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외상성 척추 골절 (넘어짐, 교통사고 등)
- S22.0 흉추 골절
- S32.0 요추 골절
- S32.1 천골 골절
→ 구체적으로 골절 위치를 확인 후 부호 선택
→ 다발성일 경우 S22.1, S32.7(기타 및 상세불명 다발성 골절)
2. 병적 척추 골절 (골다공증, 종양 등 기저질환 원인)
- M80.- 병적 골절을 동반한 골다공증
- 예: M80.08 골다공증성 척추 골절(상세 위치 기재 가능)
- M84.4 병적 골절, 기타 질환에 의한 것
3. 정확한 위치 불명
- T08 척추의 골절, 상세불명
(영상검사에서 흉추/요추 특정이 어려운 경우)
✅ 정리하면,
- 단순 외상으로 척추가 부러진 경우 → S22.- 또는 S32.-
- 골다공증 등 병적 원인으로 발생 → M80.- 또는 M84.4
- 위치 불명 → T08
👉 의무기록/영상 소견에 **“외상성인지, 병적 골절인지, 위치(흉추/요추/천추)”**를 반드시 확인하고 기재해야 합니다.
반응형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도네페질염산염(Donepezil Hydrochloride) (0) | 2025.08.29 |
---|---|
메만틴염산염(Memantine Hydrochloride) (0) | 2025.08.29 |
도네페질염산염(Aricept 등), 메만틴염산염(Memantine) (1) | 2025.08.29 |
위고비(세마글루타이드) 제조 (1) | 2025.08.28 |
침치료 후 48~72시간 위성세포의 활성화 및 혈류 정상화 (0) | 2025.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