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염분 민감성(Salt sensitivity)이란?
염분 민감성은
👉 염분 섭취 변화에 따라 혈압이 과도하게 변동하는 생리적·병리적 특성입니다.
- 염분 민감성 환자: 염분 제한 시 혈압↓, 고염식 시 혈압↑
- 염분 비민감성 환자: 염분 변화에 혈압 영향 거의 없음
염분 민감성은 고혈압, 심혈관질환, 신질환에서 독립적 위험인자로 간주됩니다.
2️⃣ 염분 민감성 평가 임상 지표
염분 민감성을 의심할 만한 임상 특징:
- 고령 (특히 60세 이상)
- 아프리카계, 동양계 인종
- 비만, 대사증후군, 당뇨병
- 만성 신질환 (CKD 3~5)
- 고혈압 가족력
- 과거 고염식 섭취 후 혈압 상승 경험
👉 이런 환자는 formal test 없이도 염분 제한 권장 가능
3️⃣ 표준화된 검사법 (연구용, 일부 고위험군 임상 적용)
📍 a) 식이 로딩·탈락 검사 (Dietary loading & depletion test)
- 저염식 1주 (Na 50 mmol/day ≈ 1.2 g Na, 3 g NaCl/day) → 혈압 측정
- 고염식 1주 (Na 250 mmol/day ≈ 6 g Na, 15 g NaCl/day) → 혈압 측정
- 수축기혈압(SBP) 차이 ≥10 mmHg → 염분 민감성
- 주의:
- CKD, 심부전, 부종 환자에선 위험
- 가정혈압 or 24시간 활동혈압 측정(ABPM) 권장
📍 b) 급성 부하 검사 (Acute saline loading & diuresis test)
- 2 L isotonic saline IV over 4 hr → 혈압 측정
- furosemide 40 mg IV → 혈압 측정
- SBP 변화 ≥10 mmHg → 염분 민감성
- 주의:
- 병원 내 모니터링 필요
- 고령, 심부전 환자에 금기
📍 c) 유전·생체지표
- 인슐린 저항성(HOMA-IR↑)
- 낮은 PRA(plasma renin activity)
- family history of salt-sensitive hypertension
→ 진단에 참고, 단독 사용 X
4️⃣ 임상 적용 팁
- 고염식 혈압 상승 경험 있는 환자, CKD, 대사증후군 환자 → 염분 제한 적극 권고
- 염분 민감성 검사는 연구·고위험군·치료 저항성 고혈압 환자에 선택적 적용
- 일반 고혈압 환자 → formal test 없이 4~6주 저염식 후 BP 변화 관찰
5️⃣ 최신 연구 포인트
- 염분 민감성은 동맥 경직도 증가, NO 감소, RAAS 억제 저항성과 연관
- 여성, 폐경 후에서 염분 민감성 증가 보고
- 유전자 마커(SNP) 기반 예측 연구 진행 중 (예: ADD1, GNB3, SLC4A5)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신생아·영유아의 식도 통과 및 위 배출 시간: 병태생리와 나이별 변화 (0) | 2025.05.05 |
---|---|
✅ 나트륨(Na) vs 소금(NaCl), 뭐가 다른가요? (0) | 2025.05.05 |
✅ 하루 염분 섭취량: 병태생리, 권고안, 임상적 접근 (0) | 2025.05.04 |
✅ 무릎 주사 테크닉 도해 설명 (그림 없이 글로 이해할 수 있게 정리) (0) | 2025.05.04 |
무릎 통증 주사요법: 병태생리와 적응증별 접근 (0) | 2025.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