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리

대뇌, 뇌줄기, 척수, 말초신경, 자율신경계까지 해부학적 구조와 기능

MANYFAST 2025. 8. 5. 11:31
반응형

 

  • 위치적 연계성 (피질 ↔ 피질하 ↔ 척수 ↔ 말초)
  • 해부학과 기능학의 통합
  • 핵(nucleus) vs 신경절(ganglion) 구분
  • 횡단면(단면 이미지)에서 구조 구별

 

 

 

🧠 1. 대뇌 피질(Cerebral Cortex)의 구조와 영역별 기능

① 피질의 주요 구분

  • Frontal lobe (전두엽): 수의운동(M1), 계획, 언어 (Broca area)
  • Parietal lobe (두정엽): 체성감각(S1), 공간지각
  • Temporal lobe (측두엽): 청각, 기억, 언어 이해(Wernicke area)
  • Occipital lobe (후두엽): 시각 정보 해석

② 구조적으로 알아야 할 층 분화

대뇌피질은 **6층 구조 (laminar structure)**로 되어 있습니다.

  명칭 구성
I 분자층 수상돌기만 존재, 연합 연결
II 외과립층 피질 간 연합
III 외피라밋층 다른 피질로 원심성 투사
IV 내과립층 시상에서 감각 입력 수용
V 내피라밋층 하행 투사(예: 척수)
VI 다형세포층 시상으로 피질 출력
 

💡 특히 운동 피질(M1)은 V층이, 감각 피질(S1)은 IV층이 두드러집니다.

 

 

 

🧩 2. 피질하 구조 (Basal Ganglia & Limbic System)

① 기저핵 (Basal ganglia)

  • 구성: 선조체 (Caudate + Putamen), Globus pallidus, Subthalamic nucleus, Substantia nigra
  • 기능: 운동의 조절, 패턴 생성, 억제/흥분 밸런스 조절
  • 임상 연관: 파킨슨병(도파민 결핍), 헌팅턴병(GABA 결핍)

② 변연계 (Limbic system)

  • 구성: 해마(hippocampus), 편도체(amygdala), 띠이랑(cingulate gyrus), 유두체(mammillary body)
  • 기능: 기억, 감정, 동기 유발
  • 해마는 내측측두엽 깊숙이 위치하며, 단기기억 → 장기기억 전환에 핵심

 

 

 

🧵 3. 뇌간(Brainstem)과 핵군(Nuclei)의 해부학

① 중뇌 (Midbrain)

  • 상구(superior colliculus): 시각 반사
  • 하구(inferior colliculus): 청각 경로
  • 흑질(Substantia nigra): 도파민 생성 → 운동 회로 조절

② 교뇌 (Pons)

  • 중계 기능: 대뇌 ↔ 소뇌, 척수 ↔ 대뇌 간의 연결통로
  • 핵군: 삼차신경핵, 안면신경핵 등

③ 연수 (Medulla oblongata)

  • 생명중추: 호흡, 심장박동, 혈압 조절
  • 핵군: 미주신경핵, 연수올리브핵

 

 

 

🧬 4. 척수와 그 내부 구조

① 회색질 (Gray matter)

  • 나비 모양 구조로 **전각(운동), 후각(감각), 측각(자율신경)**으로 나뉨
  • 전각: 하위운동신경 세포체 존재
  • 후각: 감각신경과 연합신경이 시냅스

② 백질 (White matter)

  • 상행로 (감각): 후주-내측섬유, 척수시상로
  • 하행로 (운동): 피질척수로, 전정척수로, 망상척수로

💡 척수는 경추-흉추-요추 순서에 따라 단면 구조가 달라지며, 경추에서 백질이 가장 많습니다.

 

 

🧠 5. 말초신경 & 신경절(Ganglia)의 구조

① 말초신경 (Peripheral nerve)

  • 3층 구조: 신경내막(Endoneurium), 신경다발막(Perineurium), 신경외막(Epineurium)
  • 축삭(axon) + 슈반세포(Schwann cell)의 조합
  • 수초(myelin sheath) 여부에 따라 전도속도 차이

② 신경절 (Ganglion)

후근신경절(DRG) 감각신경 위성세포 + 위성형 뉴런
자율신경절 교감 or 부교감 연결 지점 후신경세포체 존재
 

 

 

⚙ 6. 자율신경계의 해부학적 전도경로 요약

📌 교감신경계(Sympathetic)

  • 기원: 척수 T1~L2
  • 신경절: 척수 옆의 측측신경절(sympathetic chain ganglia)
  • 말단: 심장, 기관지, 혈관, 장기 등 → 노르에피네프린 분비

📌 부교감신경계(Parasympathetic)

  • 기원: 뇌간(3, 7, 9, 10번 뇌신경), 천추 S2~S4
  • 신경절: 표적기관 인접부
  • 말단: 위장관, 비뇨기, 생식기 등 → 아세틸콜린 분비

 

 

🧠 통합 요약: 구조와 기능을 입체적으로 연결하자!

  • 피질 ↔ 피질하 ↔ 뇌간 ↔ 척수 ↔ 말초까지의 신경 흐름은 수직적 계통
  • 각각의 구조는 고유 기능을 가지며, 연결부위의 위치와 방향성이 진단/치료에 핵심
  • 단면도/위치/신경로를 동시에 볼 수 있어야 실제 환자 병변 해석 가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