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식염수 주사를 통한 근육 회복 메커니즘 💡
원리
- 기계적 세척(Flushing) → 손상 부위에 생긴 미세유착, 섬유화, 염증 대사산물을 물리적으로 씻어냄
- 기계적 박리(Hydrodissection) → 근막과 근육 사이, 또는 신경·힘줄 주위의 유착을 식염수로 벌려줌
- 조직 재활성화(Tissue Stimulation) → 주사로 인한 기계적 자극 + 혈류 증가로 회복 촉진
- 통증 감소 → 압박 완화, 염증 유발 물질 희석
2. 적용 부위와 적응증
예시증상 | 기대효과 | |
근막 유착 부위 | 목·어깨·허리 뻐근함 | 근막층 유착 해소, 움직임 부드러움 |
손상된 근육 섬유 | 햄스트링·종아리 근육통 | 미세 염증 감소, 회복 촉진 |
신경주변(신경포착) | 팔·다리 당김, 저림 | 신경 압박 완화 |
힘줄 주변 | 테니스엘보, 어깨충돌증후군 | 힘줄과 주변 조직 유착 해소 |
3. 시술 테크닉 (예: 근막·근육 회복 중심)
1) 주사액 구성
- 0.9% 생리식염수 5~20ml (부위·범위에 따라)
- 필요 시 리도카인(0.2~0.5%) 소량 혼합 (통증 감소 목적)
- 당분 첨가(5% 포도당) 가능 — 재생 자극 목적(프로로테라피 변형)
2) 기본 절차
- 환자 포지션 → 치료 부위가 편하게 노출되고, 긴장이 풀린 상태
- 초음파 위치 확인 → 근막층, 손상 부위, 유착 위치 파악
- 니들 진입 → 피부-피하-근막층을 초음파로 실시간 관찰하며 접근
- Hydrodissection → 저압으로 식염수를 천천히 주입하며 조직층이 벌어지는 것을 확인
- 범위 확장 → 유착 부위를 따라 3~5cm 범위로 주사 확산
- 니들 제거 및 부드러운 스트레칭 → 회복 속도 향상
4. 초음파를 통한 확인 방법 📷
1) 시술 전
- 고에코/저에코 패턴 확인 →
- 정상 근육: 균일한 결 무늬
- 손상/염증: 저에코 부위(검게 보임), 불규칙 결 무늬
- 근막층 → 두꺼워짐, 경계 소실 시 유착 가능성 높음
2) 시술 중
- 니들 위치 확인 → 에코강한 선 형태로 보임
- 식염수 주입 시 변화
- 층 사이가 하얀 선(무에코액체)로 벌어짐
- 유착 부위가 풀리면서 움직임이 부드러워짐
3) 시술 후
- 주입 부위의 층간 분리 유지 여부
- 혈류 증가(컬러도플러) 관찰 → 회복 반응 예측
5. 효과 평가 지표
시술 직후 | 즉각적인 통증 변화, 가동범위(RoM) 향상 |
1주 | 근육 압통 감소, 부드러운 움직임 유지 여부 |
2~4주 | 근력 회복, 재손상 방지 |
6. 주의사항 🚫
- 감염, 출혈 소인 환자(항응고제 복용자) 주의
- 식염수 과량 주입 시 부종·통증 가능
- 시술 후 1~2일 가벼운 근육통 가능 (자연 회복)
- 재활 운동 병행 시 효과 ↑
반응형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척추관 협착증을 동반한 종아리 통증 (2) | 2025.08.28 |
---|---|
종아리 신경 주위 부종과 초음파 (3) | 2025.08.28 |
이지엔 이브와 덱시부펜(덱스케토프로펜) (0) | 2025.08.27 |
담석이란? 담석의 주요원인과 위험인자 (2) | 2025.08.27 |
공진단 원방 (약재구성) (2) | 2025.08.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