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혈액 검사 결과 해석 정리
    생리학 2024. 4. 26. 16:53

    호흡 / 영양상태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 / 자세, 운동, 수면 / 스트레스(자극) 관리

    혈액검사 관련 요약
    혈액검사 관련 요약

     

    혈액검사 활용 이유 : 병의 전변단계 확인, 질환의 이환과정 확인, 치료 진행여부 결정

    혈액검사 수치의 일중변동 : 식사, 운동 등에 의해 변화 가능 *circadian rhythm

    검사오류의 가능성 : 용혈, 소독액의 잔여, 식이 음주 운동 등

    전원시 : 상기환자는 연월일시에 시행한 혈액검사상 특정상태를 확인한 환자로, 질환에 대한 감별 및 진단이 필요하여 상급병원으로 의뢰드립니다. 별도의 약물 복용 및 특이 기왕력에 대한 언급 가능.


    간 Liver [합성, 대사, 해독, 배설 기능]

    AST, ALT 상승 : 간세포에서 염증 등에 의해 세포가 파괴되고 있음을 의미함. 300 U/L까지는 비특이적으로 상승가능. 1000 U/L 이상일시 급성 간, 독성 간손상을 의미함

    직접 Bilirubin 상승 : 담즙의 배설이상

    간접 Bilirubin 상승 : 용혈, 포합장애로 인한 빌리루빈 생성 증가

    Albumin 하강: 간에서의 단백질 합성이 저하됨을 의미

    Prothrombin 하강 : 간에서의 prothrombin 생성이 저하되어 간의 합성능이 저하됨을 의미

    *간 관련 질환 : 염증(간염), 지방의 침착(지방간), 담도의 폐색, 담도의 문제, 약물로 인한 손상, 섬유화 - 경변, 종양

    *관련증상 : 황달, 피로, 발열, 통증

    **장기적 이환 : 비알콜성지방간 > 간섬유화 > 간경변

    ***AST ALT는 transaminase로 아미노산을 만드는 작용을 한다.

    ***감작스러운 흉통 교액감을 동반한 경우 > 심근경색이 의심 > CK, CK-MB, 트로포

    ***AST, ALT의 감소 : 감상선 질환 의심 > fT4, fT3, TSH확인 or 식사량의 저하 및 단백질의 저섭취 의심

    ***간경변에 고강도 운동을 피할 것 : 운동강도가 높을 문맥압상승 > 식도정맥류출혈. 신혈류량 감소 > 복수

    ***간겨변 환자는 운동 전에 탄수화물을 보충할 것 : 당을 글리코겐으로 저장하는 능력이 저하된 상태이기 떄

     

    GGT 상승 : 간과 담관의 세포가 파괴되는 경우 혈액으로 누출됨 *간의 해독 작용과 관련된 지표

    GGT 단독 상승 : 알코올 / GGT, ALP 상승 : 간담도질환 의심

     

    Bilirubin의 상승 : 간담도 질환, 우심부전 의심  *적혈구 파괴시 생성되는 색소이다. 담즙 or 소변으로 배출된다.

    간접 bilirubin : 간 이외의 질환 *간에서 처리되기 전의 빌리루빈

    직접 bilirubin : 간기능의 저하 *간에서 처리된 후의 빌리루빈 


    신 Kidney [혈액여과]

    BUN 상승 : 단백질과 아미노산의 최종산물인 BUN이 증가함을 의미. 신징질환, 갑상선질환, 영양(단백 과섭취), 요로폐쇄 등 creatinine 상승 : 크레아티닌의 노폐물이 증가함을 의미. 신장의 기능저하.사구체여과율 GFR 감소 : 신장이 일정시간 동안 특정 물질을 제거할 수 있는 혈장양이 감소함을 의미함. 신장기능저하, 노화.

    *신 관련 질환 : 신염(간염), 요로감염(감염), 신증후군, 종양

    *신 관련 증상 : 혈뇨, 단백뇨

    **장기적 이환 : 신증후군(진행시, 단백뇨 > 저알부민혈증(부종) > 간에서 지질단백 합성증가 > 고지혈증, 신기능저하(투석 치료)

    [기타] 이뇨제 복약자의 경우 감초 사용시 주의한다.

