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뇌에서 나오는 12개중 / 얼굴의 감각 / 씹는 것을 담당한다.
주변 혈관을 눌려 혈관박동에 의해 압박을 받으면
신경가닥이 합선을 일으켜 통증이 나타난다.
통증이 나타나는 부위는 뺨 코 주변 입주변 이마
격렬한 통증이 반복적으로 나타난다고 한다.
🧠 1️⃣ 통증 기전 구분
(1) 말초신경 손상성 통증 (외상성 신경통)
- 외상 후 신경 분지(예: infraorbital, mental, supraorbital) 부위의 압통이 명확
- 바늘이 닿거나 피부 자극만으로 찌릿한 통증 → 신경재생통 또는 신경과민
- 이 경우, 삼차신경의 분지부 자침 + 신경주변 약침 or 전침 저빈도(2Hz) 자극 시 통증 완화 가능성이 높습니다.
→ 조직 내 혈류회복, 신경압력 완화, 통각 전달 차단
(2) 근막성 통증 (MPS, myofascial)
- 신경로를 따라 아픈 듯하지만 실제로는 교근·측두근·익돌근 등의 근막 트리거포인트에서 방사
- 이때 삼차신경 자침만으로는 효과가 부분적이며, 근막의 긴장 해소가 우선
→ 예: 교근, 측두근, 익상근 자침 + 심부근막 이완
(3) 중추 감작형 (Post-traumatic neuropathic pain)
- 오래된 외상, MRI/CT상 구조적 이상 없음
- 바늘 자극에 과민 반응, 자침 후 통증이 오히려 증가 가능
→ 침보다는 약침(신경안정/순환개선) or 전침 미세전류 자극이 더 적합
💡 2️⃣ 실제 자침 포인트 구성 예시
(예: 좌측 안면부 통증, 외상 후)
| 국소 | 승장, 협거, 거료, 하관 | 삼차신경 V2·V3 분지 주행 경로 따라 |
| 보조 | 풍지, 예풍, 인영, 합곡 | 교감조절, 순환 개선, 상열감 완화 |
| 원위 | 태충, 족삼리, 내정 | 통증 억제 및 간기울결 완화 |
| 자극법 | 신경주변 깊이 10~15mm, 전침 2Hz 15분 | 저빈도 자극으로 신경 탈감작 |
⚙️ 3️⃣ 치료 반응 예측 포인트
✅ 침 후 바로 통증이 30~50% 감소한다면 → 신경주변 순환개선형
✅ 침 후 묵직함·뻐근함이 있으나 1~2일 후 완화된다면 → 근막성 기전
⚠️ 침 후 통증이 악화되면 → 중추감작 or 신경염증 잔존, 약침(자하거, 봉약침) 또는 저강도 레이저 자극 고려
🧩 4️⃣ 정리
- 과거 외상으로 인한 삼차신경 경로 통증이라면 신경주변 자침은 유효합니다.
- 다만, 근막성인지 신경성인지 감별이 중요합니다.
- 초음파로 신경주행·근막층을 확인 후 정확히 신경주변에 자침하면 효과와 안전성이 모두 높아집니다.
💬 Tip:
“삼차신경 자침”이라 하더라도, 단순히 피부 자극이 아니라 신경을 감싸는 근막층(epineurium 주변) 으로 자침하는 게 핵심이에요.
통증이 외상 이후 생겼다면, 그 부위의 신경 압박 + 유착 + 과흥분 상태를 풀어주는 치료가 효과적입니다.
반응형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수면 부족시 (졸린데) 밥 먹으면 소화 잘 안되는 이유 (0) | 2025.11.13 |
|---|---|
| 골반 측면 통증 치료 - 소둔근 중둔근 통증 (0) | 2025.11.13 |
| 손 저리는 부위와 경추 (1, 2지 - c6) (0) | 2025.11.13 |
| 근육 이완 주사시 주사부위 (0) | 2025.11.13 |
| 정맥울혈 → 산소공급 감소 → 신경부종 → 감각이상, 저림, 통증 (0) | 2025.11.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