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2025/09 26

근육이완: origin vs insertion 어디로 밀까?

근육이완 시 마사지 방향 정리. origin(근위) vs insertion(원위) 중 어디로 밀어야 하는지 목적별·부위별·기법별 실전 가이드. 한눈에 결론 ✅순환·부종·회복을 위한 ‘근육이완’ 목적이라면 기본은 insertion→origin(원위→근위, 즉 심장 방향) 이 좋아요.정맥·림프의 귀류(heartward return)를 돕기 때문이에요. 다리·팔처럼 말단에서 몸통으로 길게 “밀어” 주세요.단, 기법과 목적에 따라 예외가 있어요(횡섬유 마찰, 트리거포인트, 신경 글라이딩 등은 방향 고정 X). 왜 ‘원위→근위(삽입부→기시부)’가 기본일까? 💡혈액·림프 순환 촉진: 정맥은 판막 덕분에 말단→몸통 흐름이 기본. 같은 방향으로 부드럽게(에플뤼라주) 밀면 부종 감소와 회복 촉진에 유리해요.근막 장..

정리 2025.09.18

스트레칭으로 안 풀리는 허리 답답함

허리 답답함, 단순 뭉침으로 치부하면 안 되는 이유 ⚠️많은 분들이 허리가 뻐근하거나 답답할 때 “근육이 뭉쳤나 보다” 하고 대수롭지 않게 생각합니다. 하지만 스트레칭이나 마사지로도 잘 안 풀리고, 한쪽만 지속적으로 답답한 경우에는 다른 원인을 반드시 의심해야 합니다.특히 우측 허리 답답함은 깊은 근막·척추 관절·내장기 연관 통증과 관련된 경우가 적지 않습니다. 1. 깊은 근막 문제 🌀요방형근(Quadratus Lumborum, QL)척추와 골반을 연결하는 근육으로, 허리 옆구리 통증의 주범입니다.오래 앉아 일하거나, 짝다리·한쪽으로 체중 싣는 습관이 있으면 쉽게 긴장합니다.겉으로 만져지는 근육이 아니기 때문에, 폼롤러·스트레칭만으로는 잘 안 풀립니다.장요근(Psoas)허리와 고관절을 연결하는 깊은 ..

정리 2025.09.18

운동신경 포착시 근육에 허혈성 통증이 생기는 이유

운동신경이 포착(compression, entrapment)되었을 때 근육에 허혈성 통증이 생기는 이유는 크게 세 가지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1. 신경-혈관 동반 주행 특성운동신경은 대부분 혈관과 함께 주행합니다.신경이 눌리면 그 주행로에 있는 **소혈관(vasa nervorum)**이 압박받아 국소 허혈이 생깁니다.신경 말단에서 근육으로 가는 **혈류 조절 신호(vasomotor control)**도 장애가 생기면서, 해당 근육의 미세순환이 저하됩니다.👉 즉, 단순히 신경만 눌리는 게 아니라 혈관도 같이 눌려 혈액 공급 부족 → 허혈성 통증이 나타납니다. 2. 신경-근육 전달 장애운동신경이 포착되면 신경 전도 지연 또는 차단이 발생합니다.근육은 평소 수축과 이완 시 혈류를 펌프질하면서 산소 공급..

정리 2025.09.18

SASD bursa(윤활낭) 체크리스트

SASD(견봉하·삼각근하, Subacromial–Subdeltoid) 윤활낭은 어깨에서 가장 큰 윤활낭으로, 회전근개(특히 극상근) 위를 덮고 있어요.역할 👉 어깨 외전·거상 시 회전근개와 견봉, 삼각근 사이의 마찰을 줄여줍니다.문제는 과사용, 충돌, 회전근개 파열과 함께 자주 염증·삼출이 생긴다는 점이에요. SASD 윤활낭염 초음파 체크리스트 ✅1. 윤활낭 두께정상: 거의 안 보임 또는 1–2 mm 얇은 띠이상: >2 mm 두꺼움 + hypoechoic band2. 내용물(액체)단순 삼출: 균일한 무에코 액체염증성: 에코점, debris, septation감염성: 불균질, 탁함, 벽 혈류↑, 주변 부종3. 압박성(Compressibility)정상/단순 삼출: 압박 시 납작해짐염증/만성: 잘 안 눌리..

정리 2025.09.18

초음파상 bursa (윤활낭)

윤활낭(bursa)란?윤활낭은 뼈·힘줄·근육 사이 마찰을 줄이는 얇은 액체주머니입니다. 윤활낭 초음파에서 정상은 거의 안 보이거나 아주 얇은 선처럼 보이지만, 염증이나 삼출이 늘면 주머니가 검게(무에코·저에코) 커져 분명히 관찰됩니다. 벽(활액막)이 두꺼워지거나 혈류가 늘면 **윤활낭염(bursitis)**를 의심합니다. 초음파 세팅 & 스캔 포인트(실전) ✅프로브/주파수: 10–18 MHz 선형 탐촉자 권장(깊은 부위는 5–12 MHz).압박: 가벼운 압박으로 압박성(compressibility) 확인. 과도한 압박은 얕은 윤활낭을 가려 false negative 유발.게인/다이내믹레인지: 과도한 게인은 미세 에코를 노이즈로 만들고, 낮으면 얇은 액체층 놓치기 쉬움. 중간값에서 시작해 병변 기준으로 ..

