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요추 후관절(facet joint, zygapophyseal joint)은 초음파 유도하 주사 시 피부에서 관절까지의 깊이가 체형·체지방 두께·레벨(L3–S1)에 따라 달라집니다.
아래는 실제 임상에서 참고하는 평균 깊이와 주사침 길이 선택 기준이에요 👇
🔍 1️⃣ 초음파에서의 평균 깊이
| 깊이 | 비고 | |
| L1–L2 | 약 3.0~3.5 cm | 상대적으로 얕음 |
| L3–L4 | 약 3.5~4.0 cm | 보통 깊이 |
| L4–L5 | 약 4.0~5.0 cm | 가장 흔히 시술되는 레벨 |
| L5–S1 | 약 5.0~6.0 cm | 체형 따라 더 깊어짐 |
💡 비만하거나 근육층이 두꺼운 남성은 6 cm 이상까지 도달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2️⃣ 주사침(needle) 길이 선택 기준
| 체형 | 주사침 | 설명 |
| 마른 체형, L1–L3 수준 | 50 mm (2 inch) | 대부분 충분 |
| 보통 체형, L3–L5 수준 | 75 mm (3 inch) |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 |
| 비만체형, L5–S1 수준 | 90–100 mm (3.5–4 inch) | 깊이 확보 필요 시 |
| 주사 외에도 생검·RF 등 병행 시 | 100 mm 이상 | 안정적인 고정과 시야 확보용 |
🩻 3️⃣ 초음파 가이딩 팁
- Probe: convex(2–5 MHz) 사용 (linear로는 깊이 확보가 어렵습니다)
- Needle approach: in-plane으로 외측에서 내측 향해 주입
- Target landmark: superior articular process(SAP)와 inferior articular process(IAP)의 접합부 음영
- Depth 조정: facet capsule에 needle tip이 닿을 때 약간의 저항감이 느껴짐
- Injection volume: 관절내 0.5~1 mL, 주위 block 1~2 mL
⚙️ 실무 예시
보통 L4–L5 또는 L5–S1에 시행한다면
👉 convex probe + 75 mm 주사침(22G)
으로 접근하면 대부분 충분히 도달합니다.
체형이 큰 환자라면 90 mm로 교체하는 게 안전합니다.
반응형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제품리스트 (0) | 2025.10.31 |
|---|---|
| 노인 마른기침 치료 프로토콜 건해(乾咳) (0) | 2025.10.31 |
| 피를 뽑는 부항(사혈부항, 습부항) 효과 시기 (0) | 2025.10.31 |
| 근육 연축 twitch 를 이용한 치료 (0) | 2025.10.31 |
| 🌧️ 흐린 날·비 오는 날 어지러움의 원인 (0) | 2025.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