    **BUN 증가와 노인 : 노인의 경우 탈수로 인해 BUN이 증가할 수 있다

    **BUN 상승시 AST, ALT를 함께 확인하여 200 IU/L 이상인 경우 간부적으로 판단하여 재활 중단을 고려한다.

    **Creatinin과 노인 : 노인의 경우 신기능이 저하되어 Cr이 증가할수도, 근육량이 감소하여 Cr이 감소할 수도 있다.


    Blood - Oxygen [조직 산소 공급]

    혈색소(헤모글로빈)의 부족 : 빈혈 진단

    적혈구의 부족 : 빈혈 및 범혈구 감소 의심

     

    적혈구 크기의 감소 (MCV 감소), 적혈구 내 혈색소의 감소 (MCH 감소), 평균 적혈구 혈색소 농도의 감소 (MCHC 감소) : 철의 결핍으로 인해 적혈구의 크기가 작아짐을 의미함.

    망상구의 증가 (reticulocyte 증가) : 신생적혈구인 망상구가 증가하는 상황으로, 용혈 및 출혈 등 빈혈상황에 반응해 골수에서의 적혈구 생산이 증가되는 상태이다.

    혈청철의 감소, feriritin(저장철)의 감소, 철결합능(TIBC)의 증가 : 빈혈 상태

    vitB12 vitB9  감소 : 적혈구의 maturation에 부족한 상태임을 의미함

     

    *혈액-산소 관련 질환 : 빈혈

    *혈액-산소 관련 증상 : 피로, 숨참, 빈맥, 결막이 창백해짐, (촉진) 비장종대, 황달(적혈구파괴)

    **신장과 혈액 : 혈중산소가 부족해지면 신장에서 erythropoietin(EPO)를 혈액으로 분비하고, EPO가 골수를 자극해서 조혈과정을 활성화시킨다. 만약 신장에 이상이 있어 EPO가 제대로 분비되지 않는 경우 신성빈혈이 나타날 수 있다.

    **빈혈의 원인분류 : 출혈 용혈, 철분 vitB12 vitB9 부족, 골수이상 신장질환(EPO 분비장애)

    **혈소판이 7 g/dL이하인 경우 > 수혈 필요, 철분 주사

     

    ***빈혈의 종류

    : 철결핍성빈혈(철분의 부족 > 피로 > 철분 공급, 보중익기탕-황기 당귀)

    : 거대적모구빈혈(vitB12 vitB9 부족 > 피로, vitB12 cobalamine 결핍증상 *사지의 감각이상, 운동실조, 기억력 장애 등의 증상 > vitB12 vitB9 공급 **혈구세포의 핵발달에 중요한 물질이 부족해서 핵은 미성숙한데 주변의 세포질만 발달해서 거대한 적혈구가 된 것, MCV 증가, 위절제술과거력 확인, 채식여부 확인) 

    : 재생불량성빈혈 (stem cell의 손상 > 피로, 발열, 구강내 점상출혈, 잇몸출혈, 피부 위장관 자궁출혈 > 골수이식, 면역억제제, 감염주의, 사물탕)

    : 용혈성빈혈 (다양한 원인에 의해 적혈구의 수명인 100-120일 이내에 파괴됨 > 피로, 황달, 비장종대, 복부팽만, 비장종대 > 면역억제제, 스테로이드, 비장절제, 혈장교환 *형태이상, 효소결핍, 감염, 약물, 화상, 간 신장의 이상 **reticulocyte가 증가하고, 비포합 bilirubin이 증가한다. 팔물탕) 

     


    면역 [Allergy]

    IgE

    - 기능 : 감염으로부터 신체를 방어한다. 항원을 인식하여 비만세포와 호염기구와 결합하고, 지속적인 항원노출이 있는 경우 비만세포에서 히스타민을 분비하여 혈관의 투과성이 증가하고, 이는 간지러움, 부종, 진물, 소양감 등의 반응을 유발한다.

