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732

신(神) 관련 혈자리, 약재

神 관련 혈자리- 건망 : 열결, 심수, 신문, 중완, 삼리, 소해 / 백회(뜸)- 잘 놀라고 두려워함 : 연곡, 내관, 음릉천, 협계, 행간- 가슴 두근거림 : 대릉, 삼리 神 관련 약재- 정신을 안정시키고, 건망을 없애며, 피부에 윤이 나게 한다 > 인삼- 마음을 안정시킨다 > 천문동(심을 제거하고 사용한다)- 눈과 귀가 밝아진다 > 석창포(원지와 함께 갈아서 복용한다)- 혼백을 안정시키고, 건망을 치료한다 > 원지, 복신 (함께 복용하면 좋다)- 심열을 내린다 > 황련- 신을 기른다. 노여움을 줄이고 기쁨을 늘린다 > 연실 *해당 글은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으며 MANIFAST는 이로 인해 발생되는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병원을 방문해 주세요.

동의보감 2024.01.09

신(神)병 통치약 정리

신병의 주요 기전불안과 근심은 심혈을 소모하게 만든다. 심혈이 허해지면 다시 불안을 비롯한 증상을 일으킨다.오지(다섯가지 감정)는 마음에 화를 만들어낸다. 화로 인해 쉽게 놀라는 등 감정이 동하게 된다. 신병 통치약 정리*治怒方(치노방, 화가 난 것을 치료하는 처방) [단계심법] ; 향부자(가루) 6 g, 감초(가루) 6 g 물에 타서 복용한다심기허, 불안 - 우황청심원심신허, 불안, 담, 열, 경계 정충 - 팔물정지원심간허, 수면시 불안, 정충 건망 - 십사우원심혈허, 경계 정충, 신기허(소변이 뿌옇고, 몸이 여윈다) - 평보진심단담화(전간, 경광) - 안신환심혈허, 간담허, 쉽게 놀람 - 호박정지환심혈허, 경계 정충 - 천왕보심단심혈허, 경계 정충 건망 담화 - 가미영신환담, 근심 걱정, 경계 정충 ..

동의보감 2023.12.29

동의보감 감정조절법

일상생활을 하며 감정이 조절되지 않는 경우가 있는가? 동의보감 집필 당시에도 이런 경우가 있었다. 약을 사용해도 잘 조절되지 않거나, 특정 감정이 과도하게 나타난 경우에는 이를 조절이 필요한 대상으로 보고 적절한 조치를 취했다. 동의보감 신과 관련된 내용에서 특정 감정이 과도해지면 신을 손상시킨다고 했다. 더불어 내가 스스로 조절하지 못하는 감정상태가 지속되면, 관련된 장부를 손상시키고 속발되어 다양한 증상들이 나타난다. 이에 약과 더불어 스스로 조절 가능한 감정을 통해 다른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인 오지상극법(오지상생상극법)이 제시된다. 감정을 활용해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 *오지상극법지나친 감정을 이를 조절하는 감정을 통해 조절하는 방법이다. 화냄, 기뻐함, 과하게 생각함, 슬퍼함, 두려워함이라는 다섯..

동의보감 2023.12.29

동의보감 건강 관리 항목

[정 기 신]정상 상태정 : 인간의 생명력이 있는 존재임을 인지. (인간은 성장하고 쇠퇴하고 결국에는 사망하는 유한한 존재이라는 인식)기 : 호흡, 영양, 자세, 운동, 노폐물배출 인지.신 : 마음을 개인이 다스릴 필요가 있는 대상으로 인지. 건강상태(몸의 형체, 영양상태, 혈액순환 및 기체순환)의 변화를 인지. 특정 감정에 치우치지 않고, 감정과 욕심을 매끄럽게 풀어내어 마음을 고요하게 만들기. 손상 요인정 : 무리한 신체 사용.기 : 균형이 무너진 자세, 식이, 혈액순환, 호흡, 자극.신 : 인지하지 못하는 생각 및 행동. 무리한 감정 사용. 이상 상태 - 장기간 지속시 문제가생길수 있어서 관리가 필요함(한의진단명 - 특징증상 - 약재조합)정허 - 허리와 등에 통증. 정강이 시큰거림. 어지럽고 이명이..

동의보감 2023.12.22

탈영증(귀하였다가 천하게 된 것), 실정증(부유했으나 가난해 진 것)

귀하였다가 천하게 된 것. 고위 신분이 하층민으로 전락한 경우가 탈영증이다. 부유한 자가 가난해진 것이 실정증이다. 두가지 경우 모두 외부로부터 사기가 없어도 병이 속에서 생겨나 몸이 날로 안 좋아지며 기와 정이 없어진다. 슬픔으로 인해 밖으로는 위기가 사라지고 안으로는 영기가 사라진다. 근심으로 인해 혈이 줄어든다. 나타나는 증상은 입맛이 없고, 마음이 고단하며, 살이 빠지는 것이다. 처방으로는 승양순기탕, 가감진심단을 복용한다. 기타처방은 교감단, 천왕보심단, 청심보혈탕을 복용한다. 분노가 있고, 생각이 끊이지 않으며, 슬픔이 동반된 경우승양순기탕 (황기, 인삼, 반하, 신국, 당귀, 초두구, 진피, 승마, 시호, 황백, 감초, 생강)*황기는 꿀을 발라 구워 사용한다.*반하는 생강즙에 담갔다 말려서 ..

