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즉, 급성 염증기에는 조심해서 써야 하고, 아급성~만성기 염증, 울혈, 어혈성 통증에는 효과적이에요.
🩸 1️⃣ 피를 뽑는 부항의 작용 원리
습부항은 단순히 피부 자극이 아니라, 모세혈관층까지 아주 미세하게 손상을 내서 **정체된 혈액(어혈)**과 **염증 부산물(사구체 대사산물, cytokine 등)**을 배출시키는 치료예요.
이 과정에서 생기는 효과는 다음과 같아요 👇
- 혈류순환 개선 → 조직 내 산소 공급 회복
- 산성 대사산물 배출 → 근육 통증 완화
- 국소 면역반응 조절 → 염증성 cytokine(IL-6, TNF-α 등) 농도 감소 보고
- 통증 억제 신경경로 자극 → β-endorphin 분비 증가
즉, **“노폐물+염증 매개물질을 빼고, 미세순환을 회복”**시키는 기전으로 볼 수 있어요.
🔥 2️⃣ 급성 염증기에는 왜 주의해야 할까?
급성기(예: 1~3일 이내, 부종·열감·홍반이 뚜렷할 때)는 이미 염증 반응이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예요.
이때 부항으로 추가 손상·출혈을 유발하면 오히려 염증 세포 유입 증가 → 부종 악화 위험이 있어요.
👉 따라서 급성 염좌, 근육손상 직후, 타박 직후에는 습부항 금지예요.
이 시기엔
- 냉찜질,
- 건식부항(피 안 뽑는),
- 약침(항염),
- 저주파 전침 등이 더 적합합니다.
🌿 3️⃣ 습부항이 도움되는 경우
다음과 같은 아급성~만성기 통증에는 효과적이에요 ✅
| 부위 | 효과 | 설명 |
| 근막통증, 견비통 | 어혈 제거 + 국소혈류 개선 | 근막 내 산성물질 감소로 통증 역치 상승 |
| 요통, 좌골신경통 | 근육 내 압박감 완화 | 혈류 재분배로 신경 자극 감소 |
| 슬관절 주위염(부종 소실 후) | IL-6, TNF-α 감소 보고 | 동서의학 논문에서 항염 효과 확인 |
| 만성 어깨 결림 | 근육 내 섬유화 조직 완화 | trigger point 감소 효과 |
이런 상황에서는 습부항 → 온찜질 or 약침 → 가벼운 운동 순으로 적용하면 효과가 좋아요 💡
💬 4️⃣ 실전 적용 팁
- 급성기 (1~3일) : 피 뽑지 말고, 냉찜질·건식부항·전침 중심
- 아급성기 (3~7일) : 미세한 습부항 가능 (홍반·열감 가라앉은 후)
- 만성기 (7일 이후) : 반복 습부항으로 어혈 배출 + 미세순환 회복
※ 단, 고혈압·당뇨·혈소판 감소·항응고제 복용자는 피를 뽑는 부항 금지예요 ⚠️
💡 정리하자면
- 습부항 = 염증 조절 + 순환 회복 요법
- 급성기엔 부종·출혈 증가 위험 → 피함
- 아급성~만성기엔 통증 완화 효과 뚜렷
- 항염 cytokine 감소 및 혈류개선 근거 존재
반응형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노인 마른기침 치료 프로토콜 건해(乾咳) (0) | 2025.10.31 |
|---|---|
| 허리 초음파 가이딩 주사시 헤드 g와 mm (0) | 2025.10.31 |
| 근육 연축 twitch 를 이용한 치료 (0) | 2025.10.31 |
| 🌧️ 흐린 날·비 오는 날 어지러움의 원인 (0) | 2025.10.31 |
| 탐스로신(Tamsulosin), 알푸조신(Alfuzosin) 등은 모두 요도 주변 근육을 이완시켜 배뇨를 쉽게 해주는 약입니다. (0) | 2025.10.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