    - 정상치 : 0.1 ~ 0.4 μg/mL

    - 상승 : 항원 침입

    - 하강 : -

    *반감기 : 2-3일 **단 mast cell, basophill과 결합시 몇 주간 높은 상태로 IgE가 유지된다.

    *allergy : 정상인은 다양한 원에 대해 IgE가 반응을 하는 반면 allergy의 경우 특정 항원에 특이적으로 IgE가 반응한다. IgE가 mast cell과 결합한 상태에서 추가적인 항원노출이 있는 경우 mast cell의 탈과립이 일어나 히스타민이 분비되고 이경우 혈관의 투과성이 증가되어 간지러움, 부종, 진물, 소양감 등의 증상이 유발된다.

    **allergy 치료약물 : 알러지 증상 치료 시에는 항히스타민제 혹은 스테로이드제를 사용한다. 스테로이드는 표적 세포에 도달하면 세포질 내에 특정 수용체에 결합한 뒤에 핵 내로 이동하여 새로운 단백질인 lipocortin의 합성을 유도한다. 생성된 lipocortin은 phospholipase A2를 억제하여 염증을 일으키는 물질의 생성을 억제한다. *염증이 있는 조직 세포막의 phospholipides는 phospholiplase A2에 의해 arachidonic acid로 전환되고 이후 COX가 관여하는 여러 과정을 거쳐 prostaglandin, leukotriene이 된다. 이 물질들은 염증에 따른 다양한 증상을 이르킨다.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 축 : 스테로이드의 부작용의 경우 장기적으로 부신에서 만들어내는 스테로이드를 감소시켜 인체의 면역력을 맞추는 데에 있다. 스테로이드를 2주 이상 복용하는 경우 부신을 위축시키는 반응이 일어날 수 있으며 이는 장기적으로 인체의 면역력을 약화시킬 수 있다.

     


    영양 - 혈당 [당뇨]

    Hb A1C

    - 의의 : 적혈구와 혈중 포도당이 결합한 비율을 나타내며, 적혈구의 수명이 약 120일 이므로 지난 3개월 정도의 평균적인 혈당수치를 나타낸다. *이는 평균적인 혈당치를 의미하기에, 혈당 변동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공복혈당을 함께 측정한다. 

    - 정상치 : 6.5% 미만

    - 상승 : 혈당조절이상

    - 하강 : -

    *내장지방이 증가하게 되면, 간과 췌장에서 지방축적이 되고, 간(당 신생 증가, 글리코겐 합성 감소, 이상지질혈증), 췌장(인슐린 분비 감소)의 기능이상이 나타나 당 대사에 이상을 일으킨다. 추가적으로 내장지방은 지방조직에서의 염증성 cytokine을 증가시켜 만성염증을 유도한다.
    *피로 : 다뇨, 다갈과 함께 당뇨환자에서 나타나는 증상이다. 다만 피로한 경우에는 갑상선의 기능을 함께 살피자. (TSH, T3, T4).

    *c-peptide : 인슐린의 분비기능을 확인할 수 있다

    **공복혈당 상승요인 : 수면장애, 수면부족, 정신적 스트레스, 육체적 스트레스(무리한 운동 등), 지방간, 호흡제한 *이를 해소할 것

    ***골격근에서는 포도당을 흡수해서 혈당을 낮춘다. 간에서는 글리코겐을 분해하여 당의 신생을 늘린다. 췌장에서는 인슐린을 분비하여 혈중의 당을 각 세포에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혈당 250 mg/dL 이상 : 당뇨병성 합병증 상황으로 운동 중지혈당 50 mg/dL 이하 : 저혈당쇼크(의식수준저하, 경련, 혼수 등)의 가능성 > 포도당 섭취 *인슐리 주사 등의 치료 확인, 최근 식이 확인재활시에는 HbA1C보다는 혈당을 주요 지표로 한다.


