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

편두통 vs 긴장성 두통 구별법

MANYFAST 2025. 11. 10. 22:00
반응형

 

편두통 스트레스로 인해 삼차신경자극 및 뇌혈관 자극이 되어 나타나기에 치료약물로 신경자극을 줄이고 혈관을 수축하고, 염증을 줄이는 제제를 선택하게 됩니다. 증상으로는 한쪽에 나타나는 박동성 혹은 찌르는 듯한 통증이 나타납니다.

 

긴장성두통 목~등 근육의 긴장으로 뇌로 가는 혈류가 줄어 머리가 조이고 띵 하듯 불편감을 호소합니다. 근육이완제를 통해 근육긴장을 해소하고 염증을 줄여 통증을 감소시키는 제제를 선택하게 됩니다. 주사치료로 경항부 근육을 이완시킬 수 있습니다.

 

 

“머리가 지끈거리는데 이게 편두통일까, 그냥 피로성 두통일까?”
두통은 모두 같아 보이지만, 생리기전부터 치료법까지 완전히 다릅니다.
특히 편두통(migraine)긴장성 두통(tension headache)
증상이 겹치면서도 치료 방향이 정반대예요.

오늘은 두통의 신경생리학적 원인
한의학적으로 어떻게 접근하는지 정리해볼게요.

 

 

1️⃣ 편두통과 긴장성 두통의 생리학적 차이 🔬

  편두통 긴장성두통
발생 부위 주로 한쪽 머리 (편측) 양쪽 머리 또는 머리 전체
통증 양상 욱신욱신, 박동성 조이는 듯, 띵하고 무거움
원인 뇌혈관의 확장 + 삼차신경 염증반응 두피·목 근육의 긴장 + 혈류 저하
동반 증상 빛·소리 민감, 메스꺼움, 시야 흐림(전조) 어깨 결림, 눈 피로, 집중력 저하
지속 시간 수시간~3일 하루 종일 지속되지만 비교적 완만
유발 요인 생리·스트레스·수면부족·카페인 장시간 컴퓨터, 잘못된 자세, 피로 누적

💡 요약하자면,

  • 편두통: 신경·혈관성
  • 긴장성 두통: 근육·자세성

 

 

2️⃣ 편두통의 생리적 원인

편두통은 뇌의 삼차신경혈관계(Trigemino-vascular system) 의 과활성으로 시작됩니다.
스트레스나 호르몬 변화 → 뇌혈관 확장 → 삼차신경 말단에서 염증성 신경전달물질(CGRP, Substance P) 분비 →
혈관 주위 염증 + 통증 발생

📍 즉, 뇌혈류의 “과도한 확장 반응”이 통증의 핵심입니다.

 

 

3️⃣ 긴장성 두통의 생리적 원인

긴장성 두통은 근육 긴장과 혈류 저하로 발생합니다.
목과 두피의 근육(특히 승모근, 후두하근)이 오랫동안 수축하면
→ 혈류 순환이 떨어지고
→ 젖산 축적 및 통증수용체 자극이 증가합니다.

📍 결국, “근육 피로 + 교감신경 항진”이 두통의 주요 원인입니다.

 

 

4️⃣ 침치료의 생리의학적 작용 💉

  목표 치료 혈위
편두통 뇌혈류 안정화, 삼차신경 진정 혈관 확장 억제, 신경 염증 완화 태양(太陽), 합곡(合谷), 내관(內關), 백회(百會)
긴장성 두통 근육 이완, 혈류 개선 경부·두피 근육 긴장 해소 풍지(風池), 견정(肩井), 족삼리(足三里), 삼음교(三陰交)

핵심 포인트

  • 편두통 → 혈관을 수축·안정
  • 긴장성 두통 → 근육을 이완·순환 회복

 

 

5️⃣ 실제 침치료 접근 루틴

💢 편두통 환자

  • 태양·합곡혈 : 삼차신경 분포 부위 통증 완화
  • 내관·백회혈 : 교감신경 안정, 혈관 확장 억제
  • 필요 시 신문(神門) 추가 → 불안·긴장 완화

💆‍♀️ 긴장성 두통 환자

  • 풍지·견정혈 : 목·어깨 근육 이완
  • 백회·족삼리 : 혈류 순환 촉진
  • 태양혈 병행 시 두피 압박감 완화

📍 침자극은 근육의 전기활성을 낮추고, 뇌혈류 자율조절 기능을 회복시킵니다.

