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 905

心(심) 동의보감

心 관련 진단, 처방, 약재[관련 진단 및 처방]심기허(기력저하) > 오미자심허열 > 성심산심열 > 사심탕, 십미도적산 성심산 (인삼, 맥문동, 오미자, 원지, 복신, 생지황, 석창포)사심탕 (황련)십미도적산 (황련, 황금, 맥문동, 반하, 지골피, 복신, 적작약, 목통, 생지황, 감초, 생강) [관련 약재]심을 열어준다 : 석창포, 복신, 적소두 심기를 더한다 : 소맥 심기를 더한다, 심기를 통한다 : 연자심혈을 더한다, 심열을 내린다 : 생지황심기를 안정시킨다 : 원지심열을 내린다, 심에 있는 노폐물을 제거한다 : 황련심열을 내린다, 심기를 더한다 : 맥문동심열을 없앤다 : 죽엽, 박하, 연교, 치자 *심병 : 쓴 채소류, 행인心 위치흉부 종격 내, 폐 사이에 위치한다. 心 관련 질환1. [기능이상]..

동의보감 2024.09.04

간(肝) 동의보감

肝 동의보감[관련 진단 및 처방]간허 > 사물탕, 청간탕, 보간환간실(옆구리통증) > 사청환, 세간산, 당귀용뇌환 청간탕 (백작약, 천궁, 당귀, 시호, 치자, 목단피)보간환 (사물탕 + 방풍, 강황)사청환 (당귀, 용담초, 천궁, 치자, 대황, 강활, 방풍, 죽엽, 설탕)세간산 (강활, 당귀, 박하, 방풍, 대황, 천궁, 치자, 감초, 용담초)당귀용뇌환 (당귀, 용담초, 치자, 황련, 황백, 황금, 대황, 노회, 청대, 목향, 사향, 생강) [관련 약재]간기 더함 : 용담초, 차전자, 사삼, 고삼, 소맥 간기 소통시킴: 청피간의 사기 제거 : 총백간열 제거 : 황련, 결명자, 청상자, 창이자 간을 보함 : 세신, 복분자, 산수유, 작약, 모과 간을 따듯하게 함 : 산수유 肝[기능] 알부민 합성, 콜레스..

동의보감 2024.08.30

2023 최고 최저 기온 정리표

날씨는 알게 모르게 우리 삶의 큰 영향을 끼친다. 날이 더워서 병이 생기기도 하고 반대로 날이 추워서 병이 생기기도 한다. 또한 환절기라는 날씨가 변화하는 시기에는 감기에 걸리기 쉽다고 한다. 이처럼 이상에 영향을 주는 날씨는 주기성을 지닌다. 완전히 동일하진 않지만 대한민국에는 매년 봄, 여름, 가을, 겨울이 반복된다. 2023년의 기상청 일별자료를 참고해서 연간 기온의 변동과 강수량을 표시해보았다. 2023년도의 결과이다. 이 중 외출이 좋은 시기는 4월 10월로 보인다. 낮 기온도 25도를 넘기지 않고, 밤에도 5도 이하로 내려가지 않는다. 추가로 15~22도 정도의 온도대의 시기도 표시해보았다. 참고 : 기상청 일별자료

정리 2024.08.30

머리 주변 혈자리 - 3

신정혈 GV24, 상성혈 GV23, 신회혈 GV22, 전정혈 GV21, 백회혈 GV20, 후정혈 GV19, 강간혈 GV18신정 (GV24) : 머리, anterior median line 상, anterior hairline에서 후방으로 0.5寸인 지점. 0.2~0.3寸 (0.6~0.9 cm) 직자 / 0.5~0.8寸 (1.5~2.4 cm) 사자한다. 머리, anterior median line 상, anterior hairline에서 후방으로 0.5寸인 지점에 취혈한다. 상성 (GV23) : 머리, anterior median line 상, anterior hairline에서 후방으로 1寸인 지점. 0.2~0.3寸 (0.6~0.9 cm) 직자 / 0.5~0.8寸 (1.5~2.4 cm) 사자 / 점자출혈..

혈자리 2024.07.03

머리 주변 혈자리 - 2

미충혈 BL3, 곡차혈 BL4, 오처혈 BL5, 승광혈 BL6, 통천혈 BL7, 낙각혈 BL8미충 (BL3) : 머리, frontal notch를 지나는 수직선 상, anterior hairline에서 후방으로 0.5寸인 지점. 0.2~0.3寸 (0.6~0.9 cm) 직자 / 0.3~0.5寸 (0.9~1.5 cm) 상방 또는 외측으로 사자. 머리, frontal notch를 지나는 수직선 상, anterior hairline에서 후방으로 0.5寸인 지점에 취혈한다. 곡차 (BL4) : 머리, anterior median line에서 가쪽으로 1.5寸인 수직선 상, anterior hairline에서 후방으로 0.5 寸인 지점. 0.2~0.3寸 (0.6~0.9 cm) 직자 / 0.3~0.5寸 (0.9~1...

