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907

✅ 무릎 주사 테크닉 도해 설명 (그림 없이 글로 이해할 수 있게 정리)

1️⃣ 슬개건염, 점액낭염자세환자 supine, 무릎 20~30° 굴곡 → 슬개골 하방 or 상방에 외측 접근주사 방향① 슬개상 점액낭 → 외측에서 내측, skin ↘ 45도 방향② 슬개하 점액낭 → 외측에서 내측, skin ↗ 45도 방향③ 슬개건염 → 건을 피해 건 주위 sheath로, skin ↘ 30도포인트슬개건은 건내 직접주입 금지, 반드시 sheath targeting 2️⃣ 내측 MCL염, 관절 내 주사자세환자 supine, 무릎 약간 굴곡 (10~20°)내측 관절선 촉지, 내측에서 전방 1cm 접근주사 방향skin ↘ 30~45도, 관절선 향해 주사관절 내 주사 시, 초음파로 슬개대퇴부(patellofemoral)로 접근 추천 3️⃣ IT band syndrome자세환자 supine o..

정리 2025.05.04

무릎 통증 주사요법: 병태생리와 적응증별 접근

무릎 통증은 연골, 연부조직, 건·인대, 활막, 점액낭, 관절낭 등 다양한 구조물에서 기원합니다. 이에 따라 주사 치료의 접근은 병태생리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달라져야 합니다. 아래는 통증 부위별 주요 질환에서 사용되는 주사요법, 약제 선택, 기전, 주의사항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1️⃣ 슬개부 전방 통증 (Anterior knee pain)주요 질환슬개건염 (patellar tendinopathy)점액낭염 (prepatellar, infrapatellar bursitis)슬개연골연화증 (chondromalacia patellae)주사 접근슬개건염: 비스테로이드성 약물(예: PRP, prolotherapy) 권장. 스테로이드 주사는 장기적으로 건 약화를 초래할 수 있어 주의.점액낭염: 스테로이드 + 국소마취..

정리 2025.05.04

✅ 무릎통증 질환별 치료: 침·약침·프롤로·주사요법 총정리

💥 1. 앞쪽(슬개부) 통증주요 질환슬개건염, 점액낭염, 슬개연골연화증침 자리족삼리(ST36), 양릉천(GB34), 혈해(SP10), 슬개상(Sup. patella), 슬개하(Inf. patella)약침 자리슬개건 부위, 슬개상·하 점, 족삼리 주변에 약침 (봉약침, 자하거약침, 강황약침 사용 多)프롤로 주사 (재생치료)슬개건 부착부, 점액낭 주위당류용액(예: 15% 포도당) 주입 → 인대·힘줄 강화통증 주사요법스테로이드 + 국소마취제점액낭염, 염증 심할 때단, 반복 사용 X (연골 손상 위험) 💥 2. 안쪽(내측) 통증주요 질환내측 반월상 연골판 손상, 내측 측부인대염, 내측 퇴행성 관절염침 자리족삼리(ST36), 음릉천(SP9), 혈해(SP10), 슬내측(Med. knee), 양릉천(GB34)약..

정리 2025.05.04

✅ 무릎 통증 위치별 질환, 상태, 한방 치료

1️⃣ 앞쪽(슬개부) 통증의심 질환·상태슬개건염 (무릎뼈 아래 건의 염증)점액낭염연골연화증 (슬개연골연화증)퇴행성 관절염(초기)주로 아플 때계단 오르내리기앉았다 일어날 때쪼그리기한방 치료 방향염증 억제: 계지작약지모탕, 황련해독탕순환 개선, 진통: 침, 약침, 봉침재활 운동: 허벅지 앞 근육(대퇴사두근) 강화 운동 2️⃣ 안쪽(내측) 통증의심 질환·상태내측 반월상 연골판 손상내측 측부인대염퇴행성 관절염 (내측 시작형)주로 아플 때무릎 꺾을 때방향 전환할 때장시간 걷기, 계단 오르기한방 치료 방향관절 영양 강화: 독활기생탕, 우슬탕연골보호, 통증 완화: 약침, 침치료무릎 안정화: 무릎 안쪽 근력 강화(내전근 운동) 3️⃣ 바깥쪽(외측) 통증의심 질환·상태외측 반월상 연골판 손상장경인대증후군 (러너스 니..

정리 2025.05.04

✅ 무릎 주사 테크닉과 초음파소견 요약

1️⃣ 슬개건염, 점액낭염접근법무릎 굴곡 20~30° 유지슬개하 점액낭: 정중앙 하방, 외측 접근슬개상 점액낭: 무릎 상부 외측 접근, 약간 내측 방향주사 방향점액낭 내 정확 주입, 저항감 없어야슬개건염은 sheath 주사, 건내 직접 주사 X약물triamcinolone 20-40 mg + lidocaine 1 mL 혼합 2️⃣ MCL염, 내측 관절염접근법환자 supine, 무릎 약간 굴곡내측 관절선 palpation 후 주사MCL sheath 주사 (내측에서 약간 전방)관절 내 주사내측 관절선 or 외측 상관없으나초음파 가이드 시 patellofemoral approach 선호 3️⃣ IT band syndrome접근법대퇴골 외측상과 palpation → IT band 위 sheath 주입초음파 사..