 

 

6️⃣ 두통 유형별 생활관리 🧠

🩸 편두통 관리

✅ 빛·소리 강한 환경 피하기
✅ 수면·식사 일정 유지
✅ 카페인, 초콜릿, 치즈 과다 섭취 주의
✅ 생리 전후 스트레스 조절

💆‍♀️ 긴장성 두통 관리

✅ 20~30분마다 자세 교정
✅ 목 스트레칭·온찜질 병행
✅ 근육 피로 누적 막기 위해 가벼운 운동
✅ 충분한 수분 섭취

 

 

7️⃣ 한의학적 관점에서 본 두통

  • 편두통형 두통: 간양상항(肝陽上亢), 즉 간의 열이 위로 치솟은 상태
    침치료: 태충, 곡지, 백회혈로 열을 내려주고 순환 안정
  • 긴장성 두통: 기혈울체(氣血鬱滯), 즉 순환이 정체된 상태
    침치료: 풍지, 견정, 족삼리로 순환을 열어줌

📍 결국, 한의학에서도 “상열하한(上熱下寒)”과 “기체(氣滯)”의 균형을 잡는 것이 치료 핵심입니다.

 

 

8️⃣ 침치료 후 기대 변화 🌿

  • 1~2주차: 통증 강도·빈도 감소
  • 3~4주차: 빛·소리 민감성 완화, 근육 긴장 해소
  • 6주차 이후: 두통 재발 빈도 현저히 감소, 전신 피로감 개선

💬 환자분들은 “머리가 맑아지고, 눈이 편안해졌다”고 자주 표현합니다.

 

 

⚠️ 이런 경우는 병원 진료 필요

  • 갑자기 나타난 극심한 두통 (벼락두통)
  • 시야 흐림·구토·마비 동반 시
  • 하루 이상 지속되거나 통증이 점점 심해질 때
  • 외상 이후 발생한 두통

 

 

✨ 결론

편두통과 긴장성 두통은 모두 ‘머리 아픔’으로 보이지만,
혈관성 vs 근육성이라는 본질적 차이가 있습니다.
침치료는 두통의 원인에 따라

  • 편두통에는 혈관 안정 & 신경진정
  • 긴장성 두통에는 근육이완 & 순환개선
    으로 접근해 자율신경과 순환의 균형을 회복시킵니다.

💡 약으로 눌러두는 두통보다, 원인을 조절하는 침치료가 근본 해결의 시작입니다.

 

 

🏷 해시태그

#편두통 #긴장성두통 #두통차이 #두통치료 #침치료 #태양혈 #풍지혈 #합곡혈 #백회혈 #한의학 #두통원인 #신경통증 #혈류조절 #자율신경안정 #자연치료

 


 

두통이 잦을 때, “이걸 병원에서 어떻게 진료할까?” 궁금하신 분 많죠?
병원에서는 두통을 단순 통증이 아니라 신경·혈관·근육의 기능적 장애로 봅니다.
따라서 진료 단계별 접근이 매우 체계적이에요.

오늘은 신경과·가정의학과에서의 진료 절차,
처방되는 약물·주사치료·물리치료,
그리고 한의원에서의 병행치료 방식까지 전문가 수준으로 정리해드릴게요.

 

 

1️⃣ 병·의원 진료 프로세스 🏥

① 병력 청취 (History taking)

  • 통증 부위: 한쪽(편두통) / 양쪽(긴장성)
  • 통증 양상: 박동성·찌르는 통증(편두통) / 띵하고 조이는 통증(긴장성)
  • 빈도·기간: 발작형인지, 만성형인지
  • 유발요인: 생리, 수면부족, 스트레스, 특정 음식 등
  • 동반증상: 구토, 빛 공포, 어깨 결림, 시야 흐림 등

👉 이 정보를 토대로 편두통 vs 긴장성 두통 구분의 70%가 이루어집니다.

 

 

② 신체 및 신경학적 검사

  • 촉진: 측두근, 승모근, 후두하근의 압통 확인
  • 신경검사: 반사, 근력, 감각 확인
  • 자세검사: 거북목, 어깨 비대칭 등 확인

💡 두통 원인이 단순 근육 긴장인지, 신경병성인지 구별하는 핵심 단계예요.

 

 

③ 영상검사 (필요 시)

  • MRI / MRA: 구조적 원인(혈관기형, 종양, 뇌출혈 등) 배제
  • CT: 급성·응급성 두통 감별
  • 경추 X-ray: 자세성 긴장성 두통 감별

📍 대부분의 만성 두통은 영상검사 이상 없이 기능성 두통(functional headache) 으로 진단됩니다.

 

 

2️⃣ 편두통 진단 후 치료 프로토콜 💢

💊 (1) 급성기 약물치료

  기전 성분 특징
트립탄계 세로토닌(5-HT1B/1D) 수용체 작용 → 혈관수축 + 신경전달 억제 수마트립탄, 리자트립탄, 졸미트립탄 편두통 1차 선택약
NSAIDs 프로스타글란딘 억제 → 통증·염증 완화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가벼운 발작 시 단독 사용 가능
항구토제 구역 완화, 흡수율 개선 메토클로프라미드, 돔페리돈 트립탄 병용 시 효과 ↑

💡 트립탄계 약물은 발작 초기에 복용해야 효과가 좋습니다.

