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약

인삼(Rg1, Re), 홍삼(Rg3, Rh2, Rk1) 비교

MANYFAST 2025. 8. 21. 14:37
반응형

다섯 성분을 작용 기전·심혈관 영향·신경계 톤·혈소판/혈당·근거 수준으로 한눈에 비교해 드릴게요.
(용어: PPD=Protopanaxadiol계, PPT=Protopanaxatriol계)

 

 

1) 분류·생성 경로

  • Rg3, Rh2, Rk1: 모두 PPD계. 인삼을 찌고 건조(홍삼화)하는 과정에서 주로 증가/생성됨.
    • Rg3 → 고온 처리로 Rk1, Rg5 등으로 탈수(dehydration) 전환 가능
    • Rh2 → Rb1 등 대형 사포닌의 가수분해로 생성(소화·가공 중)
  • Rg1, Re: PPT계. 생인삼에 풍부, 홍삼화 과정에서 상대적 비율이 감소하거나 동역학이 변함.

 

 

2) 구조 특징(간단 요점)

  • PPD계(Rg3/Rh2/Rk1): 당 잔기 수가 적고 지용성↑ → 세포막 통과↑, 표적 단백과 직접 상호작용 경향.
  • PPT계(Rg1/Re): 당 잔기 많아 친수성↑, 막 수용체/신경전달 조절에 상대적으로 민감.

 

 

3) 심혈관(혈압·혈관) 영향

  • Rg3: eNOS/NO 경로 활성↑, Ca²⁺ 유입 억제, 혈관 평활근 이완 → 말초혈관 저항↓, 혈압 안정/완만한 저하 경향. 항혈소판으로 미세순환 개선 도움.
  • Rh2: 항염/항산화로 내피 기능 보호, 고용량에서 혈관 이완 보고. 임상 데이터는 제한적이나 혈압 상승 유발 근거는 약함.
  • Rk1: Rg3의 탈수체. 혈관 이완·항혈소판 보고(전임상 위주). **산화스트레스↓**로 내피 보호 가능성.
  • Rg1: 베타-아드레날린 유사 신호↑ 보고가 있어 심근 수축력·심박↑ 방향의 연구가 존재. 상황에 따라 일시적 혈압 상승 가능성 언급. 동시에 NO 매개 이완 데이터도 있어 용량·상황 의존.
  • Re: 내피 NO 증가항산화가 보고되어 혈관 확장성 있지만, 일부 연구에서 교감활성↑(심박↑) 관찰. 전반적으로 중립~완만한 이완이나, 민감자에서는 가슴 두근·혈압 변동 체감 사례.

요약:

  • Rg3/Rh2/Rk1 → 혈관 이완·항혈소판 쪽으로 기울어 고혈압자에게 더 “순한” 편
  • Rg1/Re → 교감신경 자극성 신호에 연동 가능성 → 민감자에서 심박·혈압 변동 가능

 

 

4) 신경계 톤(각성/진정)

  • Rg3: 진정·항불안 쪽 보고(GABAergic 조율, HPA 축 완화).
  • Rh2: 염증성 사이토카인↓, 신경염증 완화 → 진정/항스트레스 경향.
  • Rk1: 데이터 적지만 Rg3 유사 방향 전임상.
  • Rg1: 각성/인지 강화 보고 다수(신경가소성↑, BDNF↑). 카페인과 동시 섭취 시 흥분성↑ 체감 가능.
  • Re: 신경보호·항피로 쪽 데이터 있으나, 일부에서 경미한 각성/심박↑ 체감.

 

 

5) 혈소판·혈당·대사

  • Rg3: TXA2↓, 혈소판 응집 억제, 미세혈류 개선. 인슐린 감수성↑ 보고.
  • Rh2: 항혈소판/항염 경향, 지질대사 개선 전임상 다수.
  • Rk1: 항혈소판·항염 가능성 보고(근거는 전임상 중심).
  • Rg1: 대체로 대사 중립~개선, 다만 각성↑ 시 일시적 교감 항진으로 혈당·맥박 변동 체감 가능.
  • Re: 혈당 조절 보조(GLUT4 매개 보고) 있으나, 심박↑ 체감 가능성 병존.

