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깨 통증, 구조까지 파악하는 한의원 이학적 검사법🔬

MANYFAST 2025. 5. 20. 16:01

어깨 통증 진단 시 이학적 검사로 구조적 병변까지 감별하는 법! 해부학 기반으로 실전 진단 가이드 제공합니다.

어깨 통증은 ‘아프다’는 표현 하나로 끝나지 않습니다. 어떤 조직(힘줄, 인대, 윤활막, 신경 등)에 문제가 생겼는지를 정확히 감별해야 진짜 치료가 시작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정형외과와 한의 임상에서 공통으로 쓰이는 이학적 검사법을 구조적 이해와 함께 소개합니다. ✅ 회전근개, 견봉하 공간, 관절낭, 이두건, 신경통 유무까지 완전 정리!

 

💡 핵심 구조 먼저 정리하자 어깨 통증 관련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 이학적 검사: 어떤 구조가 문제인지 파악하는 실전 가이드

 

Empty Can Test (극상근)

  • 방법: 팔을 90도 외전하고, 손바닥을 아래(내회전)로 향하게 한 채, 위로 올리며 저항 줌
  • 양성 반응: 통증 + 근력 약화
  • 진단 포인트:
    극상근건염/극상근 파열
    회전근개 중 가장 흔한 손상 구조

 

Drop Arm Test (극상근 파열)

  • 방법: 팔을 수동으로 90도 들어 올리고, 환자가 천천히 내리게 함
  • 양성 반응: 중간에 팔이 떨어짐
  • 진단 포인트:
    회전근개 완전 파열 의심
    특히 극상근 건 손상

 

External Rotation Lag Sign (극하근/소원근)

  • 방법: 팔을 20도 외회전 상태로 만들고 유지하게 함
  • 양성 반응: 외회전 유지 실패
  • 진단 포인트:
    극하근, 소원근의 약화 또는 파열
    회전근개 중 뒤쪽 구조 문제

 

Hawkins-Kennedy Test (견봉하 공간 충돌)

  • 방법: 어깨 90도 굴곡 + 팔꿈치 90도 굴곡 상태에서 팔을 내회전
  • 양성 반응: 전면 어깨 통증
  • 진단 포인트:
    견봉하 공간 협소 → 충돌 증후군,
    → 극상근 + 이두건 + 윤활막 압박

 

Neer Impingement Test (견봉하 구조 압박)

  • 방법: 어깨를 수동으로 완전 굴곡시킴 (팔을 귀까지 들어 올림)
  • 양성 반응: 극상근 부위 통증
  • 진단 포인트:
    견봉-상완골 사이 충돌
    충돌 증후군, 석회성 건염 가능성

 

Speed’s Test (이두근 장두건)

  • 방법: 팔을 뻗은 상태에서 손바닥을 위로(회외), 위로 올리는 힘을 저항
  • 양성 반응: 상완 이두근 부위의 통증
  • 진단 포인트:
    이두근 장두건염,
    충돌 증후군과 동반 가능

 

Yergason’s Test (이두근 장두건 + 활차지지 손상)

  • 방법: 팔꿈치를 굽히고, 손을 바깥으로 돌리게 하며 저항을 줌
  • 양성 반응: 이두근 부위 통증 or 뚝 소리
  • 진단 포인트:
    이두근 활차지지 파열,
    이두건 아탈구 가능

 

Passive External Rotation 제한 확인 (관절낭)

  • 방법: 팔꿈치 90도 굽힌 상태에서 수동으로 외회전
  • 양성 반응: 정상보다 외회전 제한
  • 진단 포인트:
    유착성 관절낭염(오십견)
    → 초기엔 야간 통증이 심하고, 시간이 지나면서 모든 방향 제한

 

Spurling Test (경추 신경근 압박)

  • 방법: 목을 병변 쪽으로 돌리고 누름
  • 양성 반응: 어깨나 팔로 뻗치는 방사통
  • 진단 포인트:
    경추 디스크, 협착증,
    C5~C6 신경 뿌리 눌림

 

Shoulder Abduction Relief Test

  • 방법: 팔을 머리 위로 얹었을 때 통증 완화
  • 양성 반응: 통증 감소
  • 진단 포인트:
    신경근 포착이 원인일 경우 특징적

 

견갑상신경 포착 감별법

  • 촉진: 견갑극 아래, 견갑골 내측 상부의 압통
  • 시진: 극상근·극하근 위축 시 좌우 차이
  • 기능 검사: 외회전 근력 약화
  • 진단 포인트:
    견갑상신경 압박 (ex. 견갑절흔 이상, 낭종 압박 등)

 

 

 

🧾 구조별 요약 정리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