    호르몬 - 갑상선 [에너지 대사, 단백질 합성]

    FreeT4, TSH, T3

    -  갑상선 호르몬 기능 : 갑상선 호르몬은 조직에 작용하여 조직의 산소소비량을 늘리고, 부신과 함께 교감신경 활성에 관여하며, ATP의 생성과 소비를 증가시킨다. (호흡, 심박출량, 심박수, 열대사, 간대사, 신장의 배출 증가, 신경반사활성) 또한 성장호르몬, 남/여 성호르몬 등과 함께 단백질 합성에 관여한다. (뼈, 치아, 상피세포, 모낭, 손톱 성장, 중추신경발달, 임신과 월경, 유즙분비와 정자 생성에도 관여한다.)

    - 정상치 : FreeT4 (0.8~1.9 ng/dL), TSH (0.4~5.1 µU/mL), T3 (98.0 ~ 180 ng/dL)

    - 갑상선기능항진 : 전신 권태감, 체중감소, 두근거림, 심방세동, 심박증가, 손가락떨림 *갑상선염

    - 갑상선기능저하 : 전신 권태감, 부종, 체중증가, 서맥, 변비, 혈압저하, 어지러움 *만성갑상선염, 요오드의 과잉 or 결핍, 약인성

    *일일 분비량 : T4 (80 µg, 이중 40 µg은 rT3로 26 µg은 T3로 변환된다), T3 (4 µg, 활성), rT3 (2 µg, 비활성)

    *T3, T4은 대부분 단백질과 결합해 있다. Albumin, TBG, TBPA. T4는 0.02~0.03%, T3는 0.2~0.3%가 free상태이다.

    **항진증 치료 시에는 저하되었다가 정상치로 돌아온다. 저하증도 마찬가지로 항진되었다가 정상치로 돌아온다.

    **시상하부 > 뇌하수체 전엽 TSH분비 > 갑상선 자극 후 fT4 분비 > fT4가 간에서 fT3로 변환되어 전신에 작용. fT4의 농도가 뇌하수체 전엽에 피드백을 주며 농도가 조절된다.



    WBC [면역]

    - 기능 : 세균으로부터 인체를 방어해 준다

    - 정상치 :  4,000 - 10,000 /μL

    - 상승 : 스트레스, 감염, 약물

    - 하강 : 면역저하, 감염, 약물, 골수기능장애

    *백혈구는 대부분 호중구이다.

     

    Hb  [산소공급]

    - 기능 : 신체의 기관에 산소를 공급한다.

    - 정상치 : 13.5-17.5g/dL(남), 12.5-15.5g/dL(여)

    - 상승 : 탈수

    - 하강 : 출혈, 종양, 혈관기능장애

     

    Platelet  [지혈]

    - 기능 : 지혈(출혈을 멈춘다)

    - 정상치 : 150,000-450,000/uL

    - 상승 : 철결핍

    - 하강 : 감염, 종양, 항암요법

     

    Albumin  [단백질, 영양]

    - 기능 : 혈장 단백질로 혈관으로부터 혈장이 빠져나가지 않도록  *혈액 내 단백질의 양을 반영한다

    - 정상치 : 3.5~5.2g/dL

    - 상승 : -

    - 하강 : 간의 염증, 염증성 질환

    *염증은 albumin을 분해시켜 수치를 저하시킨다. 수술 이후에 저하될 수 있으며, 영양상태 체크하기.

     


    CK 상승 : 근육의 통증, 근질환, 횡문근 융해증, 과도한 운동 *상승시 치료를 잠시 쉬는 것을 권유

    CK-MB의 상승 : 심근경색


    Total cholesterol : 혈장 중 리포단백질에 존재하는 콜레스테롤의 총 량. 소장에서 합성된다. 식사를 통해서 섭취 가능하다(소량). 간에서 이화 > 총담관을 경유해 장관으로 배설 > 소장에서 대부분 흡수 > 간으로 돌아온다 (장간순환)

    LDL-cholesterol : 혈장 중 저밀도-리포단백질에 함유된 콜레스테롤의 총 량. 동맥경화의 위험성을 증가시킨다.

