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회전근개(극상근·극하근·소원근·견갑하근) 손상
- 특히 극상근·극하근 건이 수평외전 시 늘어나거나 견봉 밑에서 충돌할 수 있습니다.
- 반복 사용, 퇴행성 변화, 스포츠(야구, 배드민턴, 헬스의 벤치프레스) 등으로 흔히 발생.
- 특징: 특정 각도(90도 이상)에서 날카로운 통증, 밤에 심해지는 경우도 많음.
2. 견봉하 충돌증후군(Shoulder impingement syndrome)
- 팔을 뒤로 젖히면 견봉 밑 공간이 좁아져 극상근이나 점액낭이 압박받습니다.
- 특히 팔을 옆으로 벌린 뒤 뒤쪽으로 젖히는 동작에서 심해짐.
- 특징: 위로 드는 동작은 상대적으로 괜찮은데, 뒤로 젖히거나 수평외전에서 통증 ↑
3. 견봉쇄골관절(AC joint) 병변
- 팔을 수평외전하면 쇄골과 견봉이 벌어지며 관절에 스트레스가 걸림.
- 퇴행성 관절염, 관절염 후유증, 외상성 손상 시 통증 발생.
- 특징: 어깨 위 특정 지점(AC joint 압통점)에 국한된 통증.
4. 후방 관절낭 긴장 / 후방 캡슐 타이트니스
- 팔을 벌려 뒤로 돌릴 때 견갑골 후방 관절낭이 늘어나며 통증 유발.
- 야구 투수, 수영 선수, 벤치프레스 등에서 많이 발생.
- 특징: 동작 후반부에 ‘뻐근한 잡아당김’ 같은 통증.
5. SLAP 병변 (상부관절순 손상)
- 팔을 벌려 뒤로 젖힐 때 상완이두건과 관절순이 당겨져 손상 부위 자극.
- 특징: 어깨 깊은 곳에서 ‘걸리는 느낌’, 던지는 동작에서 심함.
6. 근육 불균형 / 자세 문제
- 가슴근(대흉근, 소흉근) 단축 + 견갑골 후방 안정근(승모근 하부, 능형근) 약화 → 어깨 전방 전위.
- 이 상태에서 수평외전 시 관절 정렬이 틀어져 통증 발생.
✅ 체크 포인트 (자가 점검)
- 통증 위치: 어깨 앞쪽? 옆쪽? 위쪽? 깊은 관절 속?
- 통증 시점: 초반부터 아픈지, 특정 각도(90도 이상)에서 아픈지
- 압통 여부: 견봉 위나 AC joint 눌렀을 때 아픈지
- 밤에 심해지는가? (회전근개 질환 시 특징적)
💡 관리 & 대처
- 통증 유발 동작 회피 (특히 무게를 들고 수평외전 → 회전근개/AC 관절 부담 큼)
- 온찜질 vs 냉찜질: 급성 통증/붓기 → 냉찜질, 만성 뻐근함 → 온찜질
- 스트레칭: 가슴근 스트레칭, 어깨 후방 관절낭 스트레칭
- 근력 강화: 회전근개(특히 외회전근), 견갑골 안정근 강화
- 진료 필요: 3주 이상 지속, 야간통, 팔 들어올리기 어려움 → 회전근개 파열 등 확인
반응형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깨 수평내전 시 통증 원인 (0) | 2025.10.02 |
---|---|
요추 횡돌기(Lumbar transverse process) 촉진법 (0) | 2025.10.01 |
눈 밑에 작은 붉은기와 함께 살짝 볼록 올라옴 (0) | 2025.10.01 |
초음파 유도하 주사(ultrasound-guided injection) (0) | 2025.10.01 |
무릎에 무리가 최소화되는 걷기 방식 (0) | 2025.10.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