 

💊 (2) 예방치료 (3회/월 이상 재발 시)

  기전 성분 비고
β차단제 교감신경 억제 → 혈관 안정 프로프라놀롤, 메토프롤롤 심박수·혈압 낮추므로 저혈압 주의
항경련제 신경 흥분 억제 토피라메이트, 발프로산 장기 복용 가능
항우울제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 아미트리프틸린 긴장성+편두통 복합형에 효과적

 

💉 (3) 주사치료

  • 보톡스 주사: 후두·측두·승모근에 주입해 근긴장·혈관확장 억제
  • CGRP 억제 항체 주사 (erenumab, fremanezumab) : 최근 도입된 편두통 전용 주사로,
    편두통 유발 신경전달물질을 직접 차단함 (월 1회 투여, 효과 70% 이상 보고)

 

3️⃣ 긴장성 두통 진단 후 치료 프로토콜 💆‍♀️

 

💊 (1) 약물치료

  기전 성분 특징
근이완제 중추성 근긴장 억제 에페리손, 톨페리손 근육 긴장 완화, 어깨 결림 완화
NSAIDs 통증 및 염증 억제 이부프로펜, 나프록센 단기 완화용
항우울제 세로토닌·노르아드레날린 균형 조절 아미트리프틸린 장기적 스트레스형 두통에 효과

 

🩺 (2) 물리치료·운동치료

  • 경부 전기자극치료(TENS) : 근육 내 혈류 개선
  • 온열치료(Hot pack) : 혈류 증가, 젖산 제거
  • 도수치료(Manual therapy) : 거북목·승모근 긴장 교정
  • 자세교정운동 : 견갑골 안정화, 경추 신전근 강화

💡 긴장성 두통은 “약보다 자세·혈류 조절”이 더 중요합니다.

 

 

4️⃣ 한의원 진료 시 접근 🔸

한의학에서는 두통을 “풍(風)·열(熱)·담(痰)·기체(氣滯)” 로 구분합니다.
생리의학적 치료와 다르게, “기혈의 흐름”을 바로잡아
혈류·신경·자율신경 조절을 동시에 다루는 치료를 진행하죠.

 

💉 침치료

목적 혈자리 작용
혈관 안정 (편두통) 태양, 합곡, 내관, 백회 뇌혈류 안정, 삼차신경 진정
근육 이완 (긴장성) 풍지, 견정, 족삼리 경부 근육 긴장 해소, 혈류 증가
자율신경 조절 신문, 삼음교 스트레스·불면 동반 시 효과

💡 침치료는 신경전달물질(GABA, 세로토닌) 분비를 조절해
신경의 과흥분 상태를 완화시킵니다.

 

🌿 한약치료

  적응증 기전
천마구등음(天麻鉤藤飮) 편두통, 열성두통 혈관 확장 조절, 간열 완화
가미소요산(加味逍遙散) 스트레스성·호르몬성 두통 자율신경 안정, 긴장 완화
청혈사물탕(淸血四物湯) 혈류정체형 두통 순환 개선, 통증 완화
거풍지통탕(祛風止痛湯) 풍열형 긴장성 두통 근육 긴장 해소, 혈류 조절

한약은 단순 진통제가 아닌
혈관·신경·자율신경의 항상성 회복을 목표로 합니다.

 

 

5️⃣ 병·의원 vs 한의원 치료 비교 요약

  의원 한의원
진단 영상·신경학적 검사 중심 맥진·체질·기혈순환 중심
치료 초점 신경전달·혈관 안정화 순환 및 자율신경 균형
약물 트립탄·NSAIDs·근이완제 천마구등음·가미소요산 등
시술 주사·보톡스·물리치료 침·약침·한약
장점 빠른 증상 완화 재발 방지, 체질 조절
단점 약 부작용·재발 가능 효과 발현에 시간 필요

📍 실제로는 두 치료를 병행할 때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입니다.

 

 

✨ 결론

편두통과 긴장성 두통은
신경과 혈관’ vs ‘근육과 자세’의 차이로 접근해야 합니다.

 

병·의원에서는 영상과 약물 중심으로,
한의원에서는 순환과 자율신경 조절 중심으로 치료가 진행됩니다.

 

편두통: 트립탄 + 침(태양·내관) 병행 → 혈관 안정화
긴장성 두통: 근이완제 + 침(풍지·견정) 병행 → 근육 이완

💡 두통은 “통증을 없애는 것”이 아니라
“통증이 다시 오지 않는 몸”을 만드는 게 핵심입니다.

 

🏷 해시태그

#편두통 #긴장성두통 #두통치료 #신경과진료 #한의원치료 #트립탄 #근이완제 #CGRP주사 #천마구등음 #풍지혈 #태양혈 #두통약 #자율신경 #한양방병행 #두통관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