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릎 통증은 연골, 연부조직, 건·인대, 활막, 점액낭, 관절낭 등 다양한 구조물에서 기원합니다. 이에 따라 주사 치료의 접근은 병태생리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달라져야 합니다. 아래는 통증 부위별 주요 질환에서 사용되는 주사요법, 약제 선택, 기전, 주의사항을 정리한 내용입니다.
1️⃣ 슬개부 전방 통증 (Anterior knee pain)
- 주요 질환
- 슬개건염 (patellar tendinopathy)
- 점액낭염 (prepatellar, infrapatellar bursitis)
- 슬개연골연화증 (chondromalacia patellae)
- 주사 접근
- 슬개건염: 비스테로이드성 약물(예: PRP, prolotherapy) 권장. 스테로이드 주사는 장기적으로 건 약화를 초래할 수 있어 주의.
- 점액낭염: 스테로이드 + 국소마취제 주입, 20-40 mg triamcinolone 또는 equivalent, 1 mL lidocaine 혼합. 주사 후 압박, 냉찜질.
- 슬개연골연화증: 관절 내 하이알루론산 주사, 관절 역학 개선 + 진통.
- 핵심 주의점
- 슬개건 내 스테로이드 직접 주입 금지 (건파열 위험)
- 점액낭 주사 후 감염 예방 위해 무균 술기 철저
2️⃣ 내측 통증 (Medial knee pain)
- 주요 질환
- 내측 반월상 연골판 손상
- 내측 측부인대염 (MCL sprain)
- 내측 퇴행성 관절염
- 주사 접근
- MCL 염좌: 국소 스테로이드 주사보다 물리치료 및 PRP/prolotherapy 우선. 반복적 스테로이드 주사는 섬유화·약화 유발.
- 내측 관절염: 관절 내 하이알루론산 주입
- 급성 통증성 관절염 flare-up: 관절 내 스테로이드 (triamcinolone 20-40 mg or equivalent) 1회 주사, 반복은 최소화.
- 핵심 주의점
- 스테로이드 주입 후 2~3일 일시적 통증 악화 가능
- 하이알루론산은 NSAIDs 병용 시 효과 감소 가능성 있음
3️⃣ 외측 통증 (Lateral knee pain)
- 주요 질환
- 외측 반월상 연골판 병변
- 장경인대증후군 (IT band syndrome)
- 주사 접근
- 장경인대증후군: 대퇴골 외측상과 over IT band sheath 내 스테로이드 10-20 mg triamcinolone + lidocaine 1 mL, 초음파 유도 권장.
- 외측 관절염: 하이알루론산, PRP 주사.
- 외측 반월상 병변: 보존치료 우선, 관절 내 스테로이드/HA 병용 가능.
- 핵심 주의점
- 장경인대 내 직접 주사는 금기, sheath 주사만 시행
- 스테로이드 주사 후 과사용 방지, 교정운동 필수
4️⃣ 후방 통증 (Posterior knee pain)
- 주요 질환
- 슬와부 건염 (popliteal tendinopathy)
- 베이커낭종 (Baker's cyst)
- 후각부 반월상 손상
- 주사 접근
- 베이커낭종: 낭종 aspiration + corticosteroid 20-40 mg, 단 재발률 높음 → underlying OA, meniscal pathology 동시 관리 필요.
- 슬와부 건염: 스테로이드 sheath 주사, PRP/prolotherapy 점진적 사용 고려.
- 후각부 반월상 병변: 관절 내 하이알루론산 ± 스테로이드.
- 핵심 주의점
- 베이커낭종 내 스테로이드 단독 주사 효과 제한적 → meniscal pathology 병행 평가
- 초음파 유도 aspiration 권장
💥 약물 선택 및 기전 요약
스테로이드 | phospholipase A2 억제, prostaglandin 억제, 강력한 항염증 |
하이알루론산 | 윤활, shock absorption, 연골 보호 |
PRP | growth factor 제공, healing 촉진 |
Prolotherapy | 인위적 염증 유도, 인대·건 remodeling 자극 |
🔬 실전 팁 및 최신 트렌드
- 반복 스테로이드 주사는 연골, 인대 손상 위험 → 단회 또는 제한된 반복만 허용
- PRP, prolotherapy는 초기 진료에서 좋은 adjunctive therapy, 특히 젊은 환자에서 권장
- 하이알루론산은 advanced OA에서 효과 제한, 경증~중등도에서만 사용 권장
- ultrasound-guided injection → 정확성, 안전성, 효과 향상
🚨 주사 후 관리
- 주사 후 24-48시간 부목 or cold pack 적용
- 과사용 피하고 점진적 재활운동 시작
- 감염, 출혈, 신경손상 모니터링
✨ 요약
무릎 통증 주사치료는 질환별 병태생리에 따라
- 염증성 → 스테로이드
- 기계적, 퇴행성 → 하이알루론산, PRP
- 건·인대 약화 → prolotherapy
로 접근하며, 반복 스테로이드 사용은 최소화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초음파 유도하 정확한 주입이 치료 성패를 좌우하며, 재활·운동치료와 병행해야 장기 결과가 좋습니다.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하루 염분 섭취량: 병태생리, 권고안, 임상적 접근 (0) | 2025.05.04 |
---|---|
✅ 무릎 주사 테크닉 도해 설명 (그림 없이 글로 이해할 수 있게 정리) (0) | 2025.05.04 |
✅ 무릎통증 질환별 치료: 침·약침·프롤로·주사요법 총정리 (0) | 2025.05.04 |
✅ 무릎 통증 위치별 질환, 상태, 한방 치료 (0) | 2025.05.04 |
✅ 무릎 주사 테크닉과 초음파소견 요약 (0) | 2025.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