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813

목소리 관련 혈자리 및 약재

목소리 관련 혈자리갑자기 목소리가 나오지 않는다 > 천돌 / 신문, 용천 / 합곡, 양교, 통곡, 천정, 기문, 지구, 용천목으로 올라오는 느낌이 있으며 목소리가 나오지 않는다 > 조해인후가 부어서 목소리가 나오지 않는다 > 풍륭숨을 헐떡이며 목소리가 나오지 않는다 > 부돌, 염천말을 잘 못함 > 합곡, 용천, 양교, 통곡, 천정, 기문, 지구 / 통리 / 염천 목소리 관련 약재목소리를 나오게 한다 > 석창포, 통초, 행인, 귤피, 배, 감, 호두기름따듯하게 한다 + 목소리를 나오게 한다 > 계지*행인 : 목소리를 좋게 하는 경우 껍질을 벗기고, 뾰족한 끝을 제거한 뒤에, 우유에 달여 꿀을 섞어 복용한다.*계지 : 가루내어 행인과 함께 꿀에 반죽해서 복용한다. *해당 글은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

동의보감 2024.03.15

목소리 이상, 동의보감

한약치료목소리 안 나옴 + 신허 > 인삼평보탕풍한 이후 + 목소리 안 나옴 > 형소탕, 인삼형개산, 사간탕, 시호승마탕목소리 안나옴 + 기침 > 인삼청폐산, 행인전, 윤폐환, 가자산목소리 안나옴 + 한담 > 옥분환목소이 안나옴 + 열담 > 궁신산목소리 안나옴 + 기혈허 > 천진원노래 이후 + 목소리 안 나옴 > 향성파적환목소리 안 나옴 + 후두가 헐었다 > 통애산목소리 안나옴 > 가미고본환크게 놀란 뒤에 + 목소리 안나옴 > 원지환, 복신산인삼평보탕 (인삼, 천궁, 당귀, 숙지황, 백작약, 백복령, 토사자, 오미자, 두충, 파극, 귤홍, 반하-국, 우슬, 백출, 파고지, 호로파, 익지인, 감초-자, 석창포, 생강, 대추)형소탕 (형개수, 자소엽, 목통, 귤홍, 당귀, 육계, 석창포)인삼형개산 (인삼, 형..

동의보감 2024.03.15

성음(聲音), 언어(言語), 진액(津液), 담음(痰飮) 동의보감

동의보감 성음(聲音)성음은 소리이다. 관련된 장부는 심, 폐, 신이다. 목소리의 뿌리는 신에 있으며, 주인은 심이고, 폐를 통해 나온다. 동의보감 언어(言語)폐는 소리를 주관한다. 스스로 그리고 타인이 알아들을 수 있게 말하는 것이 언어이다. 동의보감 진액(津液)진액은 땀, 관절액 윤활액, 림프액, 뇌척수액 등 혈액 외의 체액이다. 동의보감 담음(痰飮)담음은 진액이 열을 받거나(담), 흩어지지 않아(음) 생겨난 병리적인 체액이다.   *해당 글은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으며 MANIFAST는 이로 인해 발생되는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병원을 방문해 주세요.

동의보감 2024.03.15

얼굴 주변 혈자리 - 2

동자료혈 GB1, 청회혈 GB2, 상관혈 GB3 / 하관혈 ST7, 협거혈 ST6, 대영혈 ST5, 지창혈 ST4, 거료혈 ST3, 사백혈 ST2, 승읍혈 ST1동자료 (GB1) : 얼굴, outer canthus에서 가쪽으로 0.5寸 오목한 지점. 0.2~0.3寸 (0.6~0.9 cm) 직자 / 0.3~0.5寸 (0.9~1.5 cm) 사자한다. 얼굴, outer canthus에서 가쪽으로 0.5寸 오목한 지점에 취혈한다. 청회 (GB2) : 얼굴, intertragic notch와 condylar process of mandible 사이의 오목한 지점. 0.3~0.5寸 (0.9~1.5 cm) 직자 / 0.5~0.7寸 (1.5~2.1 cm) 사자 / 입을 벌리고 1.0~1.5寸 (3.0~4.5 cm) 후..

혈자리 2024.03.14

수면 관련 혈자리 및 약재

수면 관련 혈자리- 불면 + 담 > 규음- 불면 + 피로 > 4째 손가락 중간마디뼈 위에 뜸- 불면 + 가슴 두근거림 > 음교 수면 관련 약재- 잠들지 못한다 > 산조인-초, 유백피(유근피), 오매*잠을 줄이는 약재 > 산조인-생, 사삼, 통초 *해당 글은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으며 MANIFAST는 이로 인해 발생되는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병원을 방문해 주세요.

