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약

🧠 뇌 손상, 한의학에서는 어떻게 볼까? – 부위별 증상과 치료법 총정리

MANYFAST 2025. 5. 20. 05:29

 

 

현대의학에서 뇌는 영역별로 분화된 기능을 갖는 기관으로 분석되지만, 한의학에서는 뇌를 정신활동의 중심으로 보고, 그 기능은 심(心), 간(肝), 신(腎) 등 오장육부의 상호작용을 통해 유지된다고 봅니다. 특히 뇌 손상으로 인한 증상을 기혈의 순환 장애, 정신의 손상, 담(痰)의 폐색, 풍(風)의 동요로 해석하며, 치료 또한 이에 따라 달라집니다.

 

🌟 한의학에서의 뇌 기능 해석

한의학 개념 / 관련 장부 / 역할

 

정신(精神) 심(心), 신(腎) 인지, 감정, 기억, 의식
정(精) 신(腎) 뇌를 형성하고 유지하는 기본물질 (해로정해, 海勞精海)
혈(血) 간(肝), 심(心) 뇌에 영양공급, 감정 조절
풍(風) 간(肝) 뇌졸중, 경련, 진전 등 급성 증상의 원인
담(痰) 비(脾), 폐(肺) 혼미, 언어장애, 중풍 후유증의 주요 병리물질
 

 

🔎 부위별 증상과 한의학적 해석

 

1. 전두엽 손상

  • 현상: 판단력 저하, 충동조절 장애, 운동마비, 언어 표현 장애
  • 한의학 해석: 심기허(心氣虛), 담탁조규(痰濁阻竅)
  • 치료 원칙: 익기양심(益氣養心), 개규화담(開竅化痰)

🧾 대표 처방: 보심안신탕(補心安神湯), 청심개규탕(淸心開竅湯), 사향우황환(麝香牛黃丸)

 

2. 측두엽 손상

  • 현상: 기억장애, 언어이해장애, 감정기복
  • 한의학 해석: 신정부족(腎精不足), 심신불교(心腎不交)
  • 치료 원칙: 자음보신(滋陰補腎), 교심안신(交心安神)

🧾 대표 처방: 천왕보심단(天王補心丹), 육미지황탕 가감방, 귀비탕(歸脾湯)

 

 

3. 두정엽/후두엽 손상

  • 현상: 감각 이상, 시각 장애, 공간지각 장애
  • 한의학 해석: 간혈허(肝血虛), 정혈부족(精血不足)
  • 치료 원칙: 양간명목(養肝明目), 보혈통락(補血通絡)

🧾 대표 처방: 구척탕(龜芍地黃湯), 사물탕(四物湯), 익기보혈탕

 

 

4. 뇌간/소뇌 손상

  • 현상: 연하곤란, 안면마비, 균형장애, 진전
  • 한의학 해석: 담미심규(痰迷心竅), 풍담내동(風痰內動), 기혈허약(氣血虛弱)
  • 치료 원칙: 식풍화담(熄風化痰), 활혈통락(活血通絡), 익기건비(益氣健脾)

🧾 대표 처방: 반하백출천마탕(半夏白朮天麻湯), 진간식풍탕(鎭肝熄風湯), 대정풍주(大定風珠)

 

 

5. 변연계 손상

  • 현상: 공황장애, 기억력 저하, 감정 조절 장애
  • 한의학 해석: 심혈부족(心血不足), 간기울결(肝氣鬱結)
  • 치료 원칙: 양혈안신(養血安神), 소간이기(疏肝理氣)

🧾 대표 처방: 가미소요산(加味逍遙散), 산조인탕(酸棗仁湯), 온담탕(溫膽湯)

 

 

🔬 한의 치료 방법별 적용

치료법 / 적용 예

 

침 치료 두침, 사암침, 중완·인당·태충 등 사용
→ 운동 마비, 언어장애, 감정 조절
약침/봉침 뇌혈류 개선, 염증 억제 목적
→ 중풍, 파킨슨, 기억장애
뜸/온열요법 비위허약, 기혈허증 동반 시 적용
→ 전신 회복 및 기순환 촉진
한약 복약 체질과 증상에 따른 가감처방
→ 기혈 보충, 담 제거, 정신 안정
기공/명상치료 심신 안정, 자율신경 조절
→ 불안장애, 기억력 훈련 보조
 

 

🧠 마무리 정리

  • 뇌 손상은 단순히 한 부위의 문제가 아닌 전신 장부와 기혈, 정지(情志)의 복합적 장애로 이해해야 합니다.
  • 한의학은 기혈을 조화롭게 하고, 정(精)을 보하며, 담(痰)을 제거하고, 풍(風)을 다스리는 방식으로 뇌 손상 후유증을 다면적으로 치료합니다.
  • 환자 맞춤형 접근이 중요하며, 현대 진단과 병행한 통합적 치료가 가장 좋은 예후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