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907

동의보감에서 보는 방광 치료 가이드

📝 들어가기 전에한의학 고전 「동의보감」에서는 방광병을 치료할 때 ‘허(虛)·실(實)’, ‘한(寒)·열(熱)’의 상태를 가장 먼저 파악하도록 합니다. 이 글에서는 동의보감에 수록된 대표 처방과 단방(單方) 약재를 쉽고 깔끔하게 정리해, 방광병 치료에 대한 궁금증을 한 번에 해결해드릴게요!1. 방광병이란?정의: 소변 저장·배출 기능에 이상이 생겨 나타나는 여러 증상주요 증상잔뇨감·잔뇨감소변이 줄줄 새거나, 참지 못하는 ‘소변 불금(小便不禁)’소변이 막히거나 잘 나오지 않는 ‘소변 불통(小便不通)’배뇨 시 작열감 또는 급통(急痛)2. 동의보감의 치료 원칙 🔍허증(虛證)방광 기능이 약해 소변이 새거나 잘 나오지 않는 상태실증(實證)방광에 열이 가득해 소변이 막히거나 급박통·작열감이 뚜렷한 상태한증(寒證)찬..

동의보감 2025.04.18

한약 추출 물량 계산기 (약재 물 비율)

한약 추출 물량 계산기 1첩당 약재 용량 (g) 총 첩수 1팩당 추출액 용량 (ml) 계산하기 ✅ 한약 1제란?1제 = 20첩1첩 = 1일 2회분 (약재 기준)하지만 보통 2첩을 달여 3팩으로 조제하기 때문에…👉 1제(20첩)를 달이면 30팩이 되는 것이 일반적인 조제 방식입니다.💧 왜 1제 = 30팩인가요?항목설명📦 20첩 분량한약재 20첩 기준 (10일치 분량)🔁 2첩씩 달임1회 달일 때 2첩을 한꺼번에 달임🥤 3팩 조제2첩을 3팩으로 나누어 조제🧮 총 10회 달임 × 3팩👉 30팩 완성! = 하루 3회 × 10일분🌿 복용 기준1일 3회 복용 (아침, 점심, 저녁)1팩당 100~130ml 정도 (환자 체질/상황에 따라 조절)🧾 ..

한약 2025.04.17

산후 회복 한약 복용 기본 프로그램 (기간별 정리)

🌿 출산 후 산모의 회복을 돕기 위한 한약 복용 프로그램입니다. 자궁 수축, 오로 배출, 기혈 보충, 수유 안정 등 단계별로 설계된 맞춤 처방을 제공합니다.🗓️ 복약 구성 및 기간총 20~30일 복용 / 5일 단위 처방으로 진행됩니다.✅ 1단계: 출산 후 1~5일차처방: 생화탕 가감목표: 자궁 수축, 오로 배출약재 구성:당귀 12g, 천궁 6g, 황기 2g, 백출 2g, 감초 4g, 도인 4g, 건강(포) 4g녹용(상대) 1g, 녹용(분골) 1g제왕절개 시점: 일반식 시작 이후 복약 시작 ✅ 2단계: 출산 후 6~10일차오로가 많다면 → 생화탕 연장 (녹용 2g씩 증량)오로가 줄었다면 → 십전대보탕 가감 전환십전대보탕 구성:인삼, 백출, 백복령, 자감초, 숙지황, 백작약, 천궁, 당귀, 황기, 육계,..

한약 2025.04.17

소아 비염 한방 치료 정리

👃 소아 비염 한약 처방 정리계절성 비염, 알레르기 비염, 코막힘, 콧물 증상에 대한 한방 치료 요약✅ 1. 중초 허약형 비염 – 면역력 저하주약재: 황기 12g, 인삼/백출/생강 각 6g가미: 계지, 신이 – 4g / 승마, 세신 – 2g✔️ 소화기 허약, 자주 감기에 걸리는 아이에게✔️ 코가 잘 막히고 맑은 콧물이 자주 흐를 때✅ 2. 폐기허형 비염 – 코막힘, 점액 콧물주약재: 의이인 12g, 길경, 산약 – 각 6g가미: 마황, 신이, 승마, 백지 – 각 4g✔️ 폐기 허약으로 저항력이 약한 아이✔️ 끈적한 콧물과 코막힘, 호흡 불편함 동반✅ 3. 신허형 비염 – 만성 비염, 코골이주약재: 숙지황 16g, 산수유, 산약, 유근피 – 각 8g가미: 백복령, 어성초 – 6g / 방풍, 형개 – 4g..

한약 2025.04.17

소아 ADHD 한방 치료 정리

🧠 소아 ADHD 한약 처방 정리주의력 부족, 과잉행동, 감정 기복 조절을 위한 한방적 접근 ✅ 1. 양기를 보하고 신(腎)을 돕는 처방 – 활력 저하형 ADHD양기 보익: 사인, 육종용, 황기 – 각 8g신양 보익: 골쇄보, 대추, 쇄양, 오가피, 인삼 – 각 6g보신조양: 감초, 복령, 속단, 우슬, 토사자, 파극천, 해백, 호도, 황정 – 각 4g익지인: 2g자하거엑스: 10ml✔️ 몸이 차거나 기운이 약해져 집중이 떨어지는 아이에게✔️ 신장기운이 약해 뇌기능이 떨어지는 양허형 ADHD ✅ 2. 귀비탕 + 청간소요산 가미 – 기혈허 + 정서불안형 ADHD귀비탕 핵심: 인삼, 백출, 복신, 감초, 황기, 용안육, 당귀, 산조인청간소요산 가미: 시호, 작약, 당귀, 백복령, 청피, 목단피, 진피, 감..