동의보감 2024.03.14

수면의 질 저하, 동의보감

한약치료불면 + 수면중 꿈을 많이 꾸고 불편함 + 감정손상 (심허) > 익기안신탕, 고침무우산불면 + 가슴답답함(담) + 편안하지 않음 (허번=음허+열) > 산조인탕, 온담탕 불면 + 가슴답답함(담) + 편안하지 않음 (허번=음허+열) + 병이 오래되어 온담탕이 듣지 않는 경우 (심간기혈허) > 가미온담탕불면, 큰병을 앓은 뒤 허약 / 불면, 나이가 많음 (불면+양허) > 육군자탕 가 산조인-초, 황기익기안신탕 (당귀, 복신, 생지황, 맥문동, 산조인-초, 원지, 인삼, 황기-밀자, 천남성-우담남성, 죽엽, 황련, 생강, 대추)고침무우산 (인삼, 석고, 진피, 반하, 백복령, 지실, 죽여, 맥문동, 용안육, 감초, 산조인-초)산조인탕 (석고, 산조인-초, 인삼, 지모, 적복령, 계지심, 생강) 산조인탕 ..

동의보감 2024.03.12

꿈 수면(夢) 동의보감

동의보감 꿈(夢) 수면기혈이 몸의 안을 운행하는 것이 수면이다 (음). 기혈이 몸의 밖을 운행할때는 깨어있는 것이다 (양).양이 다하면 잠들고, 음이 다하면 잠에서 깨어나는 것이다. 夢 생리기혈의 운행이 도를 벗어나지 않고 낮에는 양을, 밤에는 음을 매끄럽게 돌아 낮에는 깨어있고 밤에는 잠을 자는 상태.꿈을 꾸지 않는 것 = 신이 정상상태인 것 > 기혈이 음분으로 잘 들어간 상태이다. 夢 병리걱정하거나 놀란 경우 = 심이 실해진 것 > 기혈이 음분으로 잘 들어가지 못하게 된다.불안한 경우 = 오장 중에 상한 곳이 있고 정이 치우친 것 / 심의 혈기가 적어진 것 >기혈이 음분으로 잘 들어가지 못하게 된다.  夢 조절기혈의 운행을 도에 맞게 매끄럽게 흐르게 한다. 夢 관련질환불면 *해당 글은 의학적 판단이나..

동의보감 2024.03.08

혈 관련 혈자리 및 약재

血 관련 혈자리- 코피 : 은백, 대릉, 신문, 태계 / 대추-뜸, 아문-뜸 / 상성, 풍부, 아문, 합곡, 내정, 삼리, 조해 血 관련 약재- 혈을 채워준다 > 생지황, 애엽- 혈을 흐르게 한다 > 천궁- 혈을 채워주고 흐르게한다 > 당귀- 지혈한다 > 백모근, 지유, 백급, 괴화-초, 측백- 어혈을 깨고 동시에 지혈한다 > 포황, 대계, 소계, 울금, 생연근즙, 생부추즙, 무즙*포황은 찬물에 타서 복용한다. 포황을 보하는 목적으로 사용시 볶아서 사용한다*백급은 가루내어 찬물에 타서 복용한다. *해당 글은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으며 MANIFAST는 이로 인해 발생되는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병원을 방문해 주세요.

동의보감 2024.03.08

잇몸의 출혈, 동의보감

한약치료잇몸 출혈 > 죽엽을 진하게 달여 소금을 넣고 가글한다 가능한 원인 (Step 1)- 치은염 : 구강내 세균이 잇몸에 증식해서 발생 *구강 내 세균이 증식하면, 염증이 생기고 이를 억제하기 위해 말초혈관이 증식한다, 이 경우 약한 자극에도 출혈이 나타난다.- 치주염 : 세균이 뼈까지 증식해서 발생 보존적 치료 (step 2)사전생활관리 : 양치질(음식 섭취 후 구강을 세균이 가능한 적은 상태를 유지한다), 치간칫솔 등- 약물치료를 통해 기질적 문제에 대한 치료가 모두 진행된 경우 [참고]치은염 치주염 (클로르헥시딘) *해당 글은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으며 MANIFAST는 이로 인해 발생되는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병원을 방문해 주세요.

동의보감 2024.03.08

대변의 색이 붉어진 경우, 동의보감

한약치료변혈 > 평위지유탕, 결음단, 유사탕, 후박전평위지유탕 (창출, 승마, 부자, 지유, 갈근, 후박, 백출, 진피, 적복령, 건강, 당귀, 신국-초, 백작약, 익지인, 인삼, 감초-자, 생강, 대추)결음단 (지각, 위령선, 황기, 진피, 춘백피, 하수오, 형개)유사탕 (지유, 사인, 감초-생, 감초-자)후박전 (후박, 생강, 백출, 신국, 맥아, 오미자) [한약 상세]후박전 : 비위에 혈이 없고, 기허로 장이 얇아지며 하혈하는 경우 사용한다. 후박으로 장위를 두텁게 하고, 맥아로 소화를 돕고, 백출을 통해 혈이 뭉치지 않게 한다.가능한 원인 (Step 1)- 정상 : 음식(선지 등 철분 함유 식품, 와인 등의 붉은 음료), 철분제- (선홍색) 하부위장관 질환 : 대장 및 직장의 염증 질환(궤양성 대..

동의보감 2024.03.0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