    LDL-cholesterol  상승 : 동맥경화성 질환의 기왕력 확인, 허혈성 심질환 여부 확인.

    HDL-cholesterol  :혈장 중 고밀도-리포단백질에 함유된 콜레스테롤의 총 량. 동맥경화와 역상관관계이다. 목표치는 40 mg/dL 이상

    중성지방 Trigylceride (TG) : 지방, 기름을 구성하는 화합물로 지질 종류중 혈액 잔존량이 가장 많다. 생체 에너지원으로 운동시 연소된다. 동맥경화증, 췌장염의 위험인자이다. 150 mg/dL 이하로  유지

    TG의 상승 : 지방간, 당뇨병, 당질과섭취, 과도한 음주의 가능성

    지질 관련 운동 패턴 : 지질 소비를 위해 식후보다는 식후 2시간 이후에 운동 시행 *당뇨환자 저혈당 주의


    Uric acid 요산의 증가 : 통풍, 탈수, 신부전. 통풍성 관절염 (요산이 7 mg/dL 이상으로 유지되면, 요산이 요산염으로 결정화되어 관절에 침착되어 염증을 일으킬 수 있음)

    *탈수시 : 체위 변동에 따른 저혈압이 나타날 수 있어 수분을 충분히 공급하며 재활한다. 또한 혈압을 체크하면서 관리한다.

    *UA 증가시 운동 : 최대한 하지운동을 피하고, 운동의 목표는 하지의 하중부하를 경감하는 것이다.


    전해질: 체내 수분 중 용해된 미네랄로 pH, 체수분 조절에 관여된다. 

    Na 증가 : 흥분상태, 경련. 수분상실, 음수부족 > 수분보충

    Na 감소 : 의식장애, 경련. 심부전, 신부전, 이뇨제, 설사, 구토, 고혈당

    K 증가 : 부정맥. 고혈당에 따른 케톤산증, 신부전. 이뇨제복용 (Na만 끌고나가는 이뇨제)

    K 감소 : 부정맥, 근력저하, 경련. 인슐린복용(인슐린이 K를 이동시키는 작용을 하는 경우), 이뇨제복용(이뇨제 중에 K를 같이 끌고 나가는 경우)

    *K의 변화는 부정맥의 가능성을 시사하여 심전도의 변화를 확인해야 한다.

    *전해질 보정치료를 진행한다


    CRP : 염증, 조직파괴 시 합성되는 급성기 단백질 *염증이 발생하면 Albumin의 합성은 억제되고 CRP의 합성은 증가한다.

    CRP 상승 : 감염, 류마티스성 질환, 악성종양, 조직장애, 괴사

    CRP 상승, 감염 x (WBC 정상) : 심부전의 급성악화 (저산소혈증, 부종, 호흡약화)


    백혈구

    WBC / LY / MO / GR

     

    적혈구

    RBC / HGB / HCT / MCV / MCH / MCHC / RDW-SD / RDW-CV

     

    혈소판 

    PLT / MPV / PDW / PCT

     

    당뇨(혈당)

    HbA1C

     

    염증

    CRP / PCT

     

    갑상선

    TSH / Free T4 / T3 / T4

     

    골다공증

    Vit D

     

    심혈관

    D-Dimer (혈전) / hsCRP (동맥경화) / Tn-1 / CKMB

     

    호르몬

    LH / FSH / PRL / B-hCG / Testosterone 

     

    빈혈

    Ferritin

     

    스트레스

    Cortisol

     

    생화학지표

    GOT / GPT / GGT / ALP / TP / TBIL / ALB / DBIL / TCHO / TG / HDL / GLU / CPK / LDH / BUN / CRE / UA / AMYL / NH3 / Ca / Mg / CRP / Na / K / Cl / CHE / IP / LAP / HB 

     

    전립선암

    PSA

     

    [기타 지표] 체온, 염증소견, 통증여부, 설사, 구토, 스트레스(자율신경), 심박수, 산소포화도 


    류마티스관절염

    CRP, ESR 상승, WBC 상승 : 염증

    MMP-3의 상승 : 연골이 파괴되고 있음

    AST, ALT : 류마티스 약제성 간장애

    Cr : 류마티스 약제성 신장애

    Hb : 빈혈 *피로감을 동반한 경우 확인


    근감소증 [노화]

    동화촉진 호르몬 감소 : 노화

    염증성 사이토칸인 증가 : 노화

    Total protein, Albumin : 단백질 섭취 (영양)

    Cr : 근육 확인 *Cr은 근육량에 비례한다. 노화로 인해 근육이 줄어들면 Cr도 줄어든다.

