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침은 침 자입과 전기 자극을 결합한 치료 방식입니다. 그런데 치료 중 이런 질문, 해보신 적 있으실 겁니다.
“전침을 꽂고 자극을 주면, 침 끝에 있는 근육만 수축하는 걸까?
아니면 침이 지나간 경로 전체가 자극되는 걸까?”
결론부터 말하면, 👉 전기자극의 중심은 ‘침 끝의 위치’에 있지만, 그 자극은 전기장의 분포에 따라 ‘길 전체’ 또는 ‘인접 부위’로 확장될 수 있습니다. 이 글에서는 자극의 범위가 실제로 어떻게 퍼지는지, 그리고 주파수와 강도 조건에 따라 어떤 생리 반응이 일어나는지 전문가 수준으로 설명드릴게요.
⚡ 주파수·강도 조건별 전침 효과 정리
전침 효과는 단순히 침 위치뿐 아니라, **자극의 ‘형태(파형)’, ‘주파수’, ‘강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항목 | 조건 | 생리학적 효과적용 | 예시 |
저주파 (1~4Hz) | β-엔도르핀 분비 | 중추성 진통 효과, 긴장 완화 | 만성통증, 근막통증 |
중주파 (10~20Hz) | 세로토닌 분비 증가 | 기분 안정, 근이완 | 긴장성 두통, 불면증 |
고주파 (50~100Hz) | 게이트 컨트롤 작용, Aβ 섬유 자극 | 급성통증 차단, 얕은 통증 억제 | 관절염, 신경통 |
강한 강도 (5mA 이상) | Aδ, C섬유 자극 → 깊은 자극 | 심부 통증 조절, 근수축 유도 | 디스크, 심한 통증 |
약한 강도 (<1~2mA) | 감각신경 위주 자극 | 피부 표층 자극, 진정 유도 | 만성통증, 예민 체질 |
Burst Mode | 간헐 자극 | 수축+이완 반복 자극 → 순환 촉진 | 요통, 근긴장증 |
Dense-Disperse | 고주파+저주파 교차 | 신경 적응 방지 + 다중 진통 경로 유도 | 장기 치료에 적합 |

📌 자극 범위: 침 끝만 자극하는가?
✅ 전기자극의 주요 중심점은 침 끝
- 전침의 자극은 침 끝과 침몸체를 통해 흐르는 전류로 발생합니다.
- 일반적으로 침 끝이 도달한 조직의 전기 저항이 가장 낮기 때문에, 그 지점에서 전기자극이 집중됩니다.
- 즉, 침 끝이 도달한 부위(근육 or 신경)가 자극의 핵심 타깃이 됩니다.
✅ 하지만 ‘침이 들어간 길’도 무시할 수 없음
- 인체 조직은 전도성이 일정하지 않기 때문에, 전기장은 조직 내에서 여러 방향으로 퍼짐.
- 특히 침 두 개 이상을 연결했을 때는, 각 침 사이의 전기장이 형성되며 그 사이 조직 전체에 전류가 분포합니다.
- 이때 **침이 지나온 근육층, 근막, 결합조직 등도 ‘간접 자극’**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즉, 침 끝이 가장 강하게 작용하지만, 전체 자입 경로를 따라 일부 확산 자극도 발생한다는 것이 핵심입니다.
🧠 실전 적용 예시: 침 끝과 자극 확산
1️⃣ 대퇴사두근 전침 자극
- vastus medialis의 motor point에 침을 자입
- 자극을 주면 침 끝의 motor point가 강하게 수축
- 침 몸체와 주위 근막층까지 미세한 전류 흐름 → vastus intermedius까지 간접 자극 가능
2️⃣ 경추부 견정혈 자침 + 전침
- 침 끝이 trapezius 깊은 부위에 닿아 심부근육 이완 유도
- 침이 통과한 피부, 승모근 상층도 전기장의 확산으로 이완감 유발
🙋 자주 묻는 질문 (FAQ)
Q. 침을 깊게 넣을수록 자극이 깊어지나요?
그렇습니다. 침 끝이 닿은 부위가 전류의 주 타깃이기 때문입니다.
단, 너무 깊게 자입 시 혈관, 신경 손상 위험 있으므로 해부학적 지식이 필요합니다.
Q. 얕게 찌르고 전침하면 효과 없나요?
피부 표층에 가까운 감각신경 또는 얕은 근막층 자극은 가능합니다.
하지만 근육 수축이나 심부 진통 효과는 떨어질 수 있습니다.
Q. 침이 두 개 들어갔을 때, 중간 조직도 자극되나요?
네. 두 전침 사이에는 전기장이 형성되며, 그 사이 조직 전체에 전류가 흐릅니다.
이로 인해 침 끝뿐만 아니라 중간 지점의 근육, 근막, 신경도 자극 가능합니다.
🔍 정리하자면...
- 전침의 주요 자극점은 침 끝, 특히 **운동점이나 통증 유발점(Trigger point)**이 중심
- 하지만 침이 지나온 경로, 특히 침 사이 조직도 전기장에 의해 간접 자극 가능
- 주파수와 강도 조절에 따라 자극 깊이와 효과 달라짐
- 저주파 = 진통, 고주파 = 얕은 통증 차단, 강도↑ = 수축 유도
반응형
'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침 자극 시 +극과 -극, 그 차이는? (0) | 2025.05.22 |
---|---|
Trigger Point vs Motor Point 전침 비교 (0) | 2025.05.22 |
⚠️ 전기자극 치료, 자주 하는 실수 5가지 (0) | 2025.05.21 |
전침으로 근육 수축시키는 조건 (0) | 2025.05.21 |
턱관절 통증·소리 치료 정리💥: 근육·인대 가이드 (0) | 2025.05.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