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용어 정리
- 식도 통과 시간 (Esophageal transit time)
구강에서 인두, 식도를 거쳐 위까지 음식물이 내려가는 시간 - 위 배출 시간 (Gastric emptying time)
음식물이 위에서 십이지장으로 넘어가는 데 걸리는 시간
2️⃣ 나이별 평균 소화관 통과 시간
나이식도 통과 시간위 배출 시간 (모유 / 분유)특징
식도 | 위 | 특징 | |
신생아 (0~1개월) | 6~8초 | 2시간 (모유), 3시간 (분유) | 연하·식도운동 미숙, 역류 빈번 |
1~3개월 | 4~6초 | 2시간(모유), 2.5시간(분유) | 식도 연동운동 발달, 역류 점진 감소 |
4~6개월 | 3~5초 | 1.5~2시간 | 연하·위 배출 성숙, 이유식 준비 단계 |
6~12개월 | 3~4초 | 1.5~2시간 | 식도 연동 성숙, 위장 운동 성인화 |
1~3세 유아 | 2~4초 | 1~2시간 | 성인과 유사, 식습관·자세 중요 |
3️⃣ 병태생리학적 설명
- 식도
- 신생아: 상·하부 식도괄약근 미숙, 식도 길이 짧음, 연동운동 불완전
- 4~6개월: 식도 연동운동 증가, 하부괄약근 압력 상승
- 1세 이상: 성인과 유사한 식도운동 완성
- 위
- 신생아: 위 용량 작음(20~30 mL), 배출 시간 느림
- 모유: 단백질 coagulability 낮음 → 위 배출 빠름
- 분유: 카제인 함량 높아 coagulability↑ → 배출 지연
- 6개월~1세: 고형 이유식 소화 시작, 위장운동 성숙
4️⃣ 임상 적용 및 관리 전략
- 신생아 (~1개월)
→ 수유 후 upright 자세 유지 20~30분
→ 과식 피하고, 소량씩 자주 수유 - 1~3개월
→ 역류 점진 감소, 식도·위 기능 향상
→ 모유 2 시간, 분유 2.5시간 간격 수유 - 4~6개월
→ 이유식 준비, 소화기능 평가
→ 이유식 초기엔 묽은 상태로 시작 - 6개월~1세
→ 위 배출 시간 성인 수준에 접근
→ 고형식 섭취 시 변비·복부팽만 관찰 - 1~3세
→ 성인식 패턴 형성, 정서·행동 영향 주의
5️⃣ 실전 주의사항
- 신생아·영아기 역류 빈도는 정상발달 범위
- 병적 GERD 의심 시:
- 연하곤란, 체중 감소, 반복 폐렴, 빈혈 동반
- 위식도역류 검사 (pH monitoring, impedance, UGI series) 고려
- 미숙아, 저체중아는 통과시간 지연 빈번 → 모니터링 필요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릎 주사치료에서 Sheath Targeting의 중요성과 기술 (0) | 2025.05.07 |
---|---|
✅ 나트륨(Na) vs 소금(NaCl), 뭐가 다른가요? (0) | 2025.05.05 |
✅ 염분 민감성(Salt Sensitivity) 평가법 (0) | 2025.05.04 |
✅ 하루 염분 섭취량: 병태생리, 권고안, 임상적 접근 (0) | 2025.05.04 |
✅ 무릎 주사 테크닉 도해 설명 (그림 없이 글로 이해할 수 있게 정리) (0) | 2025.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