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

전완부에서 신경이 근육을 뚫고 나오는 포인트

MANYFAST 2025. 8. 9. 00:41
반응형

 

전완부에서 말초신경이 근육 또는 근막을 뚫고 나오는 주요 지점은 다음과 같아요:

 

 

1. 전중간신경(Median nerve) – 회내근 증후군 포인트

  • 위치: 상완에서 내려온 median nerve원회내근(pronator teres) 두 갈래 사이를 통과함
  • 주사 목적: Median nerve entrapment (회내근 증후군) 완화
  • 접근법:
    • 팔꿈치에서 약간 아래
    • 근육의 내측과 외측 두 갈래 사이
    • 초음파 사용 시, 요골동맥과 신경을 함께 관찰
  • 용량: 식염수 1.5~3mL (리도카인 혼합 가능)

 

 

2. 척골신경(Ulnar nerve) – 팔꿈치 터널 아래

  • 위치: **팔꿈치 내측(내측상과)**에서 팔꿈치굴근(Flexor carpi ulnaris) 두 갈래 사이로 빠져나옴
  • 주사 목적: Cubital tunnel syndrome, ulnar neuropathy 해소
  • 접근법:
    • 팔꿈치 굴곡 시, 팔꿈치 내측 뒤쪽 오목한 곳 촉지
    • 신경 위로 식염수로 박리하듯 주입
  • 용량: 2~3mL

 

 

3. 요골신경의 심지(Radial nerve deep branch) – 상완요골근과 회외근 사이

  • 위치: **요골신경의 심지(deep branch, 후골간신경)**는 **회외근(supinator muscle)**을 뚫고 지나가며 Frohse's arcade에서 압박되기 쉬움
  • 주사 목적: 후골간신경 증후군(PIN syndrome)
  • 접근법:
    • 팔꿈치의 외측, **상완요골근(brachioradialis)**과 회외근 사이 틈
    • 근육층 아래 깊이 진입 필요
  • 용량: 식염수 1~2mL (초음파 유도 강추)

 

💉 주사 방법 요약

  해부 주사 깊이 및 방향 용량
Median nerve 회내근 두 갈래 사이 표층~중간, 내측 → 외측 1.5~3mL
Ulnar nerve 내측상과 아래, FCU 사이 내측 후방 접근, 신경 바로 위 2~3mL
Radial deep branch Frohse's arcade (회외근 내부) 깊게, 외측 → 내측 1~2mL
 

 

✅ 실전 팁

  1. 초음파 유도 없이 시행 시:
    • 반드시 해부학적 표면 기준을 명확히 잡고,
    • **신경 바로 위(접촉 X)**에 식염수 박리
  2. 신경 자극 확인법:
    • 살짝 찌릿함 → 신경 근처
    • 통증 없이 압력감만 → 적절 위치 가능성↑
  3. 리도카인 0.5~1% 소량 혼합 시 효과 향상
    (단, 감각 소실로 후관찰 어려울 수 있음)

 

⚠️ 주의사항

  • 신경 자체 내 주사 (intraneural)는 절대 금지
  • 신경손상 예방을 위해 “압박감은 느껴지되 찌릿하거나 통증은 없어야 함”
  • 초음파 유도 없이 시행 시, 반드시 안전 마진 확보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