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SASD(견봉하·삼각근하, Subacromial–Subdeltoid) 윤활낭은 어깨에서 가장 큰 윤활낭으로, 회전근개(특히 극상근) 위를 덮고 있어요.
역할 👉 어깨 외전·거상 시 회전근개와 견봉, 삼각근 사이의 마찰을 줄여줍니다.
문제는 과사용, 충돌, 회전근개 파열과 함께 자주 염증·삼출이 생긴다는 점이에요.
SASD 윤활낭염 초음파 체크리스트 ✅
1. 윤활낭 두께
- 정상: 거의 안 보임 또는 1–2 mm 얇은 띠
- 이상: >2 mm 두꺼움 + hypoechoic band
2. 내용물(액체)
- 단순 삼출: 균일한 무에코 액체
- 염증성: 에코점, debris, septation
- 감염성: 불균질, 탁함, 벽 혈류↑, 주변 부종
3. 압박성(Compressibility)
- 정상/단순 삼출: 압박 시 납작해짐
- 염증/만성: 잘 안 눌리고 viscous fluid 느낌
4. 도플러 혈류(Hyperemia)
- 정상: 혈류 거의 없음
- 염증성: 벽/주변 조직 혈류 증가
5. 동적 검사(Dynamic impingement)
- 어깨 외전 60–120도 시 윤활낭이 견봉과 회전근개 사이 끼임 확인
- 통증 재현 시 충돌 증후군 강력 시사
6. 회전근개 건과 동반 소견
- 극상근 파열: bursal-sided fluid leakage
- 건병증: 건 비후, 저에코, 미세 파열
- 장두이두근·견갑하근 건 이상 함께 확인
SASD 윤활낭염 임상 힌트 💡
- 환자는 팔 들 때 옆·앞 어깨 통증 호소
- 머리 위 동작, 야간 통증 악화
- 국소 압통: 극상근 주위, 견봉 전외측
- 단순 bursitis인지, 회전근개 손상 동반인지 구분이 핵심
감별 포인트 🔎
- SASD 윤활낭염 vs 관절강 삼출: SASD는 견봉 아래 국소, 관절액은 관절강 전체 팽창
- bursitis vs 단순 strain: 윤활낭 두께·액체·혈류 확인
- 석회화 건염: 건내부 고에코 + acoustic shadow, 윤활낭 부종 동반 가능
치료 방향(원칙)
- 초기: 휴식, 물리치료(온·냉, 초음파 치료)
- 약물: NSAIDs, 필요 시 주사치료(초음파 유도)
- 병행: 회전근개 근력강화 운동, 어깨 스트레칭
- 감염 의심 시: 반드시 배양검사 후 항생제 치료
SASD 윤활낭염 초음파 리포트 예시 📝
- Rt. SASD bursa, thickness 3.5 mm
- Internal content: hypoechoic fluid with echogenic debris
- Compressibility: partial
- Doppler: hyperemia along bursal wall
- Associated finding: supraspinatus tendinopathy
- Impression: Inflammatory bursitis with rotator cuff tendinopathy
마무리 정리
👉 SASD 윤활낭염은 회전근개 통증의 핵심 포인트
👉 초음파에서는 두께, 내용물, 압박성, 도플러 혈류, 동적 검사, 동반 건 손상을 체크해야 합니다.
👉 단순 삼출인지, 염증/감염성인지, 회전근개 병변 동반 여부까지 판별해야 확실한 진단이 가능합니다.
반응형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트레칭으로 안 풀리는 허리 답답함 (0) | 2025.09.18 |
---|---|
운동신경 포착시 근육에 허혈성 통증이 생기는 이유 (0) | 2025.09.18 |
초음파상 bursa (윤활낭) (0) | 2025.09.18 |
이두근건염 회복 기간 (0) | 2025.09.18 |
고령자 오다리 방지 루틴 (0) | 2025.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