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腎 동의보감
[관련 진단 및 처방]
신음허 > 육미지황환
신음허-음허화동 > 자음강화탕
명문화부족-양허 > 팔미지황환
신음양허 > 가감팔미환
신양허-"허리가 무겁고 아프다" > 온신산
육미지황환 (숙지황, 산약, 산수유, 택사, 목단피)
자음강화탕 (백작약, 당귀, 숙지황, 천문동, 맥문동, 백출, 생지황, 진피, 지모, 황백, 감초, 생강, 대추)
팔미지황환 (숙지황, 산약, 산수유, 목단피, 백복령, 택사, 육계, 부자)
가감팔미환 (숙지황, 산약, 산수유, 택사, 목단피, 백복령, 오미자, 육계)
온신산 (숙지황, 우슬, 육종용, 오미자, 파극, 맥문동, 감초, 복신, 건강, 두충)
[관련 약재]
신 양기를 보한다 : 토사자, 육종용, 오미자, 침향
신 정을 보한다 : 숙지황, 산수유, 모려, 상표초, 녹용, 율, 흑두
신 음을 보한다 : 지모
신을 따듯하게 한다 : 백자인, 두충, 복분자, 파고지
[동의 기능] 정을 저장한다.
[동의 기능이상요인] 과도하게 무리한 생활. 급격한 온도변화, 몸이 차가워진 경우
신장 기능
- 혈액을 여과한다. 이를 통해 노폐물, 독소, 염분, 수분 등을 배출한다. 포도당 및 아미노산 등을 재흡수한다.
- 체액 및 전해질, pH를 조절한다. 세포의 기능을 지원한다.
- 레닌(혈압조절 관여), 에리트로포이에틴(적혈구 생성 자극), 활성비타민d(칼슘과 인의 흡수 조절)을 분비한다
신장 기능이상 요인 및 증상
*긴급 : 심한 부종, 혈뇨, 거품뇨, 조절되지 않는 고혈압, 어지럼증
**긴급 : 고열, 오한, 옆구리통증이 동시에 나타나는 경우 >> 신우신염 의심
- 만성신장병 : 피로, 무기력, 부종, 소변 이상, 고혈압, (진행시), 메스꺼움, 식욕부진, 가려움증, 숨참, 혼란, 근육경직
- 탈수, 혈액공급 저하로 신장 손상의 가능성이 있다
- 감염, 신우신염
- 약물부작용
- 요로폐쇄
신장 기능이상 진단 및 치료
- 혈액검사 : 혈청크레아틴(신장의 여과 기능확인), 사구체여과율, BUN
- 소변검사 : 소변단백질, 거품
- 초음파 : 신장의 크기, 결석, 종양, 낭종 확인
- ct, mri
> 약물치료 : 고혈압, 당뇨, 감염 약물
> 보존적치료 : 저단백식단을 통한 신장 부담 감소, 수분조절, 전해질 조절
> 주사치료 : (만성신장병), epo주사를 통한 빈혈 처치, 비타민 d 활성제제
> 투석치료 : 혈액투석 복막투석을 통한 노폐물 제거
> 수술치료 : 신장이식
신장에 안 좋은 생활습관
- 과도한 염분섭취는 신장에 부담을 준다. 수분 섭취 부족시 노폐물이 효과적으로 배출되지 못해 결석발생 가능성이 증가한다, 단백섭취가 과도하면 신장에 부담이 된다, 운동부족, 수면부족시 신장의 여과 및 재생 기능을 방해한다, 영양 불균형
신장 기능 질문 / 감각파악
- 환자시각 : 거품뇨(단백뇨), 붉은소변(혈뇨), 탁한소변(감염 및 염증)
- 환자후각 : 소변냄새심함
- 환자촉각 : 손발의 부종
- 환자청각 : 이명(신장기능 이상 및 고혈압이 동반된 경우 나타날 수 있음)
- 환자미각 : 입맛의 변화
- 환자통증 : 허리 및 옆구리의 통증 (결석 및 감염), 소변시 타는 듯한 느낌
- 환자생활습관 : 음수량, 염분섭취, 흡연, 음주, 약물복용, 보충제복용
[참고]
*해당 글은 의학적 판단이나 진료행위로 해석될 수 없으며 MANIFAST는 이로 인해 발생되는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병원을 방문해 주세요.
'동의보감'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소장(小腸)의 기능과 소장병 증상, 소장열, 소변장애, 복통 (4) | 2025.01.31 |
|---|---|
| 담(膽)의 역할과 증상, 한의학적 치료법 총정리 (0) | 2024.11.12 |
| 肺(폐) 동의보감 (0) | 2024.09.06 |
| 脾(비) 동의보감 (0) | 2024.09.06 |
| 心(심) 동의보감 (0) | 2024.09.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