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

척수 병변 vs 말초신경 병변 구별법

MANYFAST 2025. 8. 5. 12:59
반응형

감각장애·운동마비 증상이 척수인지 말초신경인지 감별하는 핵심 임상 포인트를 정리했습니다.

 

 

🧠 같은 증상인데 원인이 다르다?

"다리가 저려요."
"팔에 힘이 안 들어가요."
이런 증상은 겉보기에는 같지만,
‘척수 병변’인지, ‘말초신경 병변’인지에 따라 진단도, 치료도 완전히 달라집니다.

✔ 뇌는 괜찮은데 손발이 이상하다?
✔ 힘이 없는데 감각도 무딘가?
✔ 양쪽인가, 한쪽인가?
이런 요소들을 조합해서 병소 위치를 추정할 수 있어야 하죠.

 

 

✅ 감별의 핵심: ‘병변의 해부학적 위치 + 신경 경로의 방향’

신경계에서 감각과 운동은 다음처럼 흐릅니다.

  • 감각: 말초 → 척수 후각 → 시상 → 대뇌
  • 운동: 대뇌 피질 → 척수 전각 → 말초 근육

즉, 어디에서 단절되었는가에 따라 증상이 달라지며,
그 단절 위치가 중추인지(척수), 말초인지가 핵심 감별 포인트입니다.

 

 

📌 척수 병변 vs 말초신경 병변: 주요 차이표

  중추 말초
감각장애 범위 수준 이하 전체 (sensory level) 신경 분포 따라 국소적
운동장애 양측 가능, 경직형 마비(spastic) 주로 단측, 이완형 마비(flaccid)
반사 변화 항진 (Hyperreflexia) 감소 or 소실 (Hyporeflexia)
병적반사 (+) 바빈스키(Babinski sign) (-) 없음
근위축 드물거나 말기 빠르게 진행
배뇨장애 흔함 (특히 척수 하부 병변) 드묾
근전도(EMG) 정상 또는 상운운동신경 변화 명확한 하위운동신경 손상 소견
 

 

 

🧪 실제 임상 감별 포인트 정리

1️⃣ 감각 수준이 있다면 → 척수 병변 의심

  • 예: "배꼽 아래가 이상해요" → T10 병변 의심
  • Dermatomal level이 수평적으로 나타남

💡 말초신경 병변은 절대 **감각 수평선(sensory level)**을 만들지 않습니다.

 

2️⃣ 바빈스키 반사 (+) → 중추 병변

  • 엄지발가락이 위로 젖히는 반응
  • 피질척수로(CST) 손상 시 나타남
  • 말초병변에서는 절대 나타나지 않음

 

3️⃣ 근력 저하 + 심부건 반사 항진 → 척수 병변

  • 예: 다리에 힘이 없는데 슬개건 반사가 너무 잘 튄다?
    척수의 피질척수로 이상

💡 말초신경 병변에서는 반사가 감소 또는 소실됩니다.

 

 

4️⃣ 말초신경 병변의 특징적인 패턴들

✔ 정중신경 손상 → 엄지~중지 감각저하, 엄지 대립근 위축

✔ 요골신경 손상 → 손목처짐(wrist drop)

✔ 척골신경 손상 → 새끼손 감각저하, 손가락 벌림 약화

✔ 비골신경 손상 → 발처짐(foot drop), 발등 감각저하

 

이런 특정 신경 분포를 따르는 국소 증상은 대부분 말초신경 문제!

 

 

🧠 추가로 고려해야 할 특별 상황

✅ 척수 종양 or 디스크 압박

  • 상행성 진행 감각 소실
  • 양측 증상
  • 통증이 없는 감각 이상 + 배뇨장애 동반 가능

✅ 말초신경 다발병증 (당뇨, 길랭-바레 등)

  • 양측성이나 말단 대칭성 감각저하
  • 통증, 작열감, ‘양말·장갑 형태’ 감각이상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