정리 2025.05.03

무릎통증, 한방치료로 관리할 수 있을까? ✅

무릎이 욱신욱신 아플 때,“병원 가야 하나?” “쉬면 괜찮아질까?” 고민한 적 많으시죠? 🤔오늘은 무릎통증의 한방치료에 대해 알려드릴게요!한약, 침 치료, 뜸, 그리고 생활관리까지 함께 정리해보겠습니다. 💡 무릎통증, 왜 생길까요?무릎통증은 생각보다 원인이 다양합니다:퇴행성 관절염점액낭염, 건초염(힘줄염)반월상 연골판 손상스포츠 손상(십자인대, 연골)과사용 증후군한의학에서는 크게 아래로 봅니다:풍한습비(風寒濕痺) → 바람, 추위, 습기로 인한 관절통기혈허약(氣血虛弱) → 기력 부족, 혈액순환 저하신허(腎虛) → 노화나 과로로 무릎 약화👉 한방에서는 원인별로 맞춤 치료를 합니다. 📋 한의원에서 묻는 진단 질문무릎통증 환자에게 한의사가 물어보는 질문들:언제부터 아팠나요?통증 위치는 앞쪽, 안쪽, ..

정리 2025.05.03

혈변, 한의원에서 무엇을 어떻게 진단하고 치료할까?

혈변이 나오면 깜짝 놀라게 되죠 😨 오늘은 한의원에서 혈변 환자에게 어떻게 접근하는지, 어떤 진단 질문과 기준, 진단명(KCD), 한약 처방, 복용 기간, 생활관리, 치료 완료 지표까지 정리해보겠습니다. ✅ 💡 한의원에서 혈변 환자에게 묻는 주요 질문들언제부터 혈변이 나왔나요?혈변의 색깔은 선홍색인가요, 검붉은 색인가요?혈변 외에 복통, 설사, 변비, 발열, 체중 감소가 있나요?혈변의 양은 많은가요, 소량인가요?식습관이나 스트레스, 음주 후 악화되었나요?평소 대변 습관은 어떤가요?이 질문들을 통해 원인을 염증성, 출혈성, 혹은 기질성(예: 치질, 장출혈)으로 구분합니다. 📋 한의원에서 사용하는 진단 기준한의학에서는 혈변을 변혈(便血)로 부르며, 변혈의 원인은 크게 아래로 구분합니다.열독(熱毒) →..

정리 2025.05.02

💩 설사의 색깔로 알아보는 한의학 진단 가이드

한의학에서는 설사의 색깔과 질감만 보고도 장과 몸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고 봅니다. 오늘은 고전 의서 《영추》, 《원병》, 《입문》에 기록된 내용을 바탕으로 설사의 색깔별 진단과 관리법을 친근하게 알려드릴게요! ✅ 🌬️ 장이 차가우면: 꾸르륵 + 미소화 설사배에서 꾸르륵 소리가 나고,소화되지 않은 음식이 설사로 나옵니다.《영추》에서 “腸中寒則腸鳴飱泄”로 표현되며, 따뜻한 생강차, 계피차, 복부 찜질이 도움이 됩니다. 🔥 장에 열이 있으면: 누런 죽 같은 설사노랗고 묽은 죽 같은 설사가 나옵니다.《영추》에 “腸中熱則出黃如糜”라 표현되며, 오이, 미나리, 배 같은 열 내리는 음식을 먹고 수분을 충분히 보충하는 것이 좋아요. 🎨 색깔별 설사 해석✅ 백색 → 한증오리똥 같은 희거나 콧물 같은 설사허리..

동의보감 2025.05.02

목에 생긴 땀띠, 왜 생기고 어떻게 관리할까요?

무더운 여름이나 장시간 땀이 차는 환경에서는 목 주위에 땀띠가 쉽게 발생합니다. 붉게 올라온 작은 발진, 가려움, 따끔거림 등 불편을 유발하지만, 알고 보면 관리와 예방이 충분히 가능한 피부 질환입니다. 1️⃣ 땀띠란 무엇인가요?땀띠는 의학적으로는 한진(Miliaria)이라고 불리며, 땀샘(한선)의 배출구가 막혀 땀이 피부 속에 갇히면서 생기는 염증 반응입니다. 주로 땀이 많고 피부 접촉이 많은 부위(목, 겨드랑이, 등, 가슴, 사타구니 등)에 잘 생깁니다. 2️⃣ 목에 땀띠가 잘 생기는 이유는?목은 땀이 많이 나는 부위입니다.머리카락, 옷깃 등과 자주 마찰됩니다.햇볕 노출, 열기, 마스크·옷깃 등으로 **피부 통풍이 안 될 경우** 땀이 차고 염증이 발생하기 쉽습니다. 3️⃣ 땀띠의 종류는?수정한진 (..

정리 2025.04.24

갈비뼈 쪽에 만져지는 콩알만한 멍울, 괜찮은 걸까요?

갈비뼈 주변에서 작고 단단한 멍울이 만져진다면 누구나 걱정될 수밖에 없습니다. 특히 이 멍울이 오랫동안 고정된 상태로 지속되고, 압진 시 통증이 있지만 평소에는 불편감이 없다면 몇 가지 가능성이 의심됩니다. 1️⃣ 증상 요약위치: 갈비뼈 부위촉감: 콩알 크기, 비교적 단단함통증: 평소에는 무통, 눌렀을 때만 통증초음파 소견: 수분처럼 보이는 저에코(검은색) 음영 → 낭성 병변 소견크기 변화 없음, 약 1년간 지속 2️⃣ 의심할 수 있는 질환은?이와 같은 병변은 다음과 같은 진단이 우선적으로 고려됩니다:🔹 림프절 비대 (reactive lymphadenopathy)위치상으로 림프절이 존재하는 부위이며, 염증이나 국소 감염 후 반응성으로 비대된 림프절이 수년간 만져질 수 있습니다. 경계가 뚜렷하고 통증이..

정리 2025.04.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