동의보감 2023.12.22

갑자기 화를 내는데 멈출 수 없음, 동의보감

한약치료+ 미친듯 날뛰는 경우 > 당귀승기탕, 황련사심탕, 우황사심탕+ 놀라거나 근심하는 것이 오래된 경우 > 울금환+ 깜짝 놀란 경우 >  섭씨옹주환+ 신이 너무 피로함, 경계, 정충, 꿈자리가 편하지 않고 누가 잡으러 오는 듯 함 > 진사영지환, 영지화담탕, 양혈청심탕당귀승기탕 (당귀, 대황, 망초, 감초, 생강, 대추)황련사심탕 (황금, 황련, 생지황, 지모, 감초)우황사심탕 (대황, 용뇌, 우황, 생강) *주사 제외울금환 (울금, 명반)섭씨옹주환 (백부자, 인삼, 석창포) *주사, 웅황 제외진사영지환 (원지, 석창포, 산조인, 유향, 당귀, 백복령, 백복신, 인삼, 대조) *주사 제외 양혈청심탕 (당귀, 생지황, 인삼, 백출, 복신, 원지, 산조인, 천궁, 감초)영지화담탕 (우담남성, 반하, 진피..

동의보감 2023.12.22

반복되는 발작, 동의보감

한약치료+ 한, 맥침 > 오생환+ 살찐경우 > 추풍거담환+ 마른경우 > 청심곤담환, 용뇌안신환+ 담 > 금박진심환, 공연단+ 놀란 이후 발생 > 경기원+ 심허, 기혈부족 > 자음영신탕, 청심온담탕, 귀신단+ 재발하는 발작 > 단간단 오생환 (남성, 반하, 천오, 백부자, 검정콩, 생강즙)추풍거담환 (반하, 남성, 방풍, 천마, 백강잠, 백부자, 조각, 백반, 목향, 생강) *전갈 제외청심곤담환 (대황, 황금, 청몽석, 조각, 침향, 사향) *주사 제외용뇌안신환 (백복령, 인삼, 지골피, 맥문동, 감초, 서각, 우황, 용뇌, 사향, 망초) *주사제외금박진심환 (우담남성, 천축황, 우황, 사향) *주사, 호박, 웅황 제외공연단 (백강잠, 천오, 반하,감소, 생강) *전갈, 철분 제외경기원 (소자, 부자, 복..

동의보감 2023.12.21

기억력 저하, 동의보감

글에 앞서 우선 이 글에서 다루는 기억력 저하는 어린 시절부터 잘 잊어버리는 것이 아니다. 나이가 들어가며, 기억을 하려고 노력을 하고 애를 쓰는데에도 기억이 나지 않는 것이다. 어리석음과는 다르다. 한약치료+ 심기허 > 정지환, 개심산+ 노화 > 가감고본환 정지환 (인삼, 백복령, 복신, 석창포, 원지)개심산 (인삼, 백복령, 석창포, 원지)가감고본환 (단삼, 숙지황, 천문동, 맥문동, 백복령, 감초, 인삼, 원지, 석창포) *주사 제외 [기타]+ 담 > 가미복령탕+ 심비허 > 귀비탕+ 모든 허증 > 가감보심탕+ 심신허(心腎) > 강심단+ 심허, 혈허 > 장원환총명탕독서환 가미복령탕 (인삼, 반하, 진피, 백복령, 향부자, 익지인, 감초, 생강, 오매)귀비탕 (당귀, 용안육, 산조인, 원지, 인삼, 황..

동의보감 2023.12.18

가슴 두근거림, 동의보감

한약치료+경계, 정충 > 안신보심탕+평소에 작은 일에도 쉽게 놀라는 경우 > 가미온담탕 [기타]+혈허(마른 경우)+담음(살찐 경우)+과도한 생각 이후 발생 > 청심보혈탕, 진사묘향산+기허+혈허 > 양심탕+ 크게 놀란 뒤 발생한 두근거림 > 영지원, 양혈안신탕 * 보혈+안신+ 기울 > 교감단, 가미사칠탕 안신보심탕 (당귀, 생지황, 복신, 황금, 맥문동, 백작약, 백출, 원지, 산조인(초), 천궁, 현삼, 감초)가미온담탕 (향부자, 귤홍, 반하, 지실, 죽여, 인삼, 백복령, 시호, 맥문동, 길경, 생강, 대조)청심보혈탕 (인삼, 당귀, 백작약, 복신, 산조인, 맥문동, 천궁, 생지황, 진피, 치자, 감초, 오미자)진사묘향산 (산약, 백복령, 복신, 황기, 원지, 인삼, 길경, 감초, 목향, 사향) *주사..

동의보감 2023.12.13

기(氣) 관련 증상, 혈자리, 약재

기(氣)와 통증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장자화는 모든 통증의 원인을 기(氣)라고 했다. 즉, 기(氣)를 조절하지 못하면 위에 이야기한 수명 뿐만 아니라 통증의 원인이 될 수 있다. 반대로 생각해보면 통증이 발생한 상황에서 기(氣)를 잘 조절하는 것이 통증 완화에 도움이 될 수 있다. 노권상, 부족한게 없으나 기가 정체되어 생기는 병동의보감에서는 기(氣)와 관련되어 너무 일을 하지 않아도 노권상이라는 기가 뭉쳐서 생겨나는 병이 있다고 한다. 그리고 과도하게 일을 하면 기력이 다해서 병이 생긴다고 했다. 아무때나 욕심을 채우고, 금기할 것에 대해 알 지 못하고, 과하게 먹은 뒤에 바로 움직이는 등의 행위는 기의 순환을 막고 이는 노권상을 일으킨다고 했다. 그래서 적절하게 일하되, 너무 피로하지 않게 일해야 한..

동의보감 2023.12.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