정리 2025.09.18

이두근건염 회복 기간

⏳ 이두근건염 상태별 회복 기간 & 이유 1. 급성 염증기 (2~4주)이유단순히 건 주변의 활액막(synovium)과 건섬유에 미세 손상만 발생혈류가 비교적 살아있어 염증 → 흡수 → 회복 과정이 빠르게 진행휴식·소염치료만으로도 자연 치유 가능⚠️ 하지만 이 시기에 무리하면 염증이 반복 → 만성화 2. 아급성기 (6~12주)이유6주 이상 염증이 지속되면 건 섬유에 **조직 변성(콜라겐 배열 불균질)**이 시작됨활액막 비후, 삼출액 증가로 건이 반복 마찰혈류가 제한적인 건 조직 특성상 회복이 느림이 시기엔 염증+기계적 손상이 겹치므로, 단순 소염만으로는 부족 → 재활+한방치료 필요 3. 만성 건병증 (3~6개월 이상)이유반복 손상으로 건 섬유가 퇴행적 변화(degeneration) → 혈관 신생(n..

정리 2025.09.18

어깨 초음파 체크리스트

InjectionSupraspinatusScapula notch Scan관찰/처치 구조물]자세scan 위치확인사항/주사이두근건-어깨건 주위 염증*극상근주관절 굴곡 / 견관절 신전어깨 앞 가장 튀어나온 부분극상근건의 손상**scapula notch *inj-견갑극 따라서 팔쪽으로inj* (어깨 후면 근육통)📋 이두근건 병리와 초음파 소견 병리초음파소견Tendinosis (건증)두께 증가 > 4 mm, 에코텍스처 불균일 (heterogeneous echotexture), 저에코(hypoechoic) 부위 혼재Tenosynovitis (건초염)힘줄 주위 저에코성 액체(hypoechoic fluid) 관찰, 종종 synovial hypertrophy 동반Partial-thickness tear (부분층 파열..

2025.09.17

고령자 오다리 방지 루틴

고령자 오다리 예방과 교정을 위한 루틴! 무릎 통증 완화에 좋은 집에서 하는 간단한 운동과 생활 습관 정리 🦵 고령자 오다리, 왜 생길까요?오다리(내반슬)는 다리가 O자 모양으로 휘어진 상태를 말합니다.고령자의 경우 다음과 같은 원인이 많습니다.퇴행성 관절염으로 무릎 안쪽 연골이 닳음허벅지·엉덩이 근육 약화로 무릎이 안쪽으로 쏠림체중 증가와 잘못된 걸음걸이 습관장시간 쪼그려 앉기, 바닥 생활👉 단순히 다리 모양 문제가 아니라, 무릎 통증·보행 장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고령자 오다리 방지 루틴 (매일 10분)무릎에 무리 주지 않고 안전하게 집에서 할 수 있는 운동 위주로 소개합니다.운동 전후에는 따뜻한 찜질로 무릎을 풀어주면 더 효과적이에요.1. 무릎 벌리기 운동 (의자 앉아서)의자에 허리를..

정리 2025.09.05

극상근 손상 회복을 위한 편심성 운동 (eccentric exercise)

🔎 편심성 운동이란?근육이 늘어나면서 힘을 발휘하는 운동을 말해요.예) 아령을 들어 올리는 건 동심성(concentric), 아령을 천천히 내리는 건 편심성(eccentric).극상근건에서는 어깨 외전(abduction) 근육이 늘어나면서 버티는 동작이 해당됩니다.반복 자극을 통해 콜라겐 섬유 재배열, 혈류 증가, 건의 기계적 강도 회복을 돕습니다. 🏋️ 대표적인 극상근건 편심성 운동 방법(모두 통증이 심하지 않은 범위에서 수행해야 합니다.)1. 덤벨 외전 편심 운동앉거나 서서 작은 아령(1~2kg)을 듭니다.건강한 팔로 아픈 팔을 들어 올려 어깨 90도까지 외전.천천히 (3~5초) 동안 아픈 팔만 힘을 주어 내려오게 버티기.10회, 3세트💡 핵심: 올라갈 때는 반대 팔 도움 → 내려올 때만 힘줄..

2025.09.05

엉덩이 옆 근육이 무릎 통증에 왜 중요할까?

고령자의 오다리(내반슬) 문제에서 무릎만 보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엉덩이 옆 근육, 특히 중둔근(臀中筋)**이 큰 역할을 해요.중둔근은 골반 옆, 엉덩이 옆에 위치한 근육으로 다리와 골반을 수평으로 유지시켜줍니다.걸을 때 한쪽 다리에 체중이 실리면, 반대쪽 골반이 아래로 떨어지려는 걸 잡아주는 “골반 안정화 근육”이에요.👉 즉, 중둔근이 약해지면 걸을 때 무릎이 안쪽으로 쏠리고, 다리 정렬이 무너져 오다리 진행이 빨라집니다. 🦵 무릎 안쪽 쏠림과 오다리의 관계무릎은 본래 다리 축과 수직을 유지해야 체중이 고르게 실립니다.하지만 중둔근이 약하면, 한쪽 발을 디딜 때 골반이 흔들리고 → 무릎이 안쪽으로 기울어짐 → 무릎 안쪽 관절에 하중 집중 → 연골이 빨리 닳음.이 반복이 쌓이면 다..

정리 2025.09.0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