혈자리 2024.07.03

머리 주변 혈자리 - 1

두유혈 ST8 / 함염혈 GB4, 현로혈 GB5, 현리혈 GB6, 곡빈혈 GB7 / 두임읍혈 GB15, 목창혈 GB16, 정영혈 GB17, 승령혈 GB18 두유 (ST8) : 머리, 이마각에서 수직 위로 0.5 寸인 지점. 0.2~0.3寸 (0.6~0.9 cm) 직자 / 0.3~0.5寸 (0.9~1.5 cm) 사자한다. 머리, 이마각에서 수직 위로 0.5 寸인 지점에 취혈한다. 함염 (GB4) : 머리, 두유(ST8)와 곡빈(GB7)을 연결하는 곡선을 4등분하여, 위쪽에서 1/4인 지점. 0.2~0.3寸 (0.6~0.9 cm) 직자 / 0.3~0.5寸 (0.9~1.5 cm) 아래방향으로 사자한다. 머리, 두유(ST8)와 곡빈(GB7)을 연결하는 곡선을 4등분하여, 위쪽에서 1/4인 지점에 취혈한다. ..

혈자리 2024.07.03

등 주변 혈자리 - 3

도도혈 GV13, 신주혈 GV12, 신도혈 GV11, 영대혈 GV10, 지양혈 GV9, 근축혈 GV8, 중추혈 GV7,척중혈 GV6도도 (GV13) : 등, 1번 흉추 spinous process 아래모서리와 같은 높이, posterior median line상의 지점. 0.3~0.5寸 (0.9~1.5 cm) 직자 / 0.5~1.0寸 (1.5~3.0 cm) 하사방으로 사자한다. 등, 1번 흉추 spinous process 아래모서리와 같은 높이, posterior median line상에 취혈한다. 신주 (GV12) : 등, 2번 흉추 spinous process 아래모서리와 같은 높이, posterior median line상의 지점. 0.3~0.5寸 (0.9~1.5 cm) 직자 / 0.5~1.0寸 (..

혈자리 2024.07.03

등 주변 혈자리 - 2

대저혈 BL11, 풍문혈 BL12, 폐수혈 BL13, 궐음수혈 BL14, 심수혈 BL15, 독수혈 BL16, 격수혈 BL17, 간수혈 BL18, 담수혈 BL19, 비수혈 BL20, 위수혈 BL21 대저 (BL11) : 등, 1번 흉추 spinous process 아래모서리와 같은 높이, posterior median line에서 가쪽으로 1.5寸인 지점. 0.3~0.5寸 (0.9~1.5 cm) 직자 / 0.5~1.0寸 (1.5~3.0 cm) 하사방으로 사자한다. 등, 1번 흉추 spinous process 아래모서리와 같은 높이, posterior median line에서 가쪽으로 1.5寸인 지점에 취혈한다.   풍문 (BL12) : 등, 2번 흉추 spinous process 아래모서리와 같은 높이, ..

혈자리 2024.07.03

등 주변 혈자리 - 1

부분혈 BL41, 백호혈 BL42, 고황혈 BL43, 신당혈 BL44, 의회혈 BL45, 격관혈 BL46, 혼문혈 BL47, 양강혈 BL48, 의사혈 BL49, 위창혈 BL50 부분 (BL41) : 등, 2번 흉추 spinous process 아래모서리와 같은 높이, posterior median line에서 가쪽으로 3寸인 지점. 0.3~0.5寸 (0.9~1.5 cm) 직자 / 0.5~0.8寸 (1.5~2.4 cm) 하방으로 사자한다. 등, 2번 흉추 spinous process 아래모서리와 같은 높이, posterior median line에서 가쪽으로 3寸인 지점에 취혈한다.  백호 (BL42) : 등, 3번 흉추 spinous process 아래모서리와 같은 높이, posterior median ..

혈자리 2024.07.03

혈액 검사 결과 해석 정리

호흡 / 영양상태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 자세, 운동, 수면 / 스트레스(자극) 관리 혈액검사 활용 이유 : 병의 전변단계 확인, 질환의 이환과정 확인, 치료 진행여부 결정혈액검사 수치의 일중변동 : 식사, 운동 등에 의해 변화 가능 *circadian rhythm검사오류의 가능성 : 용혈, 소독액의 잔여, 식이 음주 운동 등전원시 : 상기환자는 연월일시에 시행한 혈액검사상 특정상태를 확인한 환자로, 질환에 대한 감별 및 진단이 필요하여 상급병원으로 의뢰드립니다. 별도의 약물 복용 및 특이 기왕력에 대한 언급 가능.간 Liver [합성, 대사, 해독, 배설 기능]AST, ALT 상승 : 간세포에서 염증 등에 의해 세포가 파괴되고 있음을 의미함. 300 U/L까지는 비특이적으로 상승가능. 1000..

정리 2024.04.2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