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의보감

💩 설사의 색깔로 알아보는 한의학 진단 가이드

MANYFAST 2025. 5. 2. 16:25
반응형

한의학에서는 설사의 색깔과 질감만 보고도 장과 몸 상태를 진단할 수 있다고 봅니다. 오늘은 고전 의서 《영추》, 《원병》, 《입문》에 기록된 내용을 바탕으로 설사의 색깔별 진단과 관리법을 친근하게 알려드릴게요! ✅

 

 

🌬️ 장이 차가우면: 꾸르륵 + 미소화 설사

  • 배에서 꾸르륵 소리가 나고,
  • 소화되지 않은 음식이 설사로 나옵니다.
    《영추》에서 “腸中寒則腸鳴飱泄”로 표현되며, 따뜻한 생강차, 계피차, 복부 찜질이 도움이 됩니다.

 

 

🔥 장에 열이 있으면: 누런 죽 같은 설사

  • 노랗고 묽은 죽 같은 설사가 나옵니다.
    《영추》에 “腸中熱則出黃如糜”라 표현되며, 오이, 미나리, 배 같은 열 내리는 음식을 먹고 수분을 충분히 보충하는 것이 좋아요.

 

 

🎨 색깔별 설사 해석

백색 → 한증

  • 오리똥 같은 희거나 콧물 같은 설사
  • 허리(虛痢): 희고 끈적함

청색 → 열증 (주의!)

  • 푸른 설사는 열증!
  • 상한 소음병, 소아 급경풍에서 나타남
    → 헷갈리기 쉬우니 한증으로 착각하지 않도록 주의!

황색·적색·홍색 → 열증

  • 황색: 비열(脾熱)
  • 적색: 심한 열증
  • 홍색: 심화(心火)로 발생

흑색 → 극심한 열, 수화(水化)

  • 화열이 극심하면 물과 섞여 검게 변함
  • 검정콩즙, 닭 간 같은 색은 병원 방문 신호

 

 

🩸 혈성·농성 설사 (혈한과 적 구분)

  • 혈이 차면 자흑색 덩어리 설사
  • 피·고름 섞임 (고름=오래된 병, 피=새로 생긴 병)
    → 이런 경우 병원에 반드시 방문하세요!

 

💧 습리(濕痢): 물처럼 쏟아지는 설사

  • 습이 많으면 물 붓듯 설사가 나옵니다.
    → 율무, 팥 같은 습제거 식품 추천!

 

⚙️ 특이한 형태

  • 기리(氣痢): 게거품 같은 설사
  • 적리(赤痢): 물고기 뇌 같은 노란 설사

 

🧐 Q&A로 풀어보는 궁금증

Q. 푸른 설사는 왜 열증인가요?
→ 상한 소음병, 소아 급경풍에서 열이 장을 자극해 청색 수양변이 생깁니다.

Q. 흑색 설사는 출혈 때문 아닌가요?
→ 출혈도 있지만, 한의학에서는 화열이 극심하면 물성(水性)으로 변해 검게 보일 수 있다고 합니다.

 

🌟 실전 체크리스트

  1. 색깔: 백, 청, 황, 적, 흑
  2. 질감: 묽음, 덩어리, 끈적임, 물성
  3. 동반 증상: 열, 한기, 복통, 장명음
  4. 소아·노약자: 고열·탈수 동반 시 병원 방문!
  5. 생활 관리: 따뜻한 음식, 수분 보충, 과식 피하기

 

 

💬 설사가 멈추지 않거나 색깔이 심각할 땐 꼭 병원 진료를 받으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