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나트륨 (Na) → 염분 성분 중 “순수한 나트륨 이온”만 의미합니다.
- 소금 (NaCl) → 식탁에서 쓰는 소금(정제염, 꽃소금, 천일염 등), 나트륨(Na) + 염소(Cl) 화합물입니다.
즉,
- NaCl(소금) ≈ 40% Na + 60% Cl
예: 소금 1 g → 약 400 mg Na 포함
✅ 가이드라인에서 말하는 건 무엇인가?
- WHO, AHA, 대한고혈압학회 권고안은 “나트륨 Na 기준” 으로 발표합니다.
- 하지만 언론, 식품 포장지, 대중 교육에서는 “소금 NaCl 기준” 으로 쉽게 풀어 이야기합니다.
예를 들어:
- WHO 권고: Na < 2 g/day → NaCl(소금) < 5 g/day
- 대한고혈압학회 권고: Na < 2 g/day → NaCl(소금) < 5 g/day
- 식품 영양성분표 표시: 나트륨 Na 기준 (예: 나트륨 1500 mg, 소금 약 3.8 g에 해당)
✅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건?
- 식생활, 조리, 환자 교육에서 말하는 건 소금 NaCl 기준입니다.
예: “국 한 그릇에 소금 2 g 들어요.” - 식품 영양표, 의학 가이드라인, 검사 수치는 나트륨 Na 기준입니다.
예: “1일 나트륨 2000 mg 이하로 섭취하세요.”
✅ 계산 공식 (실전용)
- Na(나트륨 mg) × 2.5 ≈ NaCl(소금 mg)
- NaCl(소금 mg) × 0.4 ≈ Na(나트륨 mg)
예:
- Na 2000 mg → NaCl 약 5000 mg (5 g)
- NaCl 6 g → Na 약 2400 mg
✅ 요약
나트륨 (Na) | 순수 나트륨 이온 | WHO, AHA 권고, 영양성분표 |
소금 (NaCl) | 우리가 먹는 정제염, 천일염 | 요리, 식탁, 환자 교육 |
👉 일반 사람에게는 소금 기준으로 설명하고, 전문가·영양사는 나트륨 기준으로 계산하면 됩니다.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신생아·영유아의 식도 통과 및 위 배출 시간: 병태생리와 나이별 변화 (0) | 2025.05.05 |
---|---|
✅ 염분 민감성(Salt Sensitivity) 평가법 (0) | 2025.05.04 |
✅ 하루 염분 섭취량: 병태생리, 권고안, 임상적 접근 (0) | 2025.05.04 |
✅ 무릎 주사 테크닉 도해 설명 (그림 없이 글로 이해할 수 있게 정리) (0) | 2025.05.04 |
무릎 통증 주사요법: 병태생리와 적응증별 접근 (0) | 2025.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