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진단(拱辰丹)의 원방(原方, 즉 기본 처방) 용량은 고전 의학 문헌에 따라 조금씩 다르지만, 가장 대표적으로는 『동의보감』과 『의학입문』 등의 기록을 기준으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 공진단 원방 기본 구성
(사향 : 녹용 : 당귀 : 산수유 = 1: 8 : 4 : 4)
공진단은 주로 사향(麝香), 녹용(鹿茸), 당귀(當歸), 산수유(山茱萸) 4가지 약재로 구성됩니다.
『동의보감』 원방 기준
- 사향 : 1돈 (약 3.75 g)
- 녹용 : 8돈 (약 30 g)
- 당귀 : 4돈 (약 15 g)
- 산수유 : 4돈 (약 15 g)
👉 이렇게 가루 내어 꿀로 반죽해 **환(丸)**으로 빚습니다.
💊 환 크기 및 복용량
- 보통 1환에 약 3~4 g 정도가 기준
- 전통적으로는 한 번에 1환, 하루 1~2회 복용
- 오늘날 시판되는 공진단은 환자 체중, 연령, 약재의 희귀성(특히 사향) 때문에
사향을 10분의 1~30분의 1 수준으로 줄인 경우가 많습니다.
📌 현대 제제와의 차이
- 원방 공진단 → 사향 함량이 높아 효과가 강력하지만, 고가이고 일반인 복용은 제한적
- 현대 공진단 → 사향을 줄이고 침향·목향 등으로 대체하거나 가감하여 안전성과 접근성 강화
⚠️ 복용 시 유의사항
- 사향은 자궁 수축 작용이 있어 임산부는 절대 금기 🚫
- 고혈압·심혈관계 질환 환자는 전문의 상담 후 복용
- 일반적인 보약보다는 기력 극도로 소진된 경우에 사용
정리하면,
👉 원방 공진단 1환 = 사향 약 100 mg 이상 포함, 총 3~4 g 정도
👉 현대 시판 제품은 사향이 줄고, 다른 약재로 조정된 경우가 많습니다.
반응형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지엔 이브와 덱시부펜(덱스케토프로펜) (0) | 2025.08.27 |
---|---|
담석이란? 담석의 주요원인과 위험인자 (2) | 2025.08.27 |
사향 vs 영묘사향 vs 침향 비교 (3) | 2025.08.27 |
허리를 펴는 자세, 왜 위장 건강에 중요할까? (1) | 2025.08.27 |
혈중 중성지방 상승: 기관별 연계성 (0) | 2025.08.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