증이 크지 않고 하얗게 보이기도 해요.비립종(작은 각질낭종)피부 각질이 배출되지 못하고 갇혀서 작은 흰색 혹처럼 보이는 것.특히 눈가에 잘 생기고, 자연적으로는 잘 없어지지 않아요.알러지성/피부염 반응갑자기 생겼고 붉거나 가렵다면 알러지나 피부 자극일 수 있어요.새 화장품, 세안제, 아이크림 등을 최근에 사용했는지도 확인해 보세요.다래끼 초기눈꺼풀 가까이에 붉고 불편하면 피지선이나 마이봄샘이 막혀 염증이 시작된 걸 수도 있어요.만지면 통증이 점점 심해지고 붓는다면 이쪽 가능성이 커요. 🔎 다래끼 특징초기: 눈꺼풀 가장자리에 작은 붉은 혹처럼 올라오고, 눌렀을 때 약간 아픔진행 시: 붓고 빨개지며, 눈..

정리 2025.10.01

초음파 유도하 주사(ultrasound-guided injection)

관절·근육·신경치료에서 많이 쓰이는데, 실제로 시술 시 고려해야 할 촉진 기준점 → 초음파 소견 → 주사 방법 → 주기/횟수 → 다음 단계 흐름으로 정리해드릴게요. (다만 부위별 차이가 크므로 일반적인 원칙으로 설명드리고, 실제 임상에서는 치료 부위별 세부 가이드라인을 꼭 참고해야 합니다.) 1. 촉진 기준점 (Palpation Landmark)관절 주사: 해당 관절의 해부학적 표면(예: 무릎 관절라인, 어깨 견봉 아래, 발목 외과)근육 주사: 압통점(Tender point), Trigger point, 근복(muscle belly)신경 주사: 신경이 피부 가까이 지나가는 지점(예: 상완신경총, 좌골신경 주행 부위)👉 촉진으로 압통·경결·방사통 유발 부위를 잡은 뒤 초음파로 위치를 확인하는 것이 원칙..

정리 2025.10.01

무릎에 무리가 최소화되는 걷기 방식

무릎에 가는 하중은 체중 × 보행 습관에 크게 좌우돼요.같이 걷더라도 무릎에 무리가 최소화되는 걷기 방식이 따로 있습니다. 1. 올바른 걷기 자세 🧍‍♂️상체는 곧게 세우기허리를 구부리거나 고개를 숙이면 무게중심이 앞으로 쏠려 무릎에 압력이 증가해요.시선은 10~15m 앞을 바라보며 당당히 걷는 것이 좋아요.어깨와 팔은 자연스럽게 흔들기팔을 살짝 흔들면 보폭이 균형 잡히고 무릎이 받는 충격도 줄어듭니다.발은 일직선으로 내딛기발끝이 바깥으로 벌어지면 무릎 안쪽 연골에 압력이 집중돼요.“철길 위를 걷는다”는 느낌으로 발끝이 11자 모양 되도록 유지하세요. 2. 발 디딤 순서 👣무릎 부담을 줄이려면 발 전체로 충격을 분산하는 게 핵심입니다.발뒤꿈치 → 발바닥 → 발가락 순서로 디디기뒤꿈치가 먼저 땅에 ..

정리 2025.10.01

메티마졸 + 인데놀정 + 멜라토닌 병용

현재 복용 중인 약:메티마졸(=메티나졸) → 갑상선호르몬 억제제인데놀정(프로프라놀롤) → 베타차단제, 갑상선 항진으로 생기는 두근거림·손떨림 조절추가 고려 중:멜라토닌(수면 보조제/건강기능식품) ✅ 병용 가능 여부직접적인 약물 상호작용은 보고되지 않았습니다.멜라토닌은 주로 간에서 대사되지만, 메티마졸·프로프라놀롤과 충돌하는 대사 경로는 뚜렷하지 않아요.다만 프로프라놀롤(인데놀정) 이 멜라토닌 분해 효소(CYP1A2)를 억제할 수 있어서 👉 멜라토닌 혈중 농도가 조금 더 높아질 수 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즉, 효과가 강하게 나타날 수 있고, 일부 사람은 다음날까지 졸리거나 두통, 어지럼증이 생길 수 있어요. ⚠️ 주의할 점복용 시간멜라토닌은 취침 30분~1시간 전에 드시는 게 일반적이에요.낮 시간..

정리 2025.10.01

근육이완: origin vs insertion 어디로 밀까?

근육이완 시 마사지 방향 정리. origin(근위) vs insertion(원위) 중 어디로 밀어야 하는지 목적별·부위별·기법별 실전 가이드. 한눈에 결론 ✅순환·부종·회복을 위한 ‘근육이완’ 목적이라면 기본은 insertion→origin(원위→근위, 즉 심장 방향) 이 좋아요.정맥·림프의 귀류(heartward return)를 돕기 때문이에요. 다리·팔처럼 말단에서 몸통으로 길게 “밀어” 주세요.단, 기법과 목적에 따라 예외가 있어요(횡섬유 마찰, 트리거포인트, 신경 글라이딩 등은 방향 고정 X). 왜 ‘원위→근위(삽입부→기시부)’가 기본일까? 💡혈액·림프 순환 촉진: 정맥은 판막 덕분에 말단→몸통 흐름이 기본. 같은 방향으로 부드럽게(에플뤼라주) 밀면 부종 감소와 회복 촉진에 유리해요.근막 장..

정리 2025.09.18

스트레칭으로 안 풀리는 허리 답답함

허리 답답함, 단순 뭉침으로 치부하면 안 되는 이유 ⚠️많은 분들이 허리가 뻐근하거나 답답할 때 “근육이 뭉쳤나 보다” 하고 대수롭지 않게 생각합니다. 하지만 스트레칭이나 마사지로도 잘 안 풀리고, 한쪽만 지속적으로 답답한 경우에는 다른 원인을 반드시 의심해야 합니다.특히 우측 허리 답답함은 깊은 근막·척추 관절·내장기 연관 통증과 관련된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1. 깊은 근막 문제 🌀요방형근(Quadratus Lumborum, QL)척추와 골반을 연결하는 근육으로, 허리 옆구리 통증의 주범입니다.오래 앉아 일하거나, 짝다리·한쪽으로 체중 싣는 습관이 있으면 쉽게 긴장합니다.겉으로 만져지는 근육이 아니기 때문에, 폼롤러·스트레칭만으로는 잘 안 풀립니다.장요근(Psoas)허리와 고관절을 연결하는 깊은 ..

정리 2025.09.18

운동신경 포착시 근육에 허혈성 통증이 생기는 이유

운동신경이 포착(compression, entrapment)되었을 때 근육에 허혈성 통증이 생기는 이유는 크게 세 가지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1. 신경-혈관 동반 주행 특성운동신경은 대부분 혈관과 함께 주행합니다.신경이 눌리면 그 주행로에 있는 **소혈관(vasa nervorum)**이 압박받아 국소 허혈이 생깁니다.신경 말단에서 근육으로 가는 **혈류 조절 신호(vasomotor control)**도 장애가 생기면서, 해당 근육의 미세순환이 저하됩니다.👉 즉, 단순히 신경만 눌리는 게 아니라 혈관도 같이 눌려 혈액 공급 부족 → 허혈성 통증이 나타납니다. 2. 신경-근육 전달 장애운동신경이 포착되면 신경 전도 지연 또는 차단이 발생합니다.근육은 평소 수축과 이완 시 혈류를 펌프질하면서 산소 공급..

정리 2025.09.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