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

허리 디스크 감별을 위한 필수 이학적 검사와 검사별 방법

MANYFAST 2025. 8. 1. 19:15
반응형

1️⃣ 필수 이학적 검사 요약

  목적 의미
SLR (직거상 검사) 좌골신경 자극 유무 확인 디스크성 신경근 압박
Lasegue’s Test 신경근 통증 감별 무릎 굽혔다 폈을 때 통증 재현
Crossed SLR 중등도 이상 디스크 확인 반대쪽 들어 올려도 통증 발생
 

 

2️⃣ SLR 검사 (Straight Leg Raise, 직거상 검사)

  • 방법
    ① 환자를 바로 눕히고
    무릎을 편 상태로 다리를 천천히 들어 올립니다.
    30~70도 사이에서 통증 유발 여부를 확인합니다.
  • 양성 기준
    해당 각도에서 요통 또는 다리 방사통이 발생하면 양성입니다.
  • 의미
    L5 또는 S1 신경근 압박(추간판탈출증) 가능성이 높습니다.
    특히 종아리나 발 쪽으로 저림이 동반되면 디스크 병변을 강하게 의심합니다.

주의사항
단순 햄스트링 긴장도 통증을 유발할 수 있어,
SLR 양성이라도 반드시 다른 검사와 종합적으로 판단해야 합니다.

 

 

3️⃣ Lasegue 검사 (라세그 검사)

  • SLR의 보완적 검사로 디스크성 방사통을 더 명확히 구분할 수 있습니다.
  • 방법
    ① SLR 도중 통증이 발생한 각도에서
    무릎을 살짝 굽히면 통증이 줄거나 사라짐
    ③ 이후 무릎을 다시 편 상태로 유지하면 통증이 재현
  • 양성 기준
    무릎 굽혔을 때 통증이 사라지고, 다시 폈을 때 통증이 돌아온다면 → 신경근 압박 확인
  • 의미
    근육성 통증과 신경성 통증을 감별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 : 단순한 요통(근육통 등)은 무릎을 굽혀도 통증 변화가 크지 않습니다.

 

 

4️⃣ Crossed SLR Test (교차 직거상 검사)

  • 방법
    ① **정상 다리를 들어올리는 동작(SLR)**을 시행
    ② 반대쪽 다리에서 통증이 발생하면 양성입니다.
  • 양성 기준
    비정상 쪽이 아닌 정상 다리를 올릴 때 통증이 반대쪽에서 발생하는 경우
  • 의미
    디스크 탈출물이 중앙부나 중간선을 넘어가 신경근을 강하게 압박하고 있음을 시사
    👉 중등도 이상 또는 수술적 접근이 필요한 경우에 흔히 보입니다.

🔍 민감도는 낮지만, 특이도는 매우 높은 검사로 알려져 있어 수술 여부 판단에 중요하게 작용합니다.

 

5️⃣ 검사 양상 비교 요약 정리표

  민감도 특이도 진단 비교
SLR ★★★★☆ ★★★☆☆ L5/S1 신경근 압박 기본 선별검사
Lasegue ★★★☆☆ ★★★☆☆ 신경통 vs 근육통 감별 SLR 보완 검사
Crossed SLR ★★☆☆☆ ★★★★★ 중등도 이상 디스크 수술 적응 여부 판단에 중요
 

 

6️⃣ 이렇게 해석하세요! 👨‍⚕️

  • ✅ SLR 양성 + Lasegue 양성 → 신경성 방사통 가능성 높음
  • ✅ Crossed SLR 양성 → 중앙 또는 대형 디스크 돌출 가능성, 수술 고려
  • ❌ SLR 음성인데도 요통만 있다면? → 단순 요통, 후관절증후군, 염좌 가능성 ↑

 

 

마무리 요약 💬

허리 디스크를 의심할 때, 단순히 통증 호소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이학적 검사 3총사(SLR, Lasegue, Crossed SLR)**를 통해 디스크 병변 유무, 신경 자극 정도, 수술 필요성까지 예측할 수 있습니다.

정확한 검사는 정밀 영상검사와 연결되지만,
이학적 검사로도 환자의 상태를 70~80%는 예측할 수 있다는 점, 매우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