한약 2025.04.17

한방에서 보는 대장(大腸)의 구조와 기능, 질환 및 치료법

우리 몸속 소화기관 중 하나인 대장은 한의학에서 단순한 찌꺼기 통로가 아닌, 기와 혈, 진액의 흐름에 중요한 역할을 맡고 있다고 보았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한의학 고전 속 대장의 구조, 기능, 질병 증상과 치료까지 자세히 알아봅니다.📌 대장의 형상과 구조 👃 대장의 상태, 피부와 코로 알 수 있다?한의학에서는 폐와 대장이 서로 짝이 되는 장부로 보고, 폐가 주관하는 피부나 코를 통해 대장의 상태를 짐작할 수 있다고 봅니다.피부가 두껍고 느슨하면 대장이 굵고 길다피부가 얇고 팽팽하면 대장이 짧고 팽팽하다매끄러운 피부는 대장이 곧고,피부와 살이 따로 노는 느낌이면 대장이 뭉친 것이다또한 천추에서 횡골까지의 길이(6.5촌)로 대장의 장단을 짐작할 수 있습니다.❗ 대장에 생기는 주요 병증한의학에서는 대장의 ..

동의보감 2025.04.16

위의 기능과 구조, 한의학에서 보는 위(胃)란?

위는 음식물의 소화와 기혈 생성을 담당하는 핵심 장부입니다.한의학에서는 위(胃)를 수곡(水穀)의 바다, 또는 *태창(太倉)이라 하여 음식과 음양의 흐름을 조절하는 중요한 기관으로 여깁니다. 🌊 위는 ‘수곡의 바다’위는 섭취된 음식물을 저장하고, 기와 혈을 생성하는 곳입니다.수곡이 위로 들어오면 각 오장육부에 맞게 분배되며, 소화되지 않은 찌꺼기는 장을 통해 배출됩니다.위와 장은 번갈아 가며 비고 차며, 기의 순환을 돕습니다.💡 키워드: 수곡의 바다, 기혈 생성, 소화 기능💠 위의 상태를 알 수 있는 징후위기가 약해지면 입맛이 없고 소화가 안 되며, 몸이 나른하고 설사를 자주 합니다.위기가 완전히 끊어지면 입과 눈이 떨리고 안색이 누렇게 변하며,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맥이 성하면서 피부 감각이 없..

동의보감 2025.04.14

소장(小腸)의 기능과 소장병 증상, 소장열, 소변장애, 복통

소장(小腸)은 위에서 내려온 음식물의 찌꺼기를 받아 ‘청탁을 분별’하고 수분을 방광으로, 잔여물은 대장으로 보내는 중요한 소화기관입니다. 하지만 많은 분들이 소장의 기능이나 질병에 대해 생소하게 느끼시죠?오늘은 『영추』, 『난경』, 『입문』, 『본초』 등의 고전을 바탕으로 소장의 형상과 위치부터, 대표 질환, 증상, 치료 처방 및 본초까지 쉽게 풀어 설명드릴게요. ✅ 소장의 부위 이해혈자리설명수분혈(水分穴)배꼽 위 1촌에 위치, 소장의 아래 출구관원혈(關元穴)배꼽 아래 3촌, 소장의 모혈소장수(小腸兪)등에서 18번째 척추 아래 좌우에 위치소장의 기능소장은 위에서 내려온 음식물을 받아청탁을 분별(淸濁分別)맑은 기운은 방광으로,찌꺼기는 대장으로 보내는 기능을 합니다.고전에서는 **소장과 대장이 만나는 곳을 ..

동의보감 2025.01.31

담(膽)의 역할과 증상, 한의학적 치료법 총정리

한의학에서 '담(膽)'은 단순한 장기가 아닌, 결단력·용기·감정과 깊은 관련이 있는 중요한 장부입니다. 오늘은 『영추』, 『입문』 등 고전 의학서에 근거하여, 담의 형상부터 담병 증상, 한열왕래, 담기 허실, 대표적인 치료처방까지 상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기능: 담은 정즙(精汁)을 저장하여 눈으로 통하고, 사물을 밝게 인식하게 합니다. 그래서 '청정지부(淸靜之府)'라고 불리며 눈과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담은 결단을 주관하는 장부입니다. 금(金)에서 생하고, 무(武)를 상징하므로 굳세고 과단성 있는 성품은 담기가 바르기 때문입니다.담이 강하면 두려움 없이 용감하고, 담이 약하면 쉽게 겁먹고 불안감을 느끼게 됩니다.아래 눈꺼풀이 크면 담이 발달되어 있다고 보며, 손발톱의 상태도 담의 강약과 관련 있습니다.담의..

동의보감 2024.11.12

腎(신) 동의보감

신腎 동의보감[관련 진단 및 처방]신음허 > 육미지황환신음허-음허화동 > 자음강화탕명문화부족-양허 > 팔미지황환신음양허 > 가감팔미환신양허-"허리가 무겁고 아프다" > 온신산 육미지황환 (숙지황, 산약, 산수유, 택사, 목단피)자음강화탕 (백작약, 당귀, 숙지황, 천문동, 맥문동, 백출, 생지황, 진피, 지모, 황백, 감초, 생강, 대추)팔미지황환 (숙지황, 산약, 산수유, 목단피, 백복령, 택사, 육계, 부자)가감팔미환 (숙지황, 산약, 산수유, 택사, 목단피, 백복령, 오미자, 육계)온신산 (숙지황, 우슬, 육종용, 오미자, 파극, 맥문동, 감초, 복신, 건강, 두충) [관련 약재]신 양기를 보한다 : 토사자, 육종용, 오미자, 침향신 정을 보한다 : 숙지황, 산수유, 모려, 상표초, 녹용, 율, 흑..

동의보감 2024.10.18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