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A] 폭식형(Binge-type) 진단 문항 (8문항)
- 한 끼에 정상량보다 많이 먹는 편이다.
- 배불러도 계속 먹고 싶은 경우가 있다.
- 스트레스 받으면 식사량이 크게 늘어난다.
- 빠르게 먹는 편이다.
- 포만감이 잘 안 온다.
- 먹고 나서 죄책감이 든다.
- 해 질 무렵 식욕이 강해진다.
- 식사 시간이 들쑥날쑥한 편이다.
✔ [B] 야식형(Night-eating type) 진단 문항 (8문항)
- 낮에는 식욕이 적고 밤에 식욕이 오른다.
- 저녁 식사 후 2~4시간 뒤 허기가 온다.
- 잠들기 전에 음식 생각이 자주 난다.
- 새벽에 깨서 먹은 적이 있다.
- 밤에 단 음식이나 탄수화물이 땡긴다.
- 수면 시간이 불규칙하거나 늦게 잔다.
- 저녁쯤 되면 피로감이 강해진다.
- 수면 질이 좋지 않다.
✔ [C] 단맛형(Sugar-craving type) 진단 문항 (8문항)
- 식사 후 디저트가 반드시 필요하다.
- 초콜릿·빵·떡·단 음료를 자주 찾는다.
- 배가 불러도 단 게 당긴다.
- 스트레스 받으면 단 게 먼저 떠오른다.
- 식사 간격이 조금만 길어도 허기가 빨리 온다.
- 식후 졸림이 자주 온다.
- 달달한 음식을 먹지 않으면 기분이 가라앉는다.
- 빵·디저트류가 밥보다 익숙하다.
👉 답변 예시
- 어떤 유형이 가장 강한지
- 혼합형 여부 (2중 / 3중형)
- 식욕이 폭주하는 생리적 원인(혈당·호르몬·장-뇌축 중 어떤 부분인지)
- 즉시 적용 가능한 1:1 맞춤 조절 전략
🍽 식욕 유형별 맞춤 한약 조합
🟥 ① 폭식형(Binge-type)
특징: 빨리 먹음 · 포만감 부족 · 스트레스 먹방 · 저녁 식욕 폭주
기전 문제: 렙틴 저항성↑ · 혈당 변동↑ · 장–뇌축 불안정
✔ 추천 한약 조합
① 지실 + 후박 + 황련 조합
- 지실·후박 → 위 배출 지연 → 포만감 오래 유지
- 황련(베르베린) → 혈당 안정·렙틴 민감도 회복 → 폭식 충동 낮춤
② 산사 + 신국 + 맥아 조합(소식탕 계열)
- 과식 패턴을 심리적·위장적 양쪽으로 잡아주는 조합
- 탄수화물 소화·포만감 개선 → 식사량 과다를 줄임
③ 복령 + 백출(위장 안정 타입)
- 장-뇌 축 안정 → 식욕 파동 감소
- 복부 더부룩함이 있는 폭식형에 특히 효과
▶ 한 줄 정리:
**“포만감 + 혈당 안정 + 장-뇌축 조절”**을 동시에 잡아주는 처방.
🌙 ② 야식형(Night-eating type)
특징: 밤에 배고픔↑ · 새벽 허기 · 수면 불량 · 저녁 피로
기전 문제: 코르티솔·멜라토닌 리듬 붕괴 · 밤에 그렐린↑
✔ 추천 한약 조합
① 산조인 + 백복신 + 복령 (안신·수면·코르티솔 조절)
- 산조인 → GABA 증가 → 안정·수면 유도
- 복령 → 수면 유지 + 장-뇌축 안정
② 지모 + 석고 + 황백 (야간 열감·그렐린 억제)
- 열 많고 밤에 허기 오는 타입에 매우 효과
- 식욕 호르몬 분비 리듬 평탄화
③ 맥문동 + 천문동 (야간 갈증·위장 건조형)
- 밤에 물·음식 당기는 “건조형 야식”에 도움
▶ 한 줄 정리:
“수면 리듬 + 코르티솔 + 밤 체온 조절”을 잡으면 야식이 자연스럽게 사라짐.