 

 

6) 약동학(흡수/대사)

  • PPD계(Rg3/Rh2/Rk1): 지용성↑ → 조직 침투 양호, 간에서 대사 후 담즙/장 루트 배설. 장내미생물에 의한 deglycosylation 중요.
  • PPT계(Rg1/Re): 친수성↑ → 상대적으로 빠른 분포·제거, 경구 생체이용률은 낮은 편. 장내미생물 상태에 따라 체감 효과가 달라짐.

 

 

7) 안전성·상호작용 포인트

  • Rg3/Rh2/Rk1: 항혈소판 특성이 있어 항응고제/항혈소판제(아스피린, 클로피도그렐 등) 병용 시 멍·출혈 경향 주의. 저혈압 성향이면 어지럼 가능.
  • Rg1/Re: 교감항진성 약물(에페드린계), 카페인과 함께 복용 시 심계항진 체감 가능. 고혈압 환자저용량·단독 테스트 권장.
  • 공통: 임신·수유, 중증 간·신장 질환, 시술 전후(수술/치과 등)에는 전문가와 상담.

 

 

8) 핵심 비교 표

  Rg3 Rh2 Rk1 Rg1 Re
계열 PPD PPD PPD(탈수체) PPT PPT
생성 홍삼/가열↑ 가수분해(가공/장내) Rg3 탈수 생인삼↑ 생인삼↑
혈관작용 이완↑(NO, Ca²⁺↓) 이완 경향 이완 경향 상황의존(이완 vs 각성↑) 이완 경향·심박↑ 가능
혈소판 응집↓ 응집↓ 응집↓(추정) 중립 중립
신경계 톤 진정/항불안 진정/항염 진정 경향 각성/인지↑ 항피로·가벼운 각성
혈압 영향 안정/완만↓ 중립~완만↓ 중립~완만↓ 민감자 상승 가능 중립~완만↓(민감자 변동)
근거 강도 인체/전임상 다수 전임상>초기임상 전임상 위주 인체/전임상 다수 인체/전임상 다수

 

 

9) 언제 무엇을 고를까?

  • 고혈압·혈관 건강을 우선: Rg3 중심(+Rk1 보조) → 혈관 이완·항혈소판 이점 👍
  • 스트레스/과각성, 심계항진 체질: Rg3 또는 Rh2진정·항염 프로파일
  • 피로감·인지집중이 우선이고 혈압 안정성도 챙겨야 한다면: Re 소량 단독 또는 Rg3+소량 Re(개인 반응 모니터링 필수)
  • 카페인 자주 섭취/교감 항진 체질: Rg1·Re는 저용량 테스트 후 결정

 

 

10) 실전 팁(클리닉·개인 복용)

  1. 단일 성분부터 저용량: 3–7일 반응 체크(혈압·맥박·수면·어지럼/멍).
  2. 항혈소판제 복용 중이면 Rg3/Rk1/Rh2는 회피 또는 의사와 상의.
  3. 카페인 상용자·빈맥 성향이면 Rg1/Re는 오전 소량·단독으로 시험.
  4. 복합제 선택 시: Rg3 주축(50–70%) + Re 소량(10–20%)로 균형 배합을 먼저 시도.
  5. 노인·저혈압자기립성 저혈압 주의(특히 Rg3 고용량).

 

 

한 줄 정리

  • Rg3·Rh2·Rk1(홍삼화/PPD계): 혈관 이완·항혈소판·진정 쪽 → 혈압 안정에 유리
  • Rg1·Re(PPT계, 생인삼 풍부): 각성·심박↑ 가능성민감자에서 혈압 변동 주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