    CRP : 만성염증 여부 확인 *몸이 무겁다 등으로 호소함

    Hb : 빈혈 *피로감 동반시 확인

    Transferrin 상승 : 철결핍성빈혈 *피로감 동반시 확인


    뇌경색, 뇌출혈

    CRP, WBC 상승 : 염증(폐렴, 요로감염) *몸이 무거워요, 식욕이 없어요.

    Hb, RBC, WBC, Plt : 소화관출혈 *뇌경색 출혈 중대합병증으로 흑색변 유무 확인 / 빈혈 *피곤해요, 두근거려요, 숨이차요.

    PT-INR, APTT : 항응고 요법시 출혈경향 파악

    D-dimer, FD : 혈전관련

    Albumin : 영양상태 *저영양상태에서 운동시 근육량이 오히려 감소할수도 있다. albumin의 반감기는 14~21일로 긴편이다. 영양상태가 개선되어 혈액수치상 변화가 나타나기 위해서는 2주는 소요된다.


    파킨슨병 (중뇌 흑질 도파민신경세포의 탈락 > 2차적인 선조체 기능장애를 보이는 신경변성질환)

    *안정시 떨림, 근강직, 서동, 자세반사장애(골절위험) / 정신증상, 기립성저혈압, 인지기능장애, 불면

    CRP, Hb : 염증, 빈혈 *많이 흔들거려요 하는 경우 약의 용량 조절이 필요. 약재로 인해 용혈성 빈혈이 발생해 약효가 감소한 것일 수 있음. **도파민 감소로 연하곤란이 나타나 흡인성 폐렴이 발생할 수 있다.

    BNP : 약재성 심부전 *파킨슨 약을 오래복약한 경우, 숨찬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 **심장판막질환의 가능성. 흉부 엑스레이를 통해 심비대 확인. ECG, TTE 확인.


    심부전 (진행성질환)

    *좌심부전 : 에서 혈액을 받음. 노작시 호흡곤란 (폐울혈)

    *우심부전 : 대정맥에서 혈액을 받음. 장기와 하퇴의 부종 (신체울혈)

    BNP, NT-proBNP : 수분저류시 BNP 상승

    Cr, eGFR : 탈수시 Cr 상승. *심부전은 만성신장병과 병존하는 경우가 많다. 이경우 수분관리가 어렵다.

    Albumin : 영양상태 악화로 인해 저


    당뇨병

    혈당, HbA1c : 혈당의 변화와 평균 혈당 확인

    *저혈당증상(교감신경자극) : 발한, 불안, 두근거림, 빈맥, 손떨림, 안면창백

    *저혈당증상(중추신경) : 두통, 눈흐림, 공복감, 졸림, 의식수준 저하

    *고혈당증상 : 다양한 의식장애 

    **혈당 250 mg/dL 이상일시 재활 중단


    만성신장병

    : eGFR 60미만이 3개월 이상 지속

    *Cr은 근감소시에도 감소하여, Cr을 활용해 계산시 근육의 변화를 체크한다.

    Cr, BUN, UA, 요단백 : Cr 2.4 mg/dL 이하일시만 재활. 요단백은 1g/일 미만일시 재활.

    Hb : 신기능장애시 erythropoietin 생산이 저하됨. 빈혈 발생

    만성신장병으로 인한 부종 : eGFR 저하, Na 상승, Albumin 저하

    '생리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용해소체(lysosome)  (0) 2023.06.13
    세포  (0) 2023.05.03

    댓글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