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수술 전 체크리스트 ✅
1-1. 적응증 재확인
- 태아: 태위 이상, 태아곤란증, 현저한 체중 불균형
- 산모: 전치태반, 자궁파열 위험, 심혈관·대사 질환
- 기타: elective C-section 요청
1-2. 검사·협진
- CBC, 혈액형 & 교차시험, PT/aPTT
- 감염 스크리닝(VDRL · HBV · HCV · HIV)
- NST ± BPP, 필요 시 심초음파·폐기능
💡 실전 Tip 1 : 헤모글로빈 <10 g/dL이면 철분 주사로 교정해 출혈 리스크 ↓
1-3. 항생제·위장 보호
- Cefazolin 2 g(80–119 kg)·3 g(≥120 kg) 30 분 전 투여
- 파열 + 분만 중 제왕절개라면 Azithromycin 500 mg IV 추가
- 중증 β-lactam 알러지 → Clindamycin 900 mg + Gentamicin 5 mg/kg
1-4. VTE 예방법
- 수술 전 SCD 장착, 탄력스타킹
- 고위험(BMI ≥30, 35세 ↑, 기존 VTE) → Enoxaparin 40 mg SC / d, 6–12 h post-op 시작, 7 일(고위험 면 6 주) 지속
💡 실전 Tip 2 : 신경차단 마취 시 카테터 제거 후 4 시간 지나서 LMWH 투여
2. 수술 중 단계별 프로토콜 🔥
2-1. 체위·피부 준비
- 15° left tilt로 대정맥 압박 ↓
- 알코올+클로르헥시딘 skin prep → 3 분 이상 건조
- Foley 삽입, 10% povidone vaginal scrub
2-2. 절개 및 접근
- Pfannenstiel 12–15 cm(견고한 복부 → Maylard or vertical)
- 피하지방 0 · 3 cm 층별 전기소작(30 W 이하)
- 전방 복막 blunt entry → 방광피판 2–3 cm 하방 견인
2-3. 자궁 절개 & 태아 인도
- Low transverse Kerr incision 2 cm 절개 후 손가락 lateral 확장
- 전치태반 → 두상 위 3–4 cm 상방 절개
- 머리 깊이 고정 → soft cup vacuum 보조 가능
- Delayed cord clamping 30–60 s 권장
2-4. 자궁 봉합
- 0 Vicryl continuous(내막 포함) + imbricating 2nd layer
- Oxytocin 10 IU IV bolus → 30 IU/4 h infusion
- 필요 시 TXA 1 g IV 10 분(출혈 고위험군)
2-5. 복벽 폐쇄
- 복막 미봉합 권장 → 유착 ↓, 수술시간 ↓
- Fascia #1 Vicryl continuous, 10 cm당 1 cm rule
- 피하지방 >2 cm → 0 Monocryl interrupted
- 피부: 4-0 Monocryl subcuticular 또는 스테이플(48 h 후 제거)
💡 실전 Tip 3 : Fascial bite 간격·길이를 1 : 1로 유지해 인장력 균형 ↑
3. 수술 후 관리 ⚕️
3-1. 모니터·통증
- 첫 2 h q15min BP·혈류·악로 확인
- IV Acetaminophen 1 g q6h + Ketorolac 15 mg q6h 24 h → 경구 NSAID·opioid PRN
- Foley 12–24 h 유지(시간 단축 시 UTI ↓)
3-2. VTE·호흡기·장 기능
- 6 h 이내 앉기·12 h 보행
- Incentive spirometer q2h
- 가스 통과 → 유동식 → 연식 진행
3-3. 상처·감염 예방
- 드레싱 24 h 후 제거·샤워 허용
- 발열 >38 ℃, 악취 악로, 홍반 → 상처 감염 의심 & 배농 + broad-spectrum ABX
3-4. 모유수유 & 퇴원 기준
- Rooming-in, 수유는 마취 회복 후 즉시
- 자궁높이 & lochia 정상, 통증 VAS ≤4 → Post-op D3-4 퇴원
4. 자주 받는 질문 & 반론 미리보기 💭
“체중 150 kg 산모는 항생제 용량?” | Cefazolin 3 g + Redose q4h (출혈 >1.5 L 시) |
“복막을 꼭 닫아야 유착이 줄지 않나요?” | 무작위 메타분석: parietal non-closure가 수술시간·통증 ↓, 장유착 차이 無 |
“LMWH로 출혈 증가하지 않을까?” | 프로필랙시스 용량(40 mg/d)에서는 출혈 유의적 증가 無 보고 |
5. 핵심 요약 ✍️
- 제왕절개 수술 프로토콜은 항생제·VTE 예방·복막 non-closure 3 대 축을 준수해야 한다.
- 제왕절개 수술 프로토콜 상 항생제는 체중별 dose, 아지스로마이신 추가가 최신 트렌드.
- 제왕절개 수술 프로토콜의 VTE 부분은 SMFM Consult #51을 참고해 6 주까지 연장 고려.
- 제왕절개 수술 프로토콜 완수 후에도 환자 교육·상처 관리·수유 지원이 재입원률 ↓의 열쇠.
반응형
'정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견관절에 농이 찬 것(화농성 관절염)을 확인하는 방법 (3) | 2025.07.31 |
---|---|
부비동 물혹 제거술(부비동 폴립 절제술)의 필요성, 수술 방법 (1) | 2025.07.31 |
얼굴의 ‘먹먹함’ 증상, 원인 (4) | 2025.07.31 |
턱 비대칭 자가 진단, 교정 루틴 (4) | 2025.07.31 |
턱관절-경추 연결 고리: 얼굴 통증의 열쇠 (4) | 2025.07.31 |