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적응증
- 중등도~중증 알츠하이머형 치매 환자에서 사용.
- 단독 요법 또는 **콜린에스터라제 억제제(예: 도네페질, 리바스티그민, 갈란타민)**와 병용 가능.
2. 약리 기전 (Mechanism of Action)
- NMDA(N-methyl-D-aspartate) 수용체 길항제
- 알츠하이머 환자에서는 글루타메이트(Glutamate) 의 비정상적 과잉 분비
→ NMDA 수용체 과활성화
→ 칼슘 이온(Ca²⁺)의 세포 내 과도한 유입
→ 신경세포 흥분독성(Excitotoxicity) 발생
→ 뉴런 손상 및 사멸 진행.
👉 메만틴은 비경쟁적(non-competitive), 전압 의존적(voltage-dependent), 중등도 친화성(moderate affinity) 으로 NMDA 수용체에 결합.
👉 과도한 Ca²⁺ 유입을 억제하여 신경세포 보호(Neuroprotection).
👉 하지만 정상적인 시냅스 전달에 필요한 글루타메이트 신호는 방해하지 않음.
3. 임상적 효과
- 인지 기능 유지: 기억력, 언어, 판단력 저하 속도 완화.
- 행동 및 정신증상(BPSD) 개선: 불안, 초조, 환각, 공격성 일부 완화 보고.
- 일상생활 기능(ADL, IADL) 유지 기간 연장.
- 근본적인 치유는 불가능하나 질환 진행 속도를 늦추는 목적.
4. 약동학 (Pharmacokinetics)
- 경구 흡수: 잘 흡수, 생체이용률(Bioavailability) 약 100%.
- 분포: 뇌-혈관 장벽(BBB)을 통과.
- 대사: 간에서 거의 대사되지 않고, 주로 신장을 통해 배설.
- 반감기: 약 60~80시간 → 1일 1회 투여도 가능.
5. 부작용 (Adverse Effects)
- 일반적으로 내약성은 양호.
- 자주 보고되는 부작용: 어지럼증, 두통, 변비, 어지럼감, 고혈압.
- 드물게: 환각, 혼돈, 발작, 피로감.
6. 다른 치매약과 비교
기전 | 적응증 | 특징 | |
도네페질 | 콜린에스터라제 억제 → 아세틸콜린 분해 억제 | 경도~중증 알츠하이머 | 가장 널리 사용됨 |
리바스티그민 | 콜린에스터라제 억제 | 경도~중등도 알츠하이머, 파킨슨병 치매 | 패치 제형 있음 |
갈란타민 | 콜린에스터라제 억제 + 니코틴성 수용체 조절 | 경도~중등도 | 일부 이중 기전 |
메만틴 | NMDA 수용체 길항 | 중등도~중증 알츠하이머 | 신경 보호 효과 |
🔑 정리하면, 메만틴염산염은 NMDA 수용체 길항제로서,
치매 환자의 비정상적인 글루타메이트-칼슘 신호 경로를 조절하여 신경세포 손상을 막고 증상 진행을 늦추는 치매 치료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호청간탕, 갈근해기탕 비교 (1) | 2025.08.29 |
---|---|
도네페질염산염(Donepezil Hydrochloride) (0) | 2025.08.29 |
허리가 “부러져서(척추 골절)” 입원한 환자의 경우 KCD(한국표준질병·사인분류) (0) | 2025.08.29 |
도네페질염산염(Aricept 등), 메만틴염산염(Memantine) (1) | 2025.08.29 |
위고비(세마글루타이드) 제조 (1) | 2025.08.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