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

피를 뽑는 부항(사혈부항, 습부항) 효과 시기

MANYFAST 2025. 10. 31. 16:59
반응형

 

즉, 급성 염증기에는 조심해서 써야 하고, 아급성~만성기 염증, 울혈, 어혈성 통증에는 효과적이에요.

 

 

🩸 1️⃣ 피를 뽑는 부항의 작용 원리

습부항은 단순히 피부 자극이 아니라, 모세혈관층까지 아주 미세하게 손상을 내서 **정체된 혈액(어혈)**과 **염증 부산물(사구체 대사산물, cytokine 등)**을 배출시키는 치료예요.
이 과정에서 생기는 효과는 다음과 같아요 👇

  • 혈류순환 개선 → 조직 내 산소 공급 회복
  • 산성 대사산물 배출 → 근육 통증 완화
  • 국소 면역반응 조절 → 염증성 cytokine(IL-6, TNF-α 등) 농도 감소 보고
  • 통증 억제 신경경로 자극 → β-endorphin 분비 증가

즉, **“노폐물+염증 매개물질을 빼고, 미세순환을 회복”**시키는 기전으로 볼 수 있어요.

 

 

🔥 2️⃣ 급성 염증기에는 왜 주의해야 할까?

급성기(예: 1~3일 이내, 부종·열감·홍반이 뚜렷할 때)는 이미 염증 반응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예요.
이때 부항으로 추가 손상·출혈을 유발하면 오히려 염증 세포 유입 증가 → 부종 악화 위험이 있어요.

👉 따라서 급성 염좌, 근육손상 직후, 타박 직후에는 습부항 금지예요.
이 시기엔

  • 냉찜질,
  • 건식부항(피 안 뽑는),
  • 약침(항염),
  • 저주파 전침 등이 더 적합합니다.

 

 

🌿 3️⃣ 습부항이 도움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아급성~만성기 통증에는 효과적이에요 ✅

부위 효과 설명
근막통증, 견비통 어혈 제거 + 국소혈류 개선 근막 내 산성물질 감소로 통증 역치 상승
요통, 좌골신경통 근육 내 압박감 완화 혈류 재분배로 신경 자극 감소
슬관절 주위염(부종 소실 후) IL-6, TNF-α 감소 보고 동서의학 논문에서 항염 효과 확인
만성 어깨 결림 근육 내 섬유화 조직 완화 trigger point 감소 효과

이런 상황에서는 습부항 → 온찜질 or 약침 → 가벼운 운동 순으로 적용하면 효과가 좋아요 💡

 

 

💬 4️⃣ 실전 적용 팁

  1. 급성기 (1~3일) : 피 뽑지 말고, 냉찜질·건식부항·전침 중심
  2. 아급성기 (3~7일) : 미세한 습부항 가능 (홍반·열감 가라앉은 후)
  3. 만성기 (7일 이후) : 반복 습부항으로 어혈 배출 + 미세순환 회복

※ 단, 고혈압·당뇨·혈소판 감소·항응고제 복용자는 피를 뽑는 부항 금지예요 ⚠️

 

 

💡 정리하자면

  • 습부항 = 염증 조절 + 순환 회복 요법
  • 급성기엔 부종·출혈 증가 위험 → 피함
  • 아급성~만성기엔 통증 완화 효과 뚜렷
  • 항염 cytokine 감소 및 혈류개선 근거 존재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