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rigger Point vs Motor Point 전침 비교

MANYFAST 2025. 5. 22. 00:25
반응형

 

전침 놓는 위치, 그냥 아픈 곳이 아니라 ‘정확한 지점’이어야 합니다 전침을 치료에 쓸 때, "트리거포인트(Trigger Point)에 놔야 할까, 아니면 모터포인트(Motor Point)?" 라는 고민, 자주 하시죠? 둘 다 효과는 있지만, 자극의 목적과 생리학적 반응이 다릅니다.
게다가 침을 2개 꽂아 전기장을 만들 때, 그 위치 선정은 치료 성패를 가릅니다. 오늘은 두 지점의 차이 + 침 2개로 전기장을 효과적으로 만드는 방법까지 정리해드릴게요.

 

 

💡 Trigger Point vs Motor Point: 정의와 차이

구분 Trigger Point (통증유발점) Motor Point (운동점)
정의 압통과 방사통을 유발하는 근막 내 결절 신경이 근육에 들어가는 지점 (운동단위 시작점)
위치 근섬유 내 일정 부위 (주로 장력 많은 곳) 근육복부 근처, 신경지배점 근방
자극 목적 통증 완화, 근막 이완 근육 수축 유도, 기능 회복
전침 반응 찌릿+이완 위주 리드미컬한 수축 유도
임상 예시 만성 목·어깨 통증, 근막통증증후군 재활, 근위축 회복, 운동재교육
 

 

 

🔍 실제 전침 자극 반응 차이

✅ 트리거포인트 자극

  • 자극 시 근육이 '튀거나' 움찔하는 국소경련반응(Local Twitch Response)이 보임
  • 저주파 전침(2~4Hz)을 걸면 근막이완과 통증 완화 효과 우수
  • 통증 유발 시 방사통의 유무로 지점 정확성 판단

✅ 모터포인트 자극

  • 자극하면 **일정한 리듬의 수축(1초 간격 등)**이 발생
  • 전침으로 운동신경 직접 자극 → 근수축 반복 유도
  • 주로 35~50Hz 설정, 강도는 눈에 보이는 수축이 생길 정도

 

 

⚡ 전침: 침 2개로 전기장 만드는 법

전침의 효과는 “하나의 침이 아니라 두 개의 침 사이에 형성된 전기장”에서 나옵니다. 한쪽 침에 (+), 다른 침에 (−) 극을 연결하면 전류는 그 둘 사이 조직 전체를 따라 흐르며 자극을 줍니다.

 

📍실전 구성 방법

1. 같은 근육 내에 2개의 침을 자입

  • 같은 근육이지만 약간 떨어진 두 점, 예: vastus medialis의 상부 + 하부
  • 하나는 모터포인트, 하나는 트리거포인트를 노려도 됨

2. 전기장 범위를 고려해 위치 설정

  • 전극 거리가 너무 가까우면 → 자극 면적 좁고 깊이 낮음
  • 너무 멀면 → 전류 소실, 깊은 자극 어려움
    👉 이상적 간격은 2~5cm 내외, 근육 크기에 따라 조절

3. 자극 방향에 따라 반응 다름

  • 평행 배열: 근섬유 방향 따라 자극 퍼짐 → 수축 유도에 적합
  • 교차 배열: 교차 전기장 형성 → 넓은 범위 근막 이완 효과

 

 

🧪 임상 예시로 보는 적용법

1️⃣ 상부 승모근 (trapezius)

  • 트리거포인트: 어깨 위쪽 압통점
  • 모터포인트: 중앙 근복부
  • 침 2개를 근섬유 방향으로 평행 자입
  • 저주파(4Hz)로 이완 + 고주파(80Hz)로 통증 차단 혼합 적용 가능

2️⃣ 대퇴사두근 (vastus medialis 중심)

  • 침 1: motor point 근처 자입
  • 침 2: 약간 외측 트리거 포인트 자입
  • 전침 50Hz, 200μs, on/off 10초/20초로 기능적 수축 유도

 

🎯 핵심 정리

비교 요소 Trigger Point Motor Point
목적 통증 완화 + 근막 이완 수축 유도 + 재활 회복
전침 반응 국소경련 + 통증 억제 반복적 수축 + 기능 향상
침 위치 압통점, 섬유 긴장 높은 부위 근복부, 신경진입점
 

🧷 전침 2개 자입 시에는
트리거 + 모터를 연결해 ‘복합 반응’을 유도하거나,
모터포인트끼리 연결해 강력한 수축 훈련도 가능!

 

 

📌 마무리 요약

  • 트리거포인트: 통증 위주, 이완과 진통 중심
  • 모터포인트: 기능회복 중심, 수축과 근력훈련 가능
  • 전침 2개 사용 시 전기장은 침 사이 조직 전체를 자극
  • 위치 선정 시 근섬유 방향 + 간격 + 조직 깊이 고려 필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