🍭 ③ 단맛형(Sugar-craving type)
특징: 디저트 중독 · 빵·떡 선호 · 식후 졸림 · 혈당 롤러코스터
기전 문제: 인슐린 저항성 초기 · 장내 미생물 불균형 · 혈당 급상승·급하강
✔ 추천 한약 조합
① 황련 + 황백 + 지모 (AMPK 조절 + 혈당 안정)
- 베르베린 → 인슐린 저항성↓, 단 음식 충동↓
- 지모·황백 → 식사 후 열·당 당김 줄여줌
② 차전자 + 맥문동 (혈당 급상승 완화)
- 식후 혈당 파동 감소 → 디저트 찾는 행동 억제
③ 복령 + 백출 (장내 미생물 균형)
- 당을 선호하는 장내 균 과증식 억제
- 달달한 음식 갈망이 줄어드는 핵심 기전
▶ 한 줄 정리:
“혈당 안정 + 장내 미생물 조절”이 단맛형의 핵심 치료.
🟦 ④ 습관적 과식형(Stop-signal이 약함)
특징: 배가 고프진 않은데 먹음 · "뭔가 씹고 싶음" · 자동적 먹기
기전 문제: 도파민 보상구조 과민 · 포만감 신호 약함
✔ 추천 한약 조합
① 지실 + 차전자 (포만감↑ + 스트레칭 효과)
- 물과 함께 복용 시 포만감 유지 시간 대폭 증가
② 향부자 + 진피 (심리적 긴장 해소)
- 감정성 과식 예방
③ 산조인 소량 + 복령 (보상 회로 안정)
- “뭔가 계속 먹고 싶은 느낌” 자체가 줄어듦
🟩 ⑤ 위가 빨리 꺼지는 타입(배가 너무 빨리 고픔)
특징: 식사 후 2시간 내 배고픔 · 공복 유지 어려움
기전 문제: 위 배출 빠름 · GLP-1 분비 저하
✔ 추천 한약 조합
① 지실 + 후박 (위 배출 지연)
- 가장 강력한 “포만 지속” 조합
- 공복 유지 시간 증가
② 맥문동 + 오미자 (GLP-1 친화 조합)
- 장 점막 안정 → 포만감 호르몬 분비 개선
③ 황기 소량 (기허형 배고픔 보정)
- 몸 에너지가 낮아서 생기는 ‘가성 공복감’ 개선
🔥 유형별 ‘가장 강력한’ 조합 3개만 뽑아보면?
| 폭식형 | 지실 + 후박 + 황련 |
| 야식형 | 산조인 + 백복신 + 복령 |
| 단맛형 | 황련 + 황백 + 지모(베르베린 중심) |
🧠 왜 한약이 안전하면서 효과적인가? (핵심 과학적 기전)
한약은 식욕 억제제를 “대체”하는 게 아니라
식욕을 만드는 생리 시스템 자체를 재정렬해:
① 장-뇌축 안정 → 허기 신호 과민 줄어듦
② 혈당 안정 → 단맛 충동, 폭식 신호 감소
③ 코르티솔 조절 → 스트레스성 폭식 차단
④ 위 배출 조절 → 적게 먹어도 오래 배부름
⑤ 수면의 질 개선 → 야식·밤 허기 억제
즉,
➡ 식욕이 “사라지는” 구조를 만드는 게 한약의 핵심이야.
'한약'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감기 처방 (구미강활탕, 형개연교탕, 삼소음, 보중익기탕) (0) | 2025.11.10 |
|---|---|
| 한약 상담 (0) | 2025.11.03 |
| 인삼(Rg1, Re), 홍삼(Rg3, Rh2, Rk1) 비교 (0) | 2025.08.21 |
| 공진단 만드는 법 및 원가 (1) | 2025.08.20 |
| 한약재 한열온량, 과학·의학·생리 (7) | 2025.07.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