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

근육 연축 twitch 를 이용한 치료

MANYFAST 2025. 10. 31. 15:05
반응형

 

근육 연축 twitch는 뭉친 근육에서 잘 생겨난다. 연축은 근육이 수축하였다가 이완되어 본래의 상태로 돌아가는 과정이다.

 

 

🔍 근육 연축(twitch)란 무엇일까?

‘트위치(twitch)’는 근육 섬유 단위의 단일 수축 반응이에요.
즉, 신경 자극에 의해 짧고 순간적으로 근육이 수축하는 현상이지요.
전기 생리학적으로는 운동신경이 활성화되어 근섬유막에 활동전위(action potential)가 발생할 때 생깁니다.

이때 자극의 강도가 역치(threshold) 이상일 때만 twitch가 발생해요.
이 반응은 근육 속 ‘운동단위(motor unit)’의 특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지표입니다.

💡 간단히 말해
👉 전기나 바늘로 근육을 ‘정확히 찔러’ 신경이 반응할 때 나타나는
‘딸깍’ 또는 ‘톡’하는 순간적 수축 = twitch 반응이에요.

 

 

⚙️ Twitch 반응의 생리학적 원리

근육이 twitch할 때 내부에서는 놀라운 변화가 일어납니다.

  1. Ca²⁺(칼슘) 유입 증가
    전위가 발생하면 근형질세망에서 칼슘이 방출되어 근육 단백질(액틴·미오신)이 상호작용합니다.
    이 과정이 바로 수축의 시작이죠.
  2. ATP 소비 → 에너지 대사 증가
    twitch 시 ATP가 빠르게 소모되어, 근육의 대사율이 순간적으로 올라갑니다.
    이는 손상된 조직의 혈류 개선과 대사산물 제거에도 도움을 줍니다.
  3. 근방추 및 통증수용체 재조정
    지속적인 긴장(tonic tension)을 완화시켜 근방추의 민감도를 낮추고,
    통증 유발점(trigger point)을 해소하는 데 기여합니다.

 

 

💥 Twitch를 이용한 대표 치료법 3가지

1️⃣ 근막유리술 (Myofascial release with twitch response)

  • 바늘(건·근육 내)로 근막을 자극하면 twitch가 유발됩니다.
  • Trigger point 부위에서 twitch가 일어나면
    👉 근육 내 젖산 등 통증물질이 빠져나가며 순간적 이완 효과가 생겨요.
  • 시술자는 “톡”하는 반응을 통해 정확히 병변점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전침치료 (Electroacupuncture)

  • 저빈도(2~10Hz) 전류로 운동신경을 주기적으로 자극합니다.
  • 이때 근육 twitch가 반복되면
    👉 통증 억제물질(엔도르핀, 엔케팔린) 분비가 촉진됩니다.
  • 또한 혈류량 증가 + 근육온도 상승으로 조직 회복이 빨라져요.

💡 임상 팁:

  • 2Hz 전침 → 근육 twitch 유발, 진통효과
  • 100Hz 이상 → 감각신경 위주 자극, 마취효과
    즉, 저빈도 전침이 twitch 중심의 통증조절 치료에 적합합니다.

3️⃣ 도침치료 (Knife-acupuncture)

  • 근육 내부의 섬유화·유착 부위를 절개 또는 박리하며 twitch를 유도합니다.
  • twitch는 정상 근육 섬유 재활성화의 신호로 해석되며,
    이후 혈류가 회복되고 조직 긴장이 풀립니다.

 

 

🧠 Twitch를 유도하면 왜 통증이 줄까?

  1. 근육 내 혈류개선
    수축-이완 반복으로 산소 공급이 증가하고, 젖산 축적이 줄어요.
  2. 통증경로 차단(Gate control theory)
    빠른 신경 자극이 통증 신호 전달을 억제해 통증인지 감소.
  3. 중추신경계의 재조정 효과
    반복된 twitch 자극은 뇌-척수의 운동패턴을 재교육시켜
    비정상 근긴장을 정상화합니다.
  4. Trigger point 탈감작(desensitization)
    반복적인 twitch는 통증 유발점의 감작된 신경을 안정화시킵니다.

 

 

⚠️ 주의해야 할 점

염증이 심한 급성기에는 시행하지 않아요.
(통증이 오히려 악화될 수 있음)

  • 출혈경향, 항응고제 복용 환자, 신경병성 통증 등은
    전문가의 판단이 필요합니다.
  • Twitch가 강하게 나타난다고 해서 무조건 좋은 건 아닙니다.
    과도한 자극은 근육 손상, 통증 증가를 유발할 수 있어요.

 

 

💬 자주 묻는 질문 (Q&A)

Q1. Twitch가 안 느껴지면 치료가 안 된 건가요?
👉 아닙니다. 일부 깊은 근육이나 신경 손상 부위는 반응이 약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자극 전달과 혈류 변화만으로도 충분히 효과가 있어요.

 

Q2. Twitch를 일부러 많이 유발해야 할까요?
👉 적정 횟수(1~3회/부위)가 이상적입니다.
과도한 twitch는 오히려 근섬유 미세손상을 부를 수 있어요.

 

Q3. 치료 후 근육통은 정상인가요?
👉 예. 24~48시간 이내 일시적 근육통은 정상 회복 반응입니다.
온찜질과 가벼운 스트레칭으로 완화할 수 있어요.

 

 

✅ 정리하며

근육의 twitch 반응은 단순한 근수축이 아니라,
신경·혈류·통증조절이 복합적으로 작동하는 생리적 치료 반응이에요.

💪 전침, 도침, 근막유리 등에서 twitch를 정확히 유도하고 해석하면
단순 통증 완화 이상의 기능 회복 효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