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허리디스크는 한의학적으로도 매우 다양하고 정밀한 접근이 가능한 질환입니다.
단순히 침만 놓는 게 아니라, 통증 위치, 눌리는 신경, 근육 긴장도, 체형 불균형까지 고려해서
침치료, 약침, 도침, 매선, 추나 등 복합 치료를 진행하는 경우가 많죠.
이번 글에서는 디스크 치료에 쓰이는 한의학 시술들 각각의 원리와 적용법,
그리고 시술 부위별 접근 방법까지 정리해드립니다.
1️⃣ 침치료 (일반침) – 기초이자 핵심
🎯 치료기전
- 침 자극은 Aδ, C 섬유를 자극해 통증 조절,
**중추신경계 통증 억제 회로(하행성 억제)**를 활성화합니다. - 근육 긴장을 풀고, 국소 염증 물질 제거에도 도움을 줍니다.
📌 주요 시술 부위 및 효과
극돌기 옆방 | 다열근, 극상근 이완 |
관절돌기 사이 | 후관절 압박 해소 |
추간공 주변 | 신경근 주위 염증 반응 완화 |
천장관절 주위 | 골반부 불균형 해소 |
좌골결절 위쪽 | 햄스트링 기시부 이완 |
💉 활용 예시
- L4-L5 디스크 환자: 요추 4~5 극돌기 양옆 + 관절돌기 부위 + 양측 장요근 자침
2️⃣ 약침치료 – 침과 약의 융합
🎯 치료기전
- 약침은 국소에 약리작용을 직접 전달하는 방식으로, 항염증, 신경재생, 진통 작용을 목표로 합니다.
🌿 주요 약침 종류 및 효과
봉독약침 | 강력한 항염증, 통증 완화 | 급성통증, 신경염 |
자하거약침 | 조직 재생, 신경 회복 | 만성디스크, 신경손상 |
어혈약침(청혈단 등) | 혈류 개선, 염증 제거 | 부종 동반 디스크 |
산삼약침 | 면역, 신경 영양 | 재발 방지, 회복 촉진 |
📌 시술 위치
- 추간공 옆, 요추 다열근 주변, 천장관절 옆, 좌골신경 줄기 위
- 주 1~2회, 급성기에는 매일도 가능
💡 약침은 약침 단독보다 침·도침과 병행 효과가 우수합니다.
3️⃣ 도침치료 – 심층 유착 박리
🎯 치료기전
- 도침은 침 끝이 칼날처럼 평평한 **‘도자형 침’**으로,
섬유화된 근막, 유착된 조직, 염증결절을 직접 해소합니다. - 신경주위 유착 박리 + 통증 유발점(TRP) 처리에 특화
⚒️ 적용 부위
극돌기 양측 | 다열근·극상근의 깊은 긴장 해소 |
관절돌기 아래 | 후관절 낭 내 유착, 기계적 마찰 완화 |
장요근/요방형근 | 신장성 통증 해소 |
좌골결절 상단 | 햄스트링 기시부 방아쇠점 제거 |
💡 MRI상 디스크가 눌러도 회복이 더딘 환자,
기계적 압박이 아닌 근막 유착이 원인인 경우 효과적입니다.
🕒 주 1회, 총 4~6회 치료로도 효과 기대 가능
4️⃣ 매선치료 – 장기지속 자극 & 지지
🎯 치료기전
- 녹는 실(PDO 등)을 경근, 근막층에 삽입해
근육·근막 자극 + 조직 지지 + 미세순환 개선 - 실이 녹는 동안 1~2주간 자극이 지속되며
만성 디스크, 불안정성, 통증 회귀 방지에 효과적입니다.
📌 시술 부위별 매선 위치
극돌기 양옆 | 다열근·극상근 따라 양측 3~5지점 |
관절돌기 옆라인 | 후관절 안정화 목적 |
장요근 매선 | 복직근 측면 배부위 삽입 (복와위) |
천장관절 주위 | 장골능, 장요근 접합부 고정 |
좌골결절 상부 | 햄스트링 기시부 고정 |
⏱️ 시술 간격 및 횟수
- 주 1회
- 총 3~6회 (보통 4회 이상)
- 급성기보다 아급성기 ~ 만성기에 더 적합
5️⃣ 추나치료
🎯 치료기전
- 추나는 척추, 골반, 관절의 정렬 이상을 손으로 교정하여
기계적 압박 해소, 신경 혈류 회복, 조직 긴장도 균형 회복을 유도합니다.
🔧 추나 치료 방법 (디스크 환자용)
요추 견인 | 추간판 내압 감소, 신경압박 해소 |
천장관절 조정 | 골반 기울기 조절 → 디스크 압력 간접 완화 |
측굴·회전 교정 | 요추의 좌우 비대칭, 후관절 긴장 해소 |
복와·측와 견인 | 긴장된 요방형근, 척추기립근 이완 |
📅 시술 스케줄
- 1회 10~15분
- 주 1~2회, 6~8회 진행
- 디스크 외 근육성 요통 동반 시 매우 효과적
✅ 한방복합치료 실제 적용 예시
🎯 L4-L5 디스크 환자, 좌측 다리 통증, 엄지 올리기 약화
치료 계획:
- 침: 요추 3~5극돌기 옆, 좌측 관절돌기 부위, 장요근
- 약침: L4~L5 추간공 좌측, 좌골신경 줄기 2포인트 (봉독 + 자하거)
- 도침: 장요근, 좌측 후관절 밑, 좌골결절 상부
- 매선: 좌측 다열근 3줄 + 좌측 햄스트링 기시부 2줄
- 추나: 요추 견인 + 천장관절 교정 + 측굴 교정
📆 주 2회 × 3주 후 통증 70% 이상 감소
마무리 요약 💬
기전 | 시기 | 장점 | |
침치료 | 통증조절, 근육이완 | 급·만성 모두 | 안전, 즉시 효과 |
약침 | 항염, 신경재생 | 급성 + 회복기 | 작용 빠름 |
도침 | 유착 박리 | 만성, 난치 디스크 | 빠른 가동성 회복 |
매선 | 장기 자극, 안정화 | 아급성~만성 | 재발 방지 |
추나 | 체형 교정 | 만성 요통, 협착 동반 | 정렬 개선 |
반응형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근육통 vs 염증, 냉찜질 온찜질 찜질은 왜 달라야 할까? (0) | 2025.08.02 |
---|---|
염증 초기에 온찜질하면 안 되는 이유 (0) | 2025.08.02 |
허리디스크 회복과 재발 방지를 위한 중요한 코어 및 안정근육 5가지 (1) | 2025.08.01 |
허리디스크가 눌리는 신경근 위치, 추간공 위치, 디스크 번호 (0) | 2025.08.01 |
디스크에 의한 신경 손상의 위치를 감각, 반사, 근력 검사로 유추 (4) | 2025.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