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치료, 주파수·강도에 따른 반응

MANYFAST 2025. 5. 22. 02:45
반응형

 

“그냥 전기만 흘려보내면 다 되는 거 아니야?”는 이제 그만! 전기자극 치료(NMES, TENS, 전침 등)는 단순히 전기를 흐르게 하는 것으로 끝나지 않습니다. 자극의 ‘강도(mA)’와 ‘주파수(Hz)’ 설정이 달라지면, 신경과 근육이 전혀 다른 방식으로 반응하죠. 이 글에서는 각 주파수·강도 조건에서 우리 몸이 어떻게 반응하는지, 그리고 어떤 증상에 어떤 세팅이 적절한지생리학적 관점에서 설명드릴게요.

 

🎯 전기자극이 신체에 미치는 기본 기전 요약

  • 전류는 신경과 근육세포의 막 전위를 바꿔 흥분(탈분극)을 유도합니다.
  • 주파수(Hz): 자극이 반복되는 속도 → 수축 리듬, 진통 지속시간 조절
  • 강도(mA): 자극의 세기 → 수축 유도 vs 감각 자극 구분
  • 펄스폭(μs): 한 번 자극이 지속되는 시간 → 자극 깊이 조절

 

 

⚡ 주파수(Hz)에 따른 생리학적 반응

  작용 기전 생리학적 반응 추천 활용
1~4Hz (저주파) β-엔도르핀, 뇌내 오피오이드 유도 중추성 진통, 심부 통증 완화 만성통증, 근막통증
10~20Hz (중저주파) 세로토닌, 감각신경 자극 긴장 이완, 정서 안정 불면증, 긴장성 두통
35~50Hz (중주파) 운동신경 지속 자극 수의적 수축 유사 반응, 근육강화 NMES, 재활
80~100Hz (고주파) Aβ 섬유 자극, 게이트컨트롤 급성 통증 차단 TENS, 관절염, 신경통
100~150Hz 이상 감각 피로 유도 급성기 단기 진통 급성 외상, 치과통증
 

💡 저주파 = 진통유도 (만성) / 고주파 = 통증 억제(급성)

  • 저주파는 뇌 내 진통물질 분비를 통한 지속적 진통 / 고주파는 **통증 경로 자체를 '차단'**하는 작용

 

 

🔋 강도(mA)에 따른 생리 반응

  작용 범위 생리학적 반응 적용 예
0.5~2mA 표층 감각신경 찌릿한 느낌, 긴장 완화 안면부, 소근육, 민감 부위
2~5mA 감각 + 일부 운동신경 가벼운 수축, 통증 완화 일반적인 TENS 자극
5~10mA 운동신경, 근육 섬유 눈에 보이는 수축, NMES 사용 범위 대퇴, 둔부, 견갑대 근육 등
10mA 이상 깊은 자극, 심부 근육 강한 수축 유도, 통증 가능성↑ 전침 수축 목적, 재활 초기 근감소 환자
 

 

 

🔄 주파수 & 강도 조합의 실제 프로토콜 예시

증상 주파수 강도 펄스폭 특징
만성 요통 2~4Hz 3~5mA 250~300μs 엔도르핀 분비 중심
관절염 통증 80~100Hz 2~4mA 200~250μs 감각신경 게이트 차단
근육 이완 10~20Hz 2~3mA 150~250μs 세로토닌 분비 유도
대퇴사두근 강화 35~50Hz 6~10mA 300~400μs 반복적 수축, NMES
안면마비 초기 1~2Hz 0.5~1mA 100~150μs 저강도, 표층 자극 위주
 

 

 

🧠 생리 반응 기준으로 세팅할 때 유의할 점

  1. 자극의 목적에 따라 주파수를 먼저 결정
    • 통증 완화냐, 수축 유도냐에 따라 Hz 달라짐
  2. 근육 깊이·크기에 따라 강도 및 펄스폭 조절
    • 작은 근육: 저강도 + 짧은 펄스폭
    • 큰 근육: 고강도 + 긴 펄스폭
  3. 감각 민감 부위에는 저주파·저강도 우선 적용
    • 안면, 손끝 등은 Aβ 섬유 밀집 → 통증 유발 우려

 

 

✅ 실전 적용 팁

통증 완화 (TENS 중심) 고주파(>80Hz), 저강도(2~4mA), 표층 중심
근수축 훈련 (NMES 중심) 중주파(35Hz) 고강도(10mA), 근육 깊이에 따라 펄스폭 ↑
만성 통증 + 근이완 저주파(2Hz), 중강도(5mA), 근막 중심 자극
 

 

 

📥 마무리 요약

  • 주파수(Hz)치료 목적을 결정:
    👉 고주파 = 감각차단, 저주파 = 중추 진통
  • 강도(mA) 자극의 깊이와 신경 반응을 결정:
    👉 고강도 = 운동신경 자극, 저강도 = 감각 위주
  • 펄스폭(μs)근육 도달 깊이를 결정:
    👉 짧을수록 표층 자극